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가)] ||<-3>
[[파일:32X_logo.png|width=200]] || ||<-3> [[파일:external/segaretro.org/320px-32X_US.jpg|width=250]] || || {{{#white '''개발사'''}}} ||<-2><|2>[[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00]]]] || || {{{#white '''제조사'''}}} || ||<|5> {{{#white '''출시일'''}}}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1994년]] [[11월 21일]]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1994년]] [[12월 3일]]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2]] ||[[1994년]] [[12월 4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5년]] [[1월 18일]]|| ||<|4> {{{#white '''가격'''}}}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16,800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159.99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99,000 || || {{{#white '''판매량'''}}} ||<-2>'''80만 대''' || [목차] == 개요 == 차세대 게임기가 나올 즈음 북미에서 폭발적으로 팔린 [[메가 드라이브]]의 수명을 연장하고자 만들어 [[세가 게임즈|세가]]에서 [[1994년]]에 발매한, 세가 새턴에도 사용한 SH2 CPU 두 개를 박아 [[메가 드라이브]]에 장착하면 [[16비트]] 게임기를 [[32비트]] 게임기로 바꿔 주는 [[메가 드라이브]]의 확장기기. == 사양 == || CPU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SH-2 23 MHz 2개.[* [[세가 새턴]]과 동일한 CPU로, 클럭이 조금 낮을 뿐이다. 나중에 출시된 [[캡콤]]의 [[CPS3]]에 이 CPU 1개가 쓰였다.]|| || 메모리 ||메인 RAM 256 KB, 비디오 RAM 256 KB.|| || 그래픽 ||최대발색수 32768색. 최대발색수는 저렇지만, VRAM이 128 KB RAM 2개를 더블 버퍼링으로 돌리는 구조래서 32768색을 사용하면 램 용량 부족으로 화면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https://segaretro.org/images/e/ed/Genesis32XUSOverview.pdf|256색]]을 많이 사용한다.|| || 사운드 || PWM 2 ch. 채널당 모노 사운드이기 때문에, 스테레오로 사용하면 1 ch 된다.|| 그래픽 기능은 프레임 버퍼 기능만 제공하며, 사운드 역시 스테레오로 구성하면 1 ch만 지원한다. 그러나 SH-2의 성능은 당대 기준으로 꽤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슈퍼 32X 게임 대부분은 SH-2에 스프라이트/3D 렌더링, 사운드 믹싱 코드 등을 올려 실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당시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콘솔보다는[* CPU에 소프트웨어를 올려 처리하는 PC에 가까운 방식이다.] CPU를 통하는 소프트웨어 렌더링만 제공하였기에 기존 메가 드라이브에서 보여주지 못하는 그래픽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기존 메가 드라이브에서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스프라이트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만큼의 성능상 페널티를 얻었고,''' 이는 32X 게임 상당수가 기존 메가 드라이브판보다 특별히 더 좋아 보이지도 않는 데다 때로는 더 낮아 보이기까지 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메가 드라이브의 롬 팩 삽입구에 장착해서 사용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고 메가 드라이브의 A/V 단자와 슈퍼 32X의 A/V 입력 단자를 서로 연결해주고, 슈퍼 32X의 A/V 출력 단자를 디스플레이에 연결해 줘야 한다. 메가 드라이브의 영상 신호와 32X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내보내는 방식으로, Voodoo2까지의 [[Voodoo]] 시리즈와 유사한 방식. 게다가 본체와 마찬가지로 슈퍼 32X에도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연결해 줘야 한다. == [[세가 콘솔 게임기/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가 콘솔 게임기/역사)] == CD 32X와 넵튠 == [[메가 CD]]와도 합체하여 'CD 32X'라는 [[그레이트 합체|3단 합체]](...) 기기로 만들 수 있는데, 이 3단 합체기기는 전원을 모두 따로따로 공급받기 때문에 콘센트 3개를 연결해야 하는 위엄을 보여 준다. 일본에서는 32X 패키지 뒷면에 '32X CD'라는 이름으로 언급했는데, 호환 소프트는 일본에 나오지 않았고, 미국과 유럽, 브라질에만 총 7개 출시했다. CD 32X 게임 목록은 [[메가 드라이브/게임 목록#s-5|이곳]]을 참고. 메가 드라이브와 슈퍼 32X를 통합한 세가 넵튠도 내놓으려고 했지만 취소했다. 이 세가 넵튠을 동기로 한(?) [[초차원게임 넵튠 시리즈]]로도 꾸준히 패러디하고 있다. 특히 [[신차원게임 넵튠 V]]에서 [[넵튠]]과 [[프루루트]][*스포일러 여기서 미리 설명하면, 이 캐릭터는 '''세가 플루토'''를 의인화한 것이다(...).]가 [[차지맨 켄!|잘도 이런 미친]] 하드를 만들어 보급했다는 언급이 나오며, '''합체의 로망''' 드립을 치기도(...). 그리고 슈퍼 32X는 [[세가 하드 걸즈]]에서 의인화되었다. 넵튠이 출시되지 못해 한이 서린 일부 능력자들은 직접 넵튠을 제작하기도 했는데, 주로 32X의 기판을 메가 드라이브 2에 내장하는 방식으로 일체형 넵튠을 만들기도 했다. == 게임 == 1년 남짓한 기간에 나온 것이 35개(CD 32X 게임 7종 포함)뿐이다. 목록은 [[메가 드라이브/게임 목록#s-4]] 문서 참고. 이 기기에서 건질 수 있는 의의는 세가의 과거 아케이드 명작([[스페이스 해리어]], [[애프터 버너 2]] 등)들을 완벽에 가깝게 이식한 것 정도이고, [[MODEL1]] 게임 몇 개를 이식했다.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가운데에서 드물게 소닉이 나오지 않는 게임인 [[카오틱스]]를 발매했다. 이 작품은 다른 기종으로 이식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에 제 나름의 희소 가치가 있지만 굳이 찾아서 할 만한 게임도 아니고... 사실 [[소닉 엑스트림]]이 슈퍼 32X로 발매할 예정이었으나 슈퍼 32X가 하도 빨리 망한 바람에 소닉 엑스트림 프로젝트도 세가 새턴으로 옮겨졌으나... 자세한 것은 [[소닉 엑스트림]] 문서를 참고. 32X판으로 둠과 [[삼국지 4]]가 나왔는데, 32X판 둠은 많은 콘솔 이식 가운데 첫 이식이었지만, [[슈퍼 패미컴]]판과 비교해서 스테이지가 2개나 부족하고 음악은 도저히 용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좋은 건 슈퍼 패미컴판보단 그나마 상대적으로 낫게 구현한 건 그래픽뿐인지라 완전히 '''[[빛 좋은 개살구]]'''. 반면에 슈퍼 패미컴판은 고성능 특수칩을 썼음에도 그래픽이 안구 테러 수준이다. 자세한 것은 <[[둠/이식 버전]]>을 참고. 32X판 [[삼국지 4]]는 조작이 지나치게 불편하다. 이동, 수송, 전쟁 같은 커맨드를 실행하는 방식이 다른 판과는 달리 '''좌표식'''인데, 좌표식은 그렇다 쳐도 좌표가 이동하는 속도가 너무나 빠르고, 쓸데없는 커맨드가 있는 데다가, 커맨드 일부는 무조건 그 커맨드가 있는 곳으로 방향키를 옮겨야 한다. --마우스를 쓰라는 거냐?-- 그리고 전투할 때 이동 속도는 [[슈퍼 패미컴]]판보다도 훨씬 느리다. 슈퍼 패미컴판은 A버튼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지만, 32X판은 안 된다. 또 음악도 별로다. 게다가 이 문제점은 그저 코웃음만 나올 정도로 더 나쁜 게 있는데, 신무장 데이터를 변경하면 '''저장 데이터가 사라져 버리는 것'''이다! 버그가 아닌지라 '''아예 사전에 미리 경고를 한다!''' 최소한은 클리어 후에 편집하는 게 좋다(...). 그나마 좋은 점은 위임/미위임 도시 상관없이 아무 도시나 골라서 그 도시의 무장뿐만이 아닌 세력 소속 모든 무장들에게 포상을 줄 수 있는 것이지만 이것밖엔 다른 버전과 차이점이 없다. [[프라이멀 레이지]]는 메가 드라이브 이식판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라 안 하는 걸 추천. 스타워즈 아케이드나 버추어 파이터 같은 모델 1 게임들의 경우, 그래픽이 조금 거칠긴 해도 이식 자체는 잘 된 편. == [[메가 타워]] == [[메가 타워]] 문서 참고. [[분류:슈퍼 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