[include(틀:일본의 모터스포츠 대회)] ---- ||<-4> {{{#white '''슈퍼 포뮬러 챔피언십'''}}} || ||<-4>[[파일:SuperFormula.png|width=330&align=center]] || || '''영문 명칭''' || Super Formula Championship || || '''일문 명칭''' || スーパーフォーミュラ || || '''창설''' || [[1973년]] [[일본]] || || '''드라이버''' || 21명[* 2022년 시즌 기준] || || '''참가팀''' || 12팀[* 2022년 시즌 기준] || || '''엔진 공급업체''' || [[토요타]], [[혼다]] || || '''섀시 공급업체''' || 달라라(Dallara) SF19 || || '''타이어 공급업체''' || [[요코하마]] ADVAN || || '''최근 드라이버 챔피언''' || '''[[노지리 토모키]]''' || || '''최근 팀 챔피언''' || '''[[호시노 임풀#s-2.2|케어넥스 팀 임풀]]''' || || '''웹 사이트''' || [[http://superformula.net|홈페이지]] || || [[파일:2021 슈퍼 포뮬러1.jpg|width=100%]] || [목차] == 개요 == 일본내에서 개최하는 포뮬러 대회로 [[FIA]]가 직접적으로 주관하지 않는, 일본이 독자적으로 개최하고 운영하는 포뮬러 대회이다. 이전 이름은 포뮬러 닛폰. 대회 운영 주체는 일본 레이싱 프로모션(Japan Racing Promotion)이며, 중계는 [[BS후지]]와 [[J SPORTS]]가 담당 한다. 한마디로, [[Super GT]]가 아시아 스포츠카 최고 클래스라면[* 조금 더 빨랐던 LMP2가 규정 변경으로 느려지면서 아시안 [[르망 시리즈]]는 최고 지위를 잃었다. 더군다나 FIA 하이퍼카/IMSA GTP조차 클래스 1(GT500)보다도 느리게 나오는 바람에 클래스 1을 능가하는 랩타임을 가진 차는 오픈휠만 남았다.] Super Formula는 아시아 포뮬러 최고 클래스이다.--'''Super'''로 모든 프리미엄 클래스 통일화-- 물론 전세계 포뮬러 클래스로 보면 당연히 [[포뮬러 원|여기가]] 최고다. 슈퍼 포뮬러는 그 속도가 F1 피더 시리즈인 [[포뮬러 2|F2]][* 폐지된 전 GP2에 해당]와 나란히하는, 흔히 포뮬러 1 다음으로 빠른 오픈휠 레이스라 불리는 챔피언십이다. 물론 F1 피더로서의 F2혹은 F3와의 위상과는 좀 차이가 있다. F3와 F2는 F1 팀들의 아카데미 레이서들로 구성되는 F1행 로얄로드이기 때문. 실제로 슈퍼 포뮬러는 피더의 역할이라기보다 아시아의 [[인디카 시리즈]]를 표방하고 있다. 젊은 일본인 드라이버들의 등용문이기도 하지만, [[고바야시 카무이]], [[안드레 로테러]] 등등의 전직 F1 드라이버들도 활약한적이 있고, [[르망 24시]] 출신이나 [[슈퍼 GT]] 출신 드라이버들도 모여드는 아시아권 포뮬러 레이싱의 최상위 대회이다. 2019시즌 기준으로 11팀 20대 레이스카가 투입된다. 캘린더는 일본에서 내로라하는 유명 서킷들이 포함돼서 7~8라운드로 진행되고 [[스즈카 서킷]]이 개막전과 최종전을 맡는다. 드라이버는 일본인이 많지만 다른 국적의 드라이버들도 많이 참가한다. 대표적인 선수로 뉴질랜드 출신 드라이버인 닉 캐시디가 있고 현 F1 드라이버인 [[피에르 가슬리]]도 2017년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당시 0.5 포인트차로 아쉽게 종합 2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수퍼 포뮬러에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은 슈퍼GT나 다른 레이스 카테고리에도 참가한다. 예로 2018 슈퍼 포뮬러 챔피언인 [[야마모토 나오키(드라이버)|야마모토 나오키]]는 Super GT에서 [[젠슨 버튼]]과 함께 팀을 이뤄 GT500 클래스 챔피언까지 획득했었고 2020년에도 슈퍼 포뮬러와 슈퍼 GT GT500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레이스 랩수는 총 주행거리에 따라 사전에 정해져 있고 F1 처럼 한명의 드라이버가 모든 랩을 소화한다. 현 슈퍼 포뮬러 규정으로 전체 레이스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제한되어 있다. 피트스탑 역시 진행되는데 한번 레이스에서 소프트와 미디엄 컴파운드는 1세트 이상 반드시 쓰여야 한다. 또 타이어 교체 포함해서 재급유까지 허용하고 있었다.[* F1은 2009년 이후로 재급유 규정을 폐지했다. [[헤이키 코발라이넨]]이 급유 파이프를 달고 나갔다가 뒤따라오던 [[키미 라이코넨]]의 차에 불을 지른다던지, [[펠리페 마싸]]가 급유 파이프를 달고 나가버린다던지 하는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있었기 때문.] 하지만, 이 내용은 2021년경까지의 규정이고 현재는 아래와 같이 변동되었다. 2022년 규정 기준으로는 모든 경기의 전체 레이스 시간이 종전 1시간 30분에서 1시간 15분으로 축소, 또한 타이어 교환은 이뤄지나 '''재급유가 안 된다!''' === 역사 및 국내 모터스포츠와의 관계 === 슈퍼 포뮬러는 1973년부터 시작했다. 이는 1993년부터 시작한 JGTC(현 [[Super GT]])보다 나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동안 명칭이 많이 바뀌었는데 변천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Super Formula 항목] * 전일본 포뮬러 20000 선수권(1973~1977) : 양산차 엔진 및 레이싱용 엔진이 혼재된 포뮬러 2 시대.[* 이는 당시 국제자동차연맹의 규정상 포뮬러 2는 양산차 엔진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했으나, 미쓰비시자동차가 공급한 엔진이 순수 레이싱용 엔진이었다는 변수로 인해서, 포뮬러 2000이라고 불렀다] * 전일본 포뮬러 2 선수권(1978~1986) : 1976년, 유럽에서 포뮬러 2의 기술 규정이 변경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전일본 포뮬러 3000 선수권(1987~1995) : 유럽에서 포뮬러 2 규정으로 열리던 레이스가 개발비용 상승 등의 이유로 없어지고 이 자리를 메운 것이 포뮬러 3000, 일본도 이를 받아들여 포뮬러 3000 규정의 대회를 열었다. 본래 1988년부터 포뮬러 3000 선수권이 열려야 했지만, 1987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포뮬러 2 선수권이, 일본자동차연맹과의 논의 없이 바로 포뮬러 3000으로 이행하면서, 1987년은 전일본 선수권으로는 열리지 않았다. * 포뮬러 닛폰(1996~2012) : 현 운영사인 JRP가 출범하면서 전일본 포뮬러 3000의 명칭을 변경한 것이 바로 포뮬러 닛폰, 국제 포뮬러 3000과는 다르게 전개되었다. * 슈퍼 포뮬러(2013~) 한국인 드라이버로는 [[최해민]] 선수가 2013년 프리시즌 테스트에 참여한 전력이 있고 임채원이 슈퍼 포뮬러 주니어에 참전한 적이 있다. 원래 2013년에 슈퍼 포뮬러 한국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고 [[김동은(드라이버)|김동은]]이 낙점되었지만 대회를 1개월 앞두고 취소된 전력이 있다. === 포인트 시스템 === 2019년까지의 포인트 제도는 아래와 같았다.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폴 포지션 || || 10 || 8 || 6 || 5 || 4 || 3 || 2 || 1 || 1 || 2020년부터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예선 || 3 || 2 || 1 || || 결선 || 20 || 15 || 11 || 8 || 6 || 5 || 4 || 3 || 2 || 1 || 드라이버 챔피언십의 경우 예선 성적을 반영하지만 팀 챔피언십의 경우 예선 성적을 반영하지 않기에 더하는 것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포인트 합산 방식은 2021년까지 가장 성적이 좋았던 5개 경기만 반영했지만, 2022년 시즌부터는 모든 경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레이스카 == 섀시는 각팀이 따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달라라(Dallara)에서[* [[포뮬러 2]], [[인디카 시리즈]] 공급사와 같다.] 공급하는 원메이크 섀시를 사용한다. 그래서 팀간의 성능격차는 엔진과 셋업에서 결정되는 편이다. 2018시즌까지 SF14라는 명칭의 섀시가 사용되었고 2019시즌부터는 [[포뮬러 원#s-4.6.4|헤일로]]가 장착된 SF19 --페라리 아니다-- 섀시가 새로이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다운포스 향상에 포커스를 두었고 앞 노즈 부분에 작은 보조날개 까지 들어가서 코너속도가 굉장히 빨라졌다. 실제로 [[스즈카 서킷]] 개막전에서 기록한 폴 포지션 랩타임이 1분36초060 인데 이는 작년 동일 서킷 기록 대비 1초이상 단축된 기록이다. 엔진은 [[혼다]]와 [[토요타]]가 경쟁 체제로 공급하고 있다. 규격은 2.0리터 4기통 터보엔진으로 [[Super GT]] GT500과 같은 규격의 엔진이다.[* 실제로 2009년부터 동일한 규격으로 들어갔다.] 출력은 550마력을 가뿐히 넘긴다. 때문에 차빨을 많이 받는다는 F1과는 달리 [[INDYCAR|인디카]]처럼 드라이버의 기량을 많이 따진다. 기어박스는 6단 패들 시프트를 사용하고 있고, [[요코하마 타이어]]의 ADVAN 브랜드가 독점 공급하고 있다. 2020년 시즌에는 드라이 컴파운드와 악천후 상황에 사용되는 웻 컴파운드[* 연습전이나 예선전에서는 기상 악화를 경고해주지만, 본선전에서는 '''알려주지 않아서''' 팀별로 대처를 해야 한다.]를 합쳐서 총 2가지의 타이어를 사용한다. 레이스카는 드라이버 탑승시 670kg 이상이어야 한다. 차량 성능은 전체적으로 우수하다.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기록한 최고 랩타임이 1:21.554인데 이는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LMP1이 기록한 1:22.763보다 빠른 기록이고 [[펠리페 마싸]]가 2008년에 기록한 1:17.287보다 약 4초 느린 기록이다. 이는 F1 하위 클래스인 [[포뮬러 2]]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F2와 슈퍼 포뮬러의 직접 비교는 사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슈퍼 포뮬러는 전일본 포뮬러 대회라서 일본지역을 잘 벗어나지 않고 F2는 유로피언 챔피언십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동일 서킷에서 기록된 데이터가 전무하다. 비교할 거라고는 F1과의 평균 랩타임 차이 뿐이다. 결국 두 카테고리의 정확한 성능 우위는 객관적으로 판별하기 매우 어렵다. 두 카테고리가 교류전을 하지 않는 이상 말이다.[* 반면에 [[슈퍼 GT]]는 [[DTM]]과의 교류전을 거치면서 슈퍼 GT 쪽이 더 빠르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2022년 시즌 출전 엔트리 == ||<-4> [[파일:Super_Formula_Series_logo.gif|width=60]] [br][br] '''2022 전일본 슈퍼 포뮬러 챔피언십''' || || '''팀명''' || '''국적''' || '''드라이버''' || '''파워 유닛 컨스트럭터''' || || '''KUO 반테린[* 코와주식회사의 외용진통소염약 브랜드.] 팀 톰스'''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36 줄리아노 알레시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br] #37 [[미야타 리토모]][* 2020년 슈퍼 포뮬러 라이츠 챔피언, 2021년 시즌부터 [[엔비전 버진 레이싱]]에서 활동하는 [[닉 캐시디]]를 대신하여 출전한다.]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토요타]] || || '''곤도 레이싱'''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3 [[야마시타 켄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4 [[사챠 페네스트라즈]]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토요타]] || || '''[[도코모]] & 팀 댄들라이언'''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5 [[마키노 타다스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6 [[오츠 히로키]]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혼다]] || || '''카로체리아 팀 KC 모터그룹'''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 #7 [[고바야시 카무이]]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18 [[쿠니모토 유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토요타]] || || '''THREE BOND 드라고 코르세'''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12 [[후쿠즈미 니레이]]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S 파트너 없이 단독 출전.] || [[혼다]] || || '''루키 레이싱'''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14 [[오시마 카즈야]]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S 파트너 없이 단독 출전.] || [[토요타]] || || '''[[무겐 모터스포츠|팀 레드불 무겐]]'''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1 [[노지리 토모키]]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16 [[사사하라 우쿄]]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혼다]] || || '''[[호시노 임풀|케어넥스 팀 임풀]]'''[* 2020년까지의 팀 명이 바로 이토츄 에넥스 팀 임풀이다. 2021 시즌부터 케어넥스가 메인 스폰서로 합류]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19 [[세키구치 유히]]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20 [[히라카와 료]]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토요타]] || || '''JMS P.MU/세루모 INGING[* 현재 슈퍼 포뮬러에선 유일한 '''[[이타샤]] 리버리''' 팀.]'''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38 [[츠보이 쇼]]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39 [[사카구치 세나]]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토요타]] || || '''B-Max 레이싱'''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50 [[마츠시타 노부하루]]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S 파트너 없이 단독 출전.] || [[혼다]] || || '''TCS 나카지마 레이싱'''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64 [[야마모토 나오키(드라이버)|야마모토 나오키]]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br] #65 [[오유 토시키]]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혼다]] || == 2022년 시즌 캘린더 == ||<-4>
'''[[스프링캠프|{{{#ffffff 프리시즌 테스트}}}]]''' || || 비시즌 || 3/7~8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 비시즌 || 3/22~23 || [[시즈오카현]](오야마정) || [[후지 스피드웨이]] || ||<-5>
'''{{{#ffffff 정규 시즌}}}''' || || '''{{{#ffffff 라운드}}}''' || '''{{{#ffffff 기간 }}}''' || '''{{{#ffffff 개최지}}}''' || '''{{{#ffffff 서킷}}}''' || '''{{{#ffffff 비고}}}''' || || 1 || 4/9 || [[시즈오카현]](오야마정) || [[후지 스피드웨이]] || 개막전, 더블라운드 || || 2 || 4/10 || [[시즈오카현]](오야마정) || [[후지 스피드웨이]] || 더블라운드 || || 3 || 4/23~24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 || 4 || 5/21~22 || [[오이타현]](히타시) || [[오토폴리스 서킷]] || || || 5 || 6/18~19 || [[미야기현]](시바타군) || [[스포츠랜드 스고]] || || || 6 || 7/16~17 || [[시즈오카현]](오야마정) || [[후지 스피드웨이]] || || || 7 || 8/20 || [[도치기현]](하가군) || [[트윈 링 모테기]] || 더블라운드 || || 8 || 8/21 || [[도치기현]](하가군) || [[트윈 링 모테기]] || 더블라운드 || || 9 || 10/29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더블라운드 || || 10 || 10/30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폐막전, 더블라운드 || [[분류:1973년 설립]][[분류:일본의 모터스포츠 대회]][[분류:모터스포츠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