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나이퍼 엘리트 5]][[분류:게임 무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나이퍼 엘리트 5/무기 및 아이템)] [목차] == 개요 == [[스나이퍼 엘리트 5]]의 소총류 무기들을 설명하는 문서. 스나이퍼 엘리트 5에서는 스프링필드 M1903과 M1 카빈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소총에 조준경을 장착하지 않고 장비하는 것. 즉, [[기계식 조준기]]을 이용한 사격이 가능하다. 기계식 조준기를 이용한 정조준은 탄 낙차 눈금은 물론 집중 조준을 했을 때 예상 명중 지점이 표시되지 않는다. 대신, 조준경 반사경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추축군 침공이나 멀티플레이에서 어느 정도 적 저격수(들)로부터 유리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볼트액션 및 기타 == === [[스프링필드 M1903|M.1903]] === ||장점||||||||||||초장거리에 적합[br]매우 작은 탄 낙차|| ||단점||||||||||||낮은 사격 속도|| ||해금법||||||||||||기본 지급|| ||가청 거리||128m||확대||8배||탄창 크기||6발|| ||설명||||||||||||연합군의 주요 저격소총으로 채택된 M.1903 A4는 매우 긴 사거리와 높은 총구 속도를 갖추고 있습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600m || || 총구 속도 || 850m/s || || 피해 || 120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34회 || || 재장전 시간 || 4.13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18cm || || 수평 반동 || 15cm || || 수직 반동 || 16cm || || 탄 퍼짐 정확도 || 50cm || || 반동 회복 || 50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456ms || || 장착 시간 || 680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0%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A5 Win & Co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기본 조준기 || ||<-4>미군 제식 조준경입니다. 1903 소총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A1 광학 || 14 || || {{{#red 낮은 가시성[br]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38ms}}} || ||<-4>이 강력한 조준경은 매우 높은 배율을 자랑하지만, 무겁고 커서 사용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 A2 광학 || 16 || || {{{#red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44ms}}} || ||<-4>A1 옵티컬 조준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A2는 신형 렌즈를 사용하고 시야 스프링이 추가되어 배율이 매우 높습니다. || || B4 Win & Co || 7 || {{{#green 조준 시간 -66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br]조준 안정성 +1cm}}} || ||<-4>Win & Co A5에 기반하여 개발된 B4는 배율이 살짝 낮지만 더 가볍고 조준 속도가 빠릅니다. || || M84 || 12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red 낮은 가시성[br]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50ms}}} || ||<-4>개발 당시의 기준으로 다양한 배율을 제공한 최신식 조준경이었던 M84는 특정한 목적에 특화된 미군 소총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No.32 Mk1 || 8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red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15ms}}} || ||<-4>No.32[*오타 원문은 No.23으로, 오타로 추정됨]는 전장에서 저격수의 역할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본격적인 시도의 일환으로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No.32 Mk2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50ms}}} || ||<-4>약간 개선된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Mk2 No.32 조준경은 Mk1을 대체하기 위해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W&S M1913 || 2 || {{{#green 조준경 반사광 없음}}}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26ms}}} || ||<-4>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 저격수에게 지급된 이 독특한 조준경은 조준경 반사광이 없어 몸을 숨길 때 유용하지만, 배율이 낮아 사용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블루잉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38초[br]조준 시간 -92ms[br]장착 시간 -62ms}}} || {{{#red 수직 반동 +4cm}}} || ||<-3>무게가 줄어 사격 속도를 높여주는 경량 총열입니다. || || 부시마스터 || {{{#green 조준 안정성 -6cm[br]조준 시간 -106ms[br]장착 시간 -15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4%[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총구 속도 -180m/s}}} || ||<-3>근접전에서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1903 소총의 크기와 무게를 줄인 개량형입니다. || || 스타게이지 저격 || {{{#green 총구 속도 +120m/s[br]피해 +2}}} || {{{#red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3cm[br]조준 시간 +34ms}}} || ||<-3>수제 '스타게이지' 총열은 총구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최고의 저격수에게 적합합니다. || || 중량 인산염피막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4cm}}} || {{{#red 분당 발사 횟수 -5회[br]재장전 시간 +0.46초[br]조준 시간 +80ms[br]장착 시간 +120ms}}} || ||<-3>반동을 줄여주지만 기동성 역시 저하하는 무거운 총열입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76ms[br]장착 시간 -113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총구 속도 -120m/s}}}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M1905 총검 || {{{#green 정예병 정면 처단}}} || {{{#red 장착 시간 +76ms}}} || ||<-3>1906년 미국에서 개발된 길고 치명적인 총검입니다. || || Mk II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60m}}} || {{{#red 총구 속도 -90m/s[br]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24ms[br]장착 시간 +76ms}}} || ||<-3>특수 작전에 사용될 Mk II 스텐을 위해 맞춤 제작된 MOE 소음기입니다. || || Mk II-S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74m}}} || {{{#red 총구 속도 -150m/s[br]피해 -11[br]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50ms[br]장착 시간 +120ms}}} || ||<-3>스텐 Mk II 소음기의 특수한 파생형입니다. SOE가 개발하고 제작하였습니다. || || Mk1 보이스 제퇴기 || {{{#green 분당 발사 횟수 +2회[br]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5cm[br]반동 회복 -125ms}}} || {{{#red 가청 거리 +27m[br]조준 시간 +24ms}}} || ||<-3>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6cm[br]반동 회복 -100ms}}} || {{{#red 가청 거리 +20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맥신 1910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47m}}} || {{{#red 총구 속도 -35m/s[br]조준 안정성 +2cm}}} || ||<-3>성능이 탁월하고 두루 사용되는 미군 소음기입니다. || || 무어1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47m[br]총구 속도 +40m/s}}} || {{{#red 조준 안정성 +6cm[br]조준 시간 +50ms[br]장착 시간 +170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30%}}} || ||<-3>주로 1903 A4 소총과 함께 발견됩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6cm}}} || {{{#red 조준 시간 +45ms[br]장착 시간 +170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탄창 ] || 이름 || 장점 || 단점 || || 1903 트렌치 탄창 || {{{#green 탄창 크기 +15발}}} || {{{#red 조준 안정성 +6cm[br]조준 시간 +39ms[br]장착 시간 +170ms[br]달리기 이동 속도 -2%[br]조준 이동 속도 -10%}}} || ||<-3>연합군이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에서 지속적인 화력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했습니다. || || 소형 고압 탄창 || {{{#green 총구 속도 +30m/s[br]피해 +10}}} || {{{#red 가청 거리 +13m[br]탄창 크기 -2발[br]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5cm[br]반동 회복 +50ms}}} || ||<-3>크기는 작지만 압력을 늘린 탄창입니다. 저지력은 강해지지만 반동 역시 심해져, 제어하기가 힘들어집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8cm}}} || {{{#red 재장전 시간 +0.73초}}} || ||<-3>이 칙패드는 사격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3cm}}} || {{{#red 탄 퍼짐 정확도 +12cm}}} || ||<-3>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6cm}}} || {{{#red 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75ms}}} || ||<-3>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2cm}}} || {{{#red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24ms[br]장착 시간 +76ms}}} || ||<-3>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7회[br]재장전 시간 -0.38초}}} || {{{#red 조준 안정성 +6cm}}} || ||<-3>삽탄 및 재장전 시간을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M40 대구경 || {{{#green 총구 속도 +40m/s[br]피해 +18}}} || {{{#red 가청 거리 +13m[br]재장전 시간 +0.46초[br]수평 반동 +6cm[br]수직 반동 +5cm[br]탄 퍼짐 정확도 +8cm[br]조준 시간 +50ms}}} || ||<-3>"판사르베른스게베르 M/40"를 개량한 스웨덴제 노리쇠 및 노리쇠 몸통을 사용하여 더욱 강력한 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7회[br]재장전 시간 -0.38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3>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10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 || ||<-3>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매치그레이드 노리쇠 || {{{#green 총구 속도 +90m/s}}} || {{{#red 분당 발사 횟수 -5회[br]재장전 시간 +0.46초}}} || ||<-3>최고의 정확도를 위해 손으로 직접 정밀하게 제작되었습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12cm}}} || ||<-3>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3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31초}}} || ||<-3>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3cm}}} || ||<-3>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4cm}}} || {{{#red 조준 시간 +80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3>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스프링필드의 최대 장점은 매우 빠른 총구 속도로, 총구 속도에 최대한 투자하면 제식 탄환으로도 1130m/s라는 무지막지한 총구 속도가 뽑힌다. 또한 리엔필드와 더불어 600m라는 가장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높은 배율인 16배율 A2 광학 조준경을 유일하게 지원한다. 장거리 사격에 유리한 이런 여러 장점들 덕에 캠페인에서 장거리 명중 메달을 따거나 현실적 난이도를 공략할 때 활약한다. 단점은 연사력이 느린 볼트액션 소총임에도 위력이 애매하고 재장전 속도가 조금 느리다는 것이다. 피해 위주 개조(스타게이지 저격 + 소형 고압 탄창 + M40 대구경)를 해야 전 부위 한 방이 가능한 피해 150에 간신히 도달한다. 이 때문에 정면 화력전이 벌어지는 생존 모드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특이사항으로 반사광이 없는 W&S M1913 조준경을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음기까지 구비하면 멀티에서 효과적이나 배율이 고작 2배라 조준이 어렵다. === SREM-1 === ||
장점||||||||||||만능|| ||해금법||||||||||||기본 지급|| ||가청 거리||128m||확대||8배||탄창 크기||6발|| ||설명||||||||||||영국 SOE에서 특수부대용으로 제작한 SREM은 독특한 펌프액션 방식을 사용하는 저격소총입니다.|| 스프링필드와 함께 기본 지급되는 소총이다. 스프링필드와 달리 본작에서 처음 나온 무기인데, 권총 손잡이가 장전 손잡이 역할을 하는 독특한 펌프액션 작동 방식이 특징이다. [[https://guns.fandom.com/wiki/SREM-1|실총 정보]] 다만 본 문서에서는 게임에서의 특징을 고려해 볼트액션으로 편의상 분류했다. 볼트액션 소총 중 근소한 차이로 가장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적은 반동과 우수한 명중률을 가져 속사가 용이하다. 그러면서도 볼트액션 소총으로서 합격점인 사거리와 총구 속도까지 갖고 있어 장거리 사격에도 큰 문제가 없다. 종합적으로 공식 소개에 걸맞게 만능에 가까운 성능을 내는 무기라 할 수 있다. 확실한 단점이라면 볼트액션 소총 중 드 라일 카빈 다음으로 위력이 낮다. 피해 위주 개조를 해도 피해 150을 넘기지 못한다. 이 때문에 정밀한 사격이 어려운 현실적 난이도라면 총알이 적의 사지에 맞아 적이 일격사하지 않는 경우가 꽤 자주 발생한다. 같은 이유로 생존 모드에서 쓰기에도 좋지 않다. 참고로 제식 총열은 실제 총기의 것이 아니라 [[리-엔필드]] 소총의 후기형인 No.5의 총열과 총구가 조합된 것이다. 짧은 카빈 부착물을 선택해야 실제 총기와 같은 총열이 된다. 연장 저격 부착물을 선택하면 총열과 총구가 [[M1917 엔필드]]의 장총열 형태로 바뀐다. === [[Kar98k|카라비너98]] === ||
장점||||||||||||매우 높은 피해|| ||단점||||||||||||낮은 조준 안정성[br]매우 낮은 사격 속도|| ||해금법||||||||||||2번째 임무 '점거된 주거지'에서 처치 챌린지를 완료하세요.[br]추축군 침공자로 처치 50번을 달성하세요.(침공)|| ||가청 거리||140m||확대||6배||탄창 크기||5발|| ||설명||||||||||||독일의 주요 제식 소총으로, 저지력이 높고 다재다능합니다.|| 본편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한 [[Kar98k]]다. 2번째 임무 처치 챌린지가 해금 조건이라 이른 시기에 입수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스프링필드에서 장거리 사격 능력이 다소 약화된 대신 위력을 얻은 무기라 할 수 있다. 순정으로도 145, 피해에 최대한 투자(연장 저격 + GEW98 / 소형 고압 탄창 + M40 대구경)하면 183이라는 강력한 한 방 위력을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스프링필드에 크게 뒤지지 않는 빠른 총구 속도도 가져 안정적인 한 방 저격을 원한다면 스프링필드의 좋은 대안이 된다. 한편 높은 위력과 합리적인 소음을 겸비했다는 장점도 있다. 기본 소음은 큰 편이지만, 상술한 높은 위력 덕분에 위력을 깎는 소음기인 브라밋 소음기를 달아도 피해 150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독일제 소총인 게베어 43과 더불어 '저장약 탄창' 개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소음을 줄여주는 몇 안 되는 탄창 부착물인데다가 피해량에 직접적인 페널티를 주지 않는다. 그래서 실질 소음은 그리 크지 않다. 흠이라면 사거리가 400m로 볼트액션 소총 중에서는 다소 짧다는 건데, 그래도 이 게임 특성상 이 정도 사거리만 돼도 일반적인 장거리 사격에 큰 불편함은 없다. 다만 400m를 넘어가는 초장거리 저격에는 스프링필드, 리엔필드, 모신나강 같은 본격적인 장거리 지향 소총들보다 불리해, 장거리 사격 메달을 딸 때는 우선도가 밀린다. === [[드 라일 카빈|D.L.카빈]] === ||
장점||||||||||||매우 작은 총성|| ||단점||||||||||||매우 큰 탄 낙차[br]낮은 피해|| ||해금법||||||||||||"상륙 작전" DLC 구매|| ||가청 거리||14m||확대||1배||탄창 크기||7발|| ||설명||||||||||||자체적으로 소음 기능이 있어 총성이 매우 작은 소총. 연합군 코만도가 사용합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180m || || 총구 속도 || 290m/s || || 피해 || 77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34회 || || 재장전 시간 || 3.57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19cm || || 수평 반동 || 15cm || || 수직 반동 || 16cm || || 탄 퍼짐 정확도 || 35cm || || 반동 회복 || 50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368ms || || 장착 시간 || 933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0%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기계식 조준기 || 1 || {{{#green 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139ms[br]장착 시간 -155ms[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탄 낙차 눈금 없음}}} || ||<-4>근거리 전투에 적합한 제식 기계식 조준기입니다. || || No.32 Mk1 || 8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 ||<-4>기본 조준기 || ||<-4>No.32[*오타]는 전장에서 저격수의 역할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본격적인 시도의 일환으로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A5 Win & Co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br]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12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미군 제식 조준경입니다. 1903 소총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B4 Win & Co || 7 || {{{#green 조준 시간 -63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Win & Co A5에 기반하여 개발된 B4는 배율이 살짝 낮지만 더 가볍고 조준 속도가 빠릅니다. || || No.32 Mk2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조준 시간 +27ms}}} || ||<-4>약간 개선된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Mk2 No.32 조준경은 Mk1을 대체하기 위해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PPCo || 4 || {{{#green 뛰어난 가시성[br]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8ms}}} || ||<-4>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 및 영연방군 저격수가 사용한 PPCo는 매우 튼튼하며 낮은 배율을 제공합니다. || || PU || 3 || {{{#green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01ms}}} || || ||<-4>간단하지만 가볍게 설계된 소련제 조준경입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연장 소음기 총열 || {{{#green 가청 거리 -2m[br]총구 속도 +30m/s[br]피해 +12}}} || {{{#red 조준 안정성 +5cm[br]수평 반동 +5cm[br]조준 시간 +65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0%}}} || ||<-3>잠금 해제 조건: "상륙 작전" 임무에서 리조트 선착장 작업대 발견 || ||<-3>이 총열은 긴 길이 덕분에 격벽이 더 많아 가청 거리가 감소합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61ms[br]장착 시간 -155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가청 거리 +3m[br]총구 속도 -20m/s}}} || ||<-3>잠금 해제 조건: "상륙 작전" 임무에서 군사 요새 작업대 발견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M1905 총검 || {{{#green 정예병 정면 처단}}} || {{{#red 장착 시간 +104ms}}} || ||<-3>1906년 미국에서 개발된 길고 치명적인 총검입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탄창 ] || 이름 || 장점 || 단점 || || XL 연장 단열 || {{{#green 탄창 크기 +13발}}} || {{{#red 조준 안정성 +7cm[br]조준 시간 +32ms[br]장착 시간 +233ms[br]달리기 이동 속도 -2%[br]조준 이동 속도 -10%}}} || ||<-3>잠금 해제 조건: "상륙 작전" 임무에서 군사 요새 작업대 발견 || ||<-3>기동성을 희생하여 용량을 늘린 큰 연장 탄창입니다. || || 연장 탄창 || {{{#green 탄창 크기 +4발}}}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5ms[br]장착 시간 +165ms[br]조준 이동 속도 -10%}}} || ||<-3>잠금 해제 조건: "상륙 작전" 임무에서 버려진 낚시 오두막 작업대 발견 || ||<-3>탄창 크기를 늘려주는 무거운 부착물입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7cm}}} || {{{#red 재장전 시간 +0.63초}}} || ||<-3>이 칙패드는 사격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3cm}}}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3>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6cm}}} || {{{#red 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75ms}}} || ||<-3>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탄입대 || {{{#green 재장전 시간 -0.71초}}} || {{{#red 조준 안정성 +5cm}}} || ||<-3>탄창의 인체공학적 위치 덕분에 재장전 시간이 감소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7회[br]재장전 시간 -0.32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3>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7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 || ||<-3>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3>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3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27초}}} || ||<-3>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3cm}}} || ||<-3>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65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3>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전작에서도 등장한 [[드 라일 카빈]]으로, 유일한 소음 소총이라는 것도 동일하다. 볼트액션 소총 중 유일하게 박스 탄창을 사용한다. 전작에서도 그랬듯, 소음 소총이라는 점이 반영되어 매우 뛰어난 정숙성을 자랑한다. 가청 거리가 커도 17m, 낮추면 11m, 아음속탄까지 쓰면 웰로드보다도 작은 3m밖에 안 되는 덕에 어지간해서는 총소리로 발각될 일이 없다. 총검을 장착할 수 있어 후방 기습에도 유용하다. 이처럼 스텔스에 극도로 특화된 무기라 은밀한 실내 침투를 원한다면 대체재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막강한 성능을 발휘한다. 단점은 스텔스 성능을 대가로 정면 교전 능력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느린 연사력을 가진 볼트액션 소총임에도 기본 피해가 고작 77이며, 피해 위주 개조와 소프트 포인트 탄을 동원해도 피해 150에 도달하지 못해 사지에 맞으면 절대 한 방이 나지 않는다. 사거리 또한 180m로 극히 짧아 장거리 저격이 어려워, 개활지 위주의 임무에는 부적합하다. 이처럼 상황과 지형을 많이 타기 때문에 임무 전체를 이 무기로 진행하기보다는, 도중에 작업대에서 무기를 적절히 바꿀 필요가 있다. === [[윈체스터 M1885|Win & Co 1885]] === ||
장점||||||||||||매우 높은 피해|| ||단점||||||||||||매우 낮은 사격 속도|| ||해금법||||||||||||"대면 처리" 무기 및 스킨 팩 구매|| ||가청 거리||140m||확대||8배||탄창 크기||1발|| ||설명||||||||||||거대한 .50-110 탄을 사용하는 이 Win & Co 폴링블록 소총은 어마어마한 저지력을 자랑하지만 사격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300m || || 총구 속도 || 580m/s || || 피해 || 235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40회 || || 재장전 시간 || 2.61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22cm || || 수평 반동 || 17cm || || 수직 반동 || 18cm || || 탄 퍼짐 정확도 || 60cm || || 반동 회복 || 50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444ms || || 장착 시간 || 700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0%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기계식 조준기 || 1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158ms[br]장착 시간 -117ms[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탄 낙차 눈금 없음}}} || ||<-4>근거리 전투에 적합한 제식 기계식 조준기입니다. || || A5 Win & Co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기본 조준기 || ||<-4>미군 제식 조준경입니다. 1903 소총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99식 || 8 || {{{#green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96ms}}} || {{{#red 매우 낮은 가시성}}} || ||<-4>T-97을 개량해서 만든 T-99는 상당한 배율을 제공하지만 시야가 좁습니다. || || B4 Win & Co || 7 || {{{#green 조준 시간 -63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br]조준 안정성 +1cm}}} || ||<-4>Win & Co A5에 기반하여 개발된 B4는 배율이 살짝 낮지만 더 가볍고 조준 속도가 빠릅니다. || || No.32 Mk1 || 8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red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16ms}}} || ||<-4>No.32[*오타]는 전장에서 저격수의 역할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본격적인 시도의 일환으로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No.32 Mk2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50ms}}} || ||<-4>약간 개선된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Mk2 No.32 조준경은 Mk1을 대체하기 위해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P.K 베를린 || 11 || {{{#green 조준 안정성 -1cm}}} || {{{#red 조준 시간 +56ms}}} || ||<-4>독일의 P.콜러에서 제조된 다목적 조준경으로, ZF39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만큼 쉽게 구할 수 없습니다. || || PU || 3 || {{{#green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111ms}}} || || ||<-4>간단하지만 가볍게 설계된 소련제 조준경입니다. || || ZF39 || 12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56ms}}} || ||<-4>독일 국방군의 제식 조준경입니다. 배율이 높아 초장거리 사격이 가능합니다. || || ZF4 || 6 || || {{{#red 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27ms}}} || ||<-4>다양한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시대를 앞서간 조준경입니다. || || ZF41 CQB || 5 || {{{#green 조준 시간 -105ms}}} || {{{#red 조준 안정성 +2cm}}} || ||<-4>근거리 교전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ZF41은 가볍고 다루기 쉬워 낮은 배율에서의 높은 조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연장 저격 || {{{#green 유효 사거리 +60m[br]총구 속도 +78m/s[br]피해 +25}}} || {{{#red 조준 안정성 +5cm[br]수평 반동 +6cm[br]조준 시간 +79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0%}}} || ||<-3>잠금 해제 조건: 엎드린 상태에서 이 무기로 처치 80회 || ||<-3>총구 속도를 개선하여 피해를 증가시키고 탄 낙차와 바람의 영향을 줄여줍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74ms[br]장착 시간 -11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총구 속도 -85m/s}}}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머리 명중 50회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F.G42 컴펜세이터 || {{{#green 수평 반동 -5cm}}} || {{{#red 가청 거리 +14m[br]조준 시간 +34ms[br]장착 시간 +124ms}}} || ||<-3>원래 독일군 FG42 기관총의 반동을 줄이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수평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 || Mk II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63m}}} || {{{#red 총구 속도 -90m/s[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24ms[br]장착 시간 +78ms}}} || ||<-3>특수 작전에 사용될 Mk II 스텐을 위해 맞춤 제작된 MOE 소음기입니다. || || Mk II-S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77m}}} || {{{#red 총구 속도 -150m/s[br]피해 -11[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50ms[br]장착 시간 +124ms}}} || ||<-3>스텐 Mk II 소음기의 특수한 파생형입니다. SOE가 개발하고 제작하였습니다. || || Mk1 보이스 제퇴기 || {{{#green 분당 발사 횟수 +2회[br]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5cm[br]반동 회복 -125ms}}} || {{{#red 가청 거리 +28m[br]조준 시간 +24ms}}} || ||<-3>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7cm[br]반동 회복 -100ms}}} || {{{#red 가청 거리 +21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브라밋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77m}}} || {{{#red 총구 속도 -130m/s[br]피해 -16[br]조준 안정성 +2cm}}} || ||<-3>매우 강력한 소련제 '삼렬' 소음기입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6cm}}} || {{{#red 조준 시간 +44ms[br]장착 시간 +175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탄창 ] || 이름 || 장점 || 단점 || || 38-55 카우보이 || {{{#green 가청 거리 -14m[br]분당 발사 횟수 +6회[br]재장전 시간 -0.29초[br]조준 시간 -21ms[br]장착 시간 -33ms[br]조준 이동 속도 +5%}}} || {{{#red 총구 속도 -70m/s[br]피해 -10}}} || ||<-3>잠금 해제 조건: 15m 이내의 거리에서 이 무기로 처치 40회 || ||<-3>작은 구경의 탄은 사격 속도를 높여주지만 저지력이 감소합니다. || || 45-70 고속 || {{{#green 유효 사거리 +90m[br]총구 속도 +90m/s}}} || {{{#red 가청 거리 +21m[br]조준 시간 +61ms[br]조준 이동 속도 -10%}}} || ||<-3>잠금 해제 조건: 200m 거리에서 이 무기로 처치 50회 || ||<-3>원거리 전투에 적합한 이 고속 탄환은 무기의 사거리를 크게 늘려주지만, 기동성과 가청 거리에 악영향을 줍니다. || || 50-70 중량 || {{{#green 피해 +40}}} || {{{#red 유효 사거리 -60m[br]총구 속도 -50m/s[br]분당 발사 횟수 -2회[br]재장전 시간 +0.29초}}} || ||<-3>잠금 해제 조건: 기계식 조준기를 장착한 이 무기로 조준하며 처치 100회 || ||<-3>중량탄은 근거리에서 추가 피해를 주지만 총구 속도가 감소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4cm}}} || {{{#red 탄 퍼짐 정확도 +15cm}}} || ||<-4>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6cm}}} || {{{#red 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75ms}}} || ||<-4>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3cm}}} || {{{#red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24ms[br]장착 시간 +78ms}}} || ||<-4>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8회[br]재장전 시간 -0.24초}}} || {{{#red 조준 안정성 +7cm}}} || ||<-4>삽탄 및 재장전 시간을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8회[br]재장전 시간 -0.24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4>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12cm}}} || {{{#red 분당 발사 횟수 -4회}}} || ||<-4>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4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15cm}}} || ||<-4>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4cm}}} || ||<-4>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4cm}}} || {{{#red 조준 시간 +79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4>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유일한 단발 폴링 블록 소총이다. 단발 무기라 한 번 사격한 뒤에는 빈틈이 크고, 총검 장착도 불가능해 지근거리 교전에서는 좋지 않다. 그런데도 사거리 또한 300m로 다소 짧고 총구 속도와 정확도도 특출나지 않아, 장거리 저격에 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 무기의 차별점은 235라는 독보적인 한 방 위력이다. 이 수치는 예거 등 정예병까지 전 부위 한 방이 보장되는 수치이기에, 유효 사거리 너머의 적을 노리는 게 아니라면 이 무기는 약점 조준 없이 어디에든 맞혀도 된다. 이는 정밀한 조준이 힘들어지는 현실적 난이도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장점이다. 한편 그 강력한 위력 덕분에 대물용으로도 뛰어난데, 철갑탄이 있으면 판처뷕세에 준하는 대물 능력을 보여준다. === [[리-엔필드|No.4 볼트 액션]] === ||
장점||||||||||||뛰어난 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 용이|| ||단점||||||||||||느린 재장전|| ||해금법||||||||||||기본 지급("공수부대 엘리트" 무기 및 스킨 팩에 포함)|| ||가청 거리||105m||확대||8배||탄창 크기||10발|| ||설명||||||||||||영국의 볼트 액션 소총으로 인체 공학적 설계와 빠르고 정확한 사격으로 유명합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600m || || 총구 속도 || 740m/s || || 피해 || 115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44회 || || 재장전 시간 || 6.54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16cm || || 수평 반동 || 15cm || || 수직 반동 || 14cm || || 탄 퍼짐 정확도 || 35cm || || 반동 회복 || 45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287ms || || 장착 시간 || 700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0%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기계식 조준기 || 1 || {{{#green 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108ms[br]장착 시간 -117ms[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탄 낙차 눈금 없음}}} || ||<-4>근거리 전투에 적합한 제식 기계식 조준기입니다. || || No.32 Mk1 || 8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 ||<-4>기본 조준기 || ||<-4>No.32[*오타]는 전장에서 저격수의 역할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본격적인 시도의 일환으로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A5 Win & Co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br]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9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미군 제식 조준경입니다. 1903 소총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B4 Win & Co || 7 || {{{#green 조준 시간 -49ms}}} || {{{#red 단일 조준경 배율}}} || ||<-4>Win & Co A5에 기반하여 개발된 B4는 배율이 살짝 낮지만 더 가볍고 조준 속도가 빠릅니다. || || M81 || 10 || {{{#green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3ms}}} || {{{#red 낮은 가시성}}} || ||<-4>M1C 저격소총과 함께 지급되는 이 다목적 조준경은 추후 개량되어 M84로 재탄생했습니다. || || M84 || 12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red 낮은 가시성[br]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22ms}}} || ||<-4>개발 당시의 기준으로 다양한 배율을 제공한 최신식 조준경이었던 M84는 특정한 목적에 특화된 미군 소총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No.32 Mk2 || 8 || {{{#green 뛰어난 가시성}}} || {{{#red 조준 시간 +22ms}}} || ||<-4>약간 개선된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Mk2 No.32 조준경은 Mk1을 대체하기 위해 영국군 저격수에게 지급되었습니다. || || PPCo || 4 || {{{#green 뛰어난 가시성[br]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7ms}}} || ||<-4>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 및 영연방군 저격수가 사용한 PPCo는 매우 튼튼하며 낮은 배율을 제공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블루잉 || {{{#green 분당 발사 횟수 +5회[br]재장전 시간 -0.59초[br]조준 시간 -57ms[br]장착 시간 -64ms}}} || {{{#red 수직 반동 +4cm}}} || ||<-3>무게가 줄어 사격 속도를 높여주는 경량 총열입니다. || || 중량 인산염피막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4cm}}} || {{{#red 분당 발사 횟수 -6회[br]재장전 시간 +0.73초[br]조준 시간 +51ms[br]장착 시간 +124ms}}} || ||<-3>반동을 줄여주지만 기동성 역시 저하하는 무거운 총열입니다. || || 연장 저격 || {{{#green 총구 속도 +100m/s[br]피해 +10}}} || {{{#red 분당 발사 횟수 -6회[br]조준 안정성 +5cm[br]수평 반동 +5cm[br]조준 시간 +51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0%}}}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머리 명중 50회 || ||<-3>총구 속도를 개선하여 피해를 증가시키고 탄 낙차와 바람의 영향을 줄여줍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48ms[br]장착 시간 -11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총구 속도 -120m/s}}} || ||<-3>잠금 해제 조건: 기계식 조준기를 장착한 이 무기로 조준하여 처치 60회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M1905 총검 || {{{#green 정예병 정면 처단}}} || {{{#red 장착 시간 +78ms}}} || ||<-3>1906년 미국에서 개발된 길고 치명적인 총검입니다. || || Mk II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47m}}} || {{{#red 총구 속도 -90m/s[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15ms[br]장착 시간 +78ms}}} || ||<-3>특수 작전에 사용될 Mk II 스텐을 위해 맞춤 제작된 MOE 소음기입니다. || || Mk II-S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57m}}} || {{{#red 총구 속도 -150m/s[br]피해 -11[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32ms[br]장착 시간 +124ms}}} || ||<-3>스텐 Mk II 소음기의 특수한 파생형입니다. SOE가 개발하고 제작하였습니다. || || Mk1 보이스 제퇴기 || {{{#green 분당 발사 횟수 +2회[br]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4cm[br]반동 회복 -113ms}}} || {{{#red 가청 거리 +21m[br]조준 시간 +15ms}}} || ||<-3>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6cm[br]반동 회복 -90ms}}} || {{{#red 가청 거리 +15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맥신 1910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36m}}} || {{{#red 총구 속도 -35m/s[br]조준 안정성 +2cm}}} || ||<-3>성능이 탁월하고 두루 사용되는 미군 소음기입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5cm}}} || {{{#red 조준 시간 +29ms[br]장착 시간 +175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탄창 ] || 이름 || 장점 || 단점 || || 소형 고압 탄창 || {{{#green 총구 속도 +30m/s[br]피해 +10}}} || {{{#red 가청 거리 +10m[br]탄창 크기 -5발[br]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4cm[br]반동 회복 +45ms}}} || ||<-3>크기는 작지만 압력을 늘린 탄창입니다. 저지력은 강해지지만 반동 역시 심해져, 제어하기가 힘들어집니다. || || 20발 탄창 || {{{#green 탄창 크기 +10발}}} || {{{#red 조준 안정성 +7cm[br]조준 시간 +25ms[br]장착 시간 +175ms[br]달리기 이동 속도 -2%[br]조준 이동 속도 -10%}}}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관통 처치 20회 || ||<-3>기동성을 희생하여 용량을 늘린 큰 연장 탄창입니다. || || 5발 경량 탄창 || {{{#green 분당 발사 횟수 +2회[br]재장전 시간 -0.73초[br]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26ms}}} || {{{#red 탄창 크기 -5발}}} || ||<-3>잠금 해제 조건: 250m 거리에서 이 무기로 처치 30회 || ||<-3>작고 가벼운 탄창입니다. 기동성과 재장전 속도를 향상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5cm}}} || {{{#red 재장전 시간 +1.15초}}} || ||<-3>이 칙패드는 사격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3cm}}}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3>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4cm}}} || {{{#red 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68ms}}} || ||<-3>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2cm}}}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5ms[br]장착 시간 +78ms}}} || ||<-3>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9회[br]재장전 시간 -0.59초}}} || {{{#red 조준 안정성 +7cm}}} || ||<-3>삽탄 및 재장전 시간을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전방 손잡이 ] || 이름 || 장점 || 단점 || || 두꺼운 손잡이 테이프 || {{{#green 탄 퍼짐 정확도 -11cm}}} || {{{#red 조준 안정성 +3cm}}} || ||<-3>잡은 손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하여 무기의 조작감과 반동 제어에 큰 영향을 줍니다. || || 얇은 손잡이 테이프 || {{{#green 탄 퍼짐 정확도 -7cm}}} || {{{#red 조준 안정성 +2cm}}} || ||<-3>잡은 손의 안정성을 향상하여 무기의 조작감과 반동 제어에 영향을 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9회[br]재장전 시간 -0.59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3>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7cm}}} || {{{#red 분당 발사 횟수 -4회}}} || ||<-3>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5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3>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3cm}}} || {{{#red 분당 발사 횟수 -4회[br]재장전 시간 +0.49초}}} || ||<-3>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3cm}}} || ||<-3>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51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3>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 [[모신나강|모신나강 M91/30]] === ||
장점||||||||||||매우 작은 탄 낙차[br]반동 제어 용이|| ||단점||||||||||||매우 느린 볼트 액션|| ||해금법||||||||||||"불시착" DLC 구매|| ||가청 거리||140m||확대||3배||탄창 크기||5발|| ||설명||||||||||||저지력이 높고 안정적인 것으로 유명한 이 소련제 소총은 7.62mm 탄을 사용하며, 뛰어난 살상력을 자랑합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550m || || 총구 속도 || 860m/s || || 피해 || 140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30회 || || 재장전 시간 || 3.71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18cm || || 수평 반동 || 17cm || || 수직 반동 || 18cm || || 탄 퍼짐 정확도 || 52cm || || 반동 회복 || 45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350ms || || 장착 시간 || 700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0%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기계식 조준기 || 1 || {{{#green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50ms[br]장착 시간 -117ms[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탄 낙차 눈금 없음}}} || ||<-4>근거리 전투에 적합한 제식 기계식 조준기입니다. || || PU || 3 || || || ||<-4>기본 조준기 || ||<-4>간단하지만 가볍게 설계된 소련제 조준경입니다. || || 97식 || 6 || || {{{#red 매우 낮은 가시성[br]조준 시간 +15ms}}} || ||<-4>이 낮은 배율의 광학 조준경은 일본군에 의해 중거리 교전용으로 개발 및 제작되었습니다. || || M81 || 10 || || {{{#red 낮은 가시성[br]조준 안정성 +1cm[br]조준 시간 +127ms}}} || ||<-4>M1C 저격소총과 함께 지급되는 이 다목적 조준경은 추후 개량되어 M84로 재탄생했습니다. || || M84 || 12 || {{{#green 다양한 조준경 배율 선택 가능}}} || {{{#red 낮은 가시성[br]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169ms}}} || ||<-4>개발 당시의 기준으로 다양한 배율을 제공한 최신식 조준경이었던 M84는 특정한 목적에 특화된 미군 소총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ZF4 || 6 ||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44ms}}} || ||<-4>다양한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시대를 앞서간 조준경입니다. || || ZF41 CQB || 5 || || {{{#red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6ms}}} || ||<-4>근거리 교전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ZF41은 가볍고 다루기 쉬워 낮은 배율에서의 높은 조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연장 저격 || {{{#green 총구 속도 +100m/s[br]피해 +10}}} || {{{#red 조준 안정성 +4cm[br]수평 반동 +6cm[br]조준 시간 +62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0%}}} || ||<-3>잠금 해제 조건: "불시착" 임무에서 저항군 캠프 작업대 발견 || ||<-3>총구 속도를 개선하여 피해를 증가시키고 탄 낙차와 바람의 영향을 줄여줍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58ms[br]장착 시간 -11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총구 속도 -120m/s}}} || ||<-3>잠금 해제 조건: "불시착" 임무에서 광산 창고 작업대 발견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모신나강 총검 || {{{#green 정예병 정면 처단}}} || {{{#red 장착 시간 +78ms}}} || ||<-3>잠금 해제 조건: "불시착" 임무 처치 챌린지 완료 || ||<-3>러시아 제식 총검 || || F.G42 컴펜세이터 || {{{#green 수평 반동 -5cm}}} || {{{#red 가청 거리 +14m[br]조준 시간 +26ms[br]장착 시간 +124ms}}} || ||<-3>원래 독일군 FG42 기관총의 반동을 줄이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수평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7cm[br]반동 회복 -90ms}}} || {{{#red 가청 거리 +21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브라밋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77m}}} || {{{#red 총구 속도 -130m/s[br]피해 -16[br]조준 안정성 +2cm}}} || ||<-3>매우 강력한 소련제 '삼렬' 소음기입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6cm}}} || {{{#red 조준 시간 +35ms[br]장착 시간 +175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8cm}}} || {{{#red 재장전 시간 +0.65초}}} || ||<-3>이 칙패드는 사격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4cm}}} || {{{#red 탄 퍼짐 정확도 +13cm}}} || ||<-3>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7cm}}} || {{{#red 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68ms}}} || ||<-3>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3cm}}} || {{{#red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18ms[br]장착 시간 +78ms}}} || ||<-3>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6회[br]재장전 시간 -0.34초}}} || {{{#red 조준 안정성 +6cm}}} || ||<-3>삽탄 및 재장전 시간을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M40 대구경 || {{{#green 총구 속도 +40m/s[br]피해 +18}}} || {{{#red 가청 거리 +14m[br]재장전 시간 +0.41초[br]수평 반동 +7cm[br]수직 반동 +5cm[br]탄 퍼짐 정확도 +8cm[br]조준 시간 +39ms}}} || ||<-3>"판사르베른스게베르 M/40"를 개량한 스웨덴제 노리쇠 및 노리쇠 몸통을 사용하여 더욱 강력한 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6회[br]재장전 시간 -0.34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3>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10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 || ||<-3>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13cm}}} || ||<-3>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5cm[br]수직 반동 -4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28초}}} || ||<-3>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4cm}}} || ||<-3>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4cm}}} || {{{#red 조준 시간 +62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3>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 [[2식 소총|특수낙하부대 소총]] === ||
장점||||||||||||반동 제어 용이[br]짧은 조준 시간|| ||해금법||||||||||||"파괴 공작원" 무기 및 스킨 팩 구매|| ||가청 거리||110m||확대||6배||탄창 크기||5발|| ||설명||||||||||||이 공수부대용 경량 소총은 기동성이 매우 탁월하면서도 작지만 빠른 6.5mm 탄을 사용하여 높은 살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380m || || 총구 속도 || 700m/s || || 피해 || 105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35회 || || 재장전 시간 || 3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17cm || || 수평 반동 || 14cm || || 수직 반동 || 12cm || || 탄 퍼짐 정확도 || 38cm || || 반동 회복 || 50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212ms || || 장착 시간 || 700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5% || || 조준 이동 속도 || 10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조준기 ] || 이름 || 배율 || 장점 || 단점 || || 기계식 조준기 || 1 || {{{#green 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83ms[br]장착 시간 -117ms[br]조준 이동 속도 +30%}}} || {{{#red 탄 낙차 눈금 없음}}} || ||<-4>근거리 전투에 적합한 제식 기계식 조준기입니다. || || ZF4 || 6 || || || ||<-4>기본 조준기 || ||<-4>다양한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시대를 앞서간 조준경입니다. || || 97식 || 6 || {{{#green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55ms}}} || {{{#red 매우 낮은 가시성}}} || ||<-4>이 낮은 배율의 광학 조준경은 일본군에 의해 중거리 교전용으로 개발 및 제작되었습니다. || || 99식 || 8 || {{{#green 조준 안정성 -2cm[br]조준 시간 -55ms}}} || {{{#red 매우 낮은 가시성}}} || ||<-4>T-97을 개량해서 만든 T-99는 상당한 배율을 제공하지만 시야가 좁습니다. || || PU || 3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62ms}}} || || ||<-4>간단하지만 가볍게 설계된 소련제 조준경입니다. || || ZF41 CQB || 5 || {{{#green 조준 시간 -59ms}}} || {{{#red 조준 안정성 +1cm}}} || ||<-4>근거리 교전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ZF41은 가볍고 다루기 쉬워 낮은 배율에서의 높은 조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블루잉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27초[br]조준 시간 -43ms[br]장착 시간 -64ms}}} || {{{#red 수직 반동 +3cm}}} || ||<-3>무게가 줄어 사격 속도를 높여주는 경량 총열입니다. || || 중량 인산염피막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3cm}}} || {{{#red 분당 발사 횟수 -5회[br]재장전 시간 +0.33초[br]조준 시간 +37ms[br]장착 시간 +124ms}}} || ||<-3>반동을 줄여주지만 기동성 역시 저하하는 무거운 총열입니다. || || 연장 저격 || {{{#green 총구 속도 +100m/s[br]피해 +10}}} || {{{#red 조준 안정성 +5cm[br]수평 반동 +5cm[br]조준 시간 +37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0%}}} || ||<-3>잠금 해제 조건: 엎드린 상태에서 이 무기로 처치 50회 || ||<-3>총구 속도를 개선하여 피해를 증가시키고 탄 낙차와 바람의 영향을 줄여줍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36ms[br]장착 시간 -11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0%}}} || {{{#red 총구 속도 -120m/s}}}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처치 150회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F.G42 컴펜세이터 || {{{#green 수평 반동 -4cm}}} || {{{#red 가청 거리 +11m[br]조준 시간 +16ms[br]장착 시간 +124ms}}} || ||<-3>원래 독일군 FG42 기관총의 반동을 줄이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수평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 || Mk II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49m}}} || {{{#red 총구 속도 -90m/s[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11ms[br]장착 시간 +78ms}}} || ||<-3>특수 작전에 사용될 Mk II 스텐을 위해 맞춤 제작된 MOE 소음기입니다. || || Mk II-S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60m}}} || {{{#red 총구 속도 -150m/s[br]피해 -11[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23ms[br]장착 시간 +124ms}}} || ||<-3>스텐 Mk II 소음기의 특수한 파생형입니다. SOE가 개발하고 제작하였습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6cm[br]반동 회복 -100ms}}} || {{{#red 가청 거리 +16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브라밋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60m}}} || {{{#red 총구 속도 -130m/s[br]피해 -16[br]조준 안정성 +3cm}}} || ||<-3>매우 강력한 소련제 '삼렬' 소음기입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4cm}}} || {{{#red 조준 시간 +21ms[br]장착 시간 +175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 || 허브 23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52m}}} || {{{#red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23ms[br]장착 시간 +175ms[br]달리기 이동 속도 -5%[br]조준 이동 속도 -20%}}} || ||<-3>정예 친위대 코만도가 1943년 이탈리아의 그란사소에서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를 구출하는 임무에서 사용했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7cm}}} || {{{#red 재장전 시간 +0.53초}}} || ||<-4>이 칙패드는 재장전 속도를 증가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2cm}}}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4>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6cm}}} || {{{#red 수평 반동 +4cm[br]반동 회복 +75ms}}} || ||<-4>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2cm}}}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1ms[br]장착 시간 +78ms}}} || ||<-4>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7회[br]재장전 시간 -0.27초}}} || {{{#red 조준 안정성 +7cm}}} || ||<-4>삽탄 및 재장전 시간을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7회[br]재장전 시간 -0.27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4>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8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 || ||<-4>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3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9cm}}} || ||<-4>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2cm}}} || {{{#red 분당 발사 횟수 -3회[br]재장전 시간 +0.23초}}} || ||<-4>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2cm}}} || ||<-4>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37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4>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 반자동 == === [[게베어 43|게베르1943]] === ||
장점||||||||||||빠른 사격 속도|| ||단점||||||||||||낮은 조준 안정성[br]긴 조준 시간|| ||해금법||||||||||||3번째 임무 '스파이 양성 학교'를 완료하세요.[br]추축군 침공자로 처치 10번을 달성하세요.(침공)[br]멀티플레이 15등급을 달성하세요.(멀티)|| ||가청 거리||130m||확대||6배||탄창 크기||10발|| ||설명||||||||||||사격 속도가 매우 빠른 독일제 반자동소총으로, 소련의 [[SVT-40|SVT]] 소총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처음 해금되는 반자동 소총이다. 반자동 소총 중에는 가장 균형 잡힌 성능을 가지고 있다. 반자동 소총 중 두 번째로 위력이 강하며, 넉넉한 장탄수와 빠른 재장전 속도도 갖춰 다수 상대 능력과 강한 화력이 필요할 때 써먹기 좋다. 탄 퍼짐이 넓지만 사거리와 총구 속도는 준수해, 반자동 소총 치고는 장거리 사격 능력도 괜찮다. 한편 특이한 전용 탄창 개조로, 7.92×33mm Kurz 탄을 사용하는 파생형을 재현하는 '쿠르츠 개조'가 있다. 이 개조를 적용하면 수직 반동이 크게 줄고 탄창이 무려 32발로 늘어나 정면 교전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그러나 피해가 65로 엄청나게 깎이는 탓에 저격 시에는 반드시 머리를 맞혀야 한다. 큰 의의는 없지만 여기에 브라밋 소음기까지 달면 고작 49라는, 소총 중 최악의 한 방 위력을 갖게 된다. === [[M1 카빈|M1A 카빈]] === ||
장점||||||||||||반동 제어 용이[br]빠른 사격 속도|| ||단점||||||||||||낮은 피해[br]장거리 사격에 부적합|| ||해금법||||||||||||5번째 임무 '페스퉁 건지'를 완료하세요.[br]멀티플레이 10등급을 달성하세요.(멀티)|| ||가청 거리||105m||확대||8배||탄창 크기||15발|| ||설명||||||||||||미국 병사들이 사용한 이 소총은 비할 데 없이 뛰어난 기동성과 반동 제어력을 갖췄으며, 대부분의 소총과 비교해 총성이 작기 때문에 비밀 임무에 적합합니다.|| 적은 소음과 빠른 이동 속도를 갖췄으며, 개조와 아음속탄으로 소음을 최대한 줄이면 소음 권총 수준으로 가청 거리(14미터)가 줄어들기에 중근거리 암살에 효과적이다. 또한 연사력에 최대한 투자할 경우 분당 600발에 근접하는 무시무시한 연사력을 보여준다. 단, 저지력은 그만큼 약하므로 가능한 한 머리를 노리거나 근거리에서 빠른 연사력으로 제압해야 한다. === [[RSC 소총|RSC 1918]] === ||
장점||||||||||||근거리에서 치명적[br]빠른 사격 속도|| ||단점||||||||||||긴 조준 시간[br]매우 큰 탄 낙차|| ||해금법||||||||||||7번째 임무 '비밀 병기'에서 처치 챌린지를 완료하세요.[br]멀티플레이 20등급을 달성하세요.(멀티)|| ||가청 거리||150m||확대||6배||탄창 크기||5발|| ||설명||||||||||||제1차 세계 대전 시대에 쓰인 프랑스제 반자동소총으로, 파괴력은 높지만 사거리가 짧고 무겁습니다.|| 유일한 프랑스제 소총이다. 추축군 침공 모드에서는 스프링필드와 SREM을 대신해 기본 무기로 주어진다. 독일군으로 플레이하는데 프랑스제 소총이 기본 무기인 게 이상하게 여겨질 수 있지만, 독일군은 이 무기를 노획해서 사용한 전적이 있고 본작의 배경도 프랑스다 보니 고증 오류는 아니다. 가장 늦게 해금되는 반자동 소총이지만 그럼에도 성능이 썩 좋지 않다. 넓은 탄 퍼짐과 드 라일 카빈 다음으로 짧은 사거리를 가져 장거리 사격에 좋지 않고, 5발이라는 적은 장탄수를 가진데다가 탄창 개조도 지원하지 않아 반자동 소총의 빠른 연사력이라는 장점이 퇴색되며, 가청 범위가 매우 넓어 은밀한 사격에도 적합하지 않다. 반동 제어도 힘든 편이다. RSC가 반자동 소총으로서 갖는 확실한 장점은 반자동 소총 중 가장 높은 피해 단 하나뿐이다. 그러나 그마저도 그 수치가 150을 넘지 못해, 약점이 아닌 곳에 맞으면 적이 한 방에 쓰러지지 않는 건 다른 반자동 소총과 똑같다. 이처럼 내세울 차별점이 부족한 무기라, 대부분의 상황에서 게베어에게 밀리는 신세다. === [[페더슨 소총]] === ||
장점||||||||||||빠른 사격 속도[br]뛰어난 조준 안정성|| ||단점||||||||||||제한된 기계식 조준기 가시성|| ||해금법||||||||||||"하늘에서 온 죽음" 무기 및 스킨 팩 구매|| ||가청 거리||120m||확대||1배||탄창 크기||10발|| ||설명||||||||||||미국에서 개발한 이 반자동 소총은 기계식 조준기만 사용할 수 있지만 반동 제어가 탁월하여 중거리 교전에 적합합니다.|| ||<-2> 총기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저지력 || || 유효 사거리 || 420m || || 총구 속도 || 730m/s || || 피해 || 100 || ||<-2> 사격 속도 || || 분당 발사 횟수 || 280회 || || 재장전 시간 || 2.9초 || ||<-2> 반동 제어 || || 조준 안정성 || 21cm || || 수평 반동 || 13cm || || 수직 반동 || 15cm || || 탄 퍼짐 정확도 || 51cm || || 반동 회복 || 400ms || ||<-2> 기동성 || || 조준 시간 || 200ms || || 장착 시간 || 583ms || || 달리기 이동 속도 || 105% || || 조준 이동 속도 || 130% ||}}} || ||<-4> 커스터마이징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열 ] || 이름 || 장점 || 단점 || || 연장 저격 || {{{#green 총구 속도 +100m/s[br]피해 +10}}} || {{{#red 조준 안정성 +5cm[br]수평 반동 +5cm[br]조준 시간 +35ms[br]달리기 이동 속도 -8%[br]조준 이동 속도 -26%}}}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머리 명중 50회 || ||<-3>총구 속도를 개선하여 피해를 증가시키고 탄 낙차와 바람의 영향을 줄여줍니다. || || 짧은 카빈 || {{{#green 조준 안정성 -4cm[br]조준 시간 -33ms[br]장착 시간 -97ms[br]달리기 이동 속도 +12%[br]조준 이동 속도 +26%}}} || {{{#red 총구 속도 -120m/s}}} || ||<-3>잠금 해제 조건: 이 무기로 처치 150회 || ||<-3>총구 속도를 희생하여 조준 및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구 ] || 이름 || 장점 || 단점 || || M1905 총검 || {{{#green 정예병 정면 처단}}} || {{{#red 장착 시간 +65ms}}} || ||<-3>1906년 미국에서 개발된 길고 치명적인 총검입니다. || || Mk II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54m}}} || {{{#red 총구 속도 -90m/s[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11ms[br]장착 시간 +65ms}}} || ||<-3>특수 작전에 사용될 Mk II 스텐을 위해 맞춤 제작된 MOE 소음기입니다. || || Mk II-S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66m}}} || {{{#red 총구 속도 -150m/s[br]피해 -11[br]조준 안정성 +5cm[br]조준 시간 +22ms[br]장착 시간 +103ms}}} || ||<-3>스텐 Mk II 소음기의 특수한 파생형입니다. SOE가 개발하고 제작하였습니다. || || Mk1 보이스 제퇴기 || {{{#green 분당 발사 횟수 +14회[br]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5cm[br]반동 회복 -100ms}}} || {{{#red 가청 거리 +24m[br]조준 시간 +11ms}}} || ||<-3>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 Mk2 보이스 제퇴기 || {{{#green 총구 속도 +38m/s[br]수평 반동 -5cm[br]반동 회복 -80ms}}} || {{{#red 가청 거리 +18m}}} || ||<-3>매우 효과적인 Mk1 보이스 대전차 소총의 포구 제퇴기의 개량형입니다. || || 맥신 1910 소음기 || {{{#green 가청 거리 -42m}}} || {{{#red 총구 속도 -35m/s[br]조준 안정성 +2cm}}} || ||<-3>성능이 탁월하고 두루 사용되는 미군 소음기입니다. || || 할콘 43 || {{{#green 수직 반동 -5cm}}} || {{{#red 조준 시간 +20ms[br]장착 시간 +146ms}}} || ||<-3>1943 아르헨티나제 기관단총에서 유래되었으며,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줍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개머리판 ] || 이름 || 장점 || 단점 || || 가죽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7cm}}} || {{{#red 재장전 시간 +0.51초}}} || ||<-3>이 칙패드는 사격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조준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 || 고무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3cm}}} || {{{#red 탄 퍼짐 정확도 +13cm}}} || ||<-3>개머리판 끝에 고무를 덧대어 반동 제어를 개선해줍니다. || || 나무 패드 || {{{#green 조준 안정성 -6cm}}} || {{{#red 수평 반동 +4cm[br]반동 회복 +60ms}}} || ||<-3>안정성을 개선해주지만 반동이 증가합니다. || || 중량 어깨받이 || {{{#green 수평 반동 -3cm[br]수직 반동 -2cm}}} || {{{#red 조준 안정성 +3cm[br]조준 시간 +11ms[br]장착 시간 +65ms}}} || ||<-3>무거운 철제 개머리판으로, 무기 뒤쪽에 무게를 더해 조작 특징에 영향을 줍니다. || || 탄입대 || {{{#green 재장전 시간 -0.58초}}} || {{{#red 조준 안정성 +5cm}}} || ||<-3>탄창의 인체공학적 위치 덕분에 재장전 시간이 감소합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총몸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총몸 || {{{#green 분당 발사 횟수 +56회[br]재장전 시간 -0.26초}}} || {{{#red 총구 속도 -40m/s[br]피해 -14}}} || ||<-3>더 가벼운 부품을 사용해 사격 속도가 높아집니다. || || 고압력 방아쇠 || {{{#green 탄 퍼짐 정확도 -10cm}}} || {{{#red 분당 발사 횟수 -28회}}} || ||<-3>길게 눌러야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탄 퍼짐이 감소합니다. || || 저압력 방아쇠 || {{{#green 분당 발사 횟수 +28회}}} || {{{#red 탄 퍼짐 정확도 +13cm}}} || ||<-3>짧게 눌러도 격발되는 방아쇠를 사용하여 사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중량 노리쇠 || {{{#green 수평 반동 -4cm[br]수직 반동 -3cm}}} || {{{#red 분당 발사 횟수 -25회[br]재장전 시간 +0.22초}}} || ||<-3>무거운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사용하여 반동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어력을 향상시킵니다. ||}}}}}}[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2%" {{{#!folding [ 구조 ] || 이름 || 장점 || 단점 || || 경량 느릅나무 || {{{#green 달리기 이동 속도 +5%}}} || {{{#red 수직 반동 +3cm}}} || ||<-3>이 가벼운 느릅나무 구조는 무기의 무게를 감소시켜줍니다. || || 너도밤나무 합판 || {{{#green 조준 안정성 -3cm}}} || {{{#red 조준 시간 +35ms[br]달리기 이동 속도 -5%}}} || ||<-3>표면을 코팅하여 손에서 잘 안 미끄러지며, 무기의 조작감에 영향을 줍니다. ||}}}}}} || 토글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는 반자동 소총이다. 쉬운 반동 제어와 빠른 총구 속도 및 재장전 속도를 가져, 자체 성능만 보자면 준수하다. 하지만 황당하게도 이 무기는 공식 설명에도 나와 있듯, 조준경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니 [[시모 해위해]]가 빙의한 듯 기계식 조준기로만 적을 조준해야 하기에 근중거리 전투가 거의 강제된다.--다만 해위해를 따라 하고싶으면 [[모신 나강]]을 써야한다.-- 이러면 조준기의 가시성이라도 좋아야 하는데, 가늠자 형태가 뾰족하지 않고 뭉툭한 직사각형 모양이라 적이 50m만 떨어져 있어도 가늠자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조준경이 없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자체 능력치를 살릴 수 없어, 유저들 사이에서는 예능용 총으로 취급받는다. 게다가 이런 형편없는 물건이 공짜도 아니고 DLC를 구입해야 얻을 수 있어 악평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