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병헌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스물'''}}} (2015)[br]Twenty}}} || ||<-2> [[파일:external/f4295eb7a3bd73724cb1693decffabe9549f08c37500c2ff06e7f3b65e8a52a1.jpg|width=100%]][* 일반판 포스터. 만우절 특별 복고 포스터는 [[https://image.ytn.co.kr/osen/2015/04/20150401_1427845574_92701300_1.jpg]]] || || {{{#ffffff '''감독 / 각본'''}}} ||[[이병헌(영화감독)|이병헌]] || || {{{#ffffff '''원작'''}}} ||[[최규석]] || || {{{#ffffff '''제작'''}}} ||임지문, [[정훈탁]], [[이성두]] || || {{{#ffffff '''기획'''}}} || || || {{{#ffffff '''촬영'''}}} ||노승보 || || {{{#ffffff '''조명'''}}} ||[[이병훈]] || || {{{#ffffff '''동시녹음'''}}} ||[[이상욱]] || || {{{#ffffff '''음향'''}}} ||[[이승철]], [[이성진]] || || {{{#ffffff '''편집'''}}} ||남나영 || || {{{#ffffff '''미술'''}}} ||[[채경선]] || || {{{#ffffff '''음악'''}}} ||[[김태성]] || || {{{#ffffff '''출연'''}}} ||[[김우빈]], [[준호|이준호]], [[강하늘]] 등 || || {{{#ffffff '''장르'''}}} ||[[코미디]], [[드라마]] || || {{{#ffffff '''제작사'''}}} ||㈜영화나무, [[iHQ|[[파일:kh_ihq_logo.png|width=30%]] iHQ]] || || {{{#ffffff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 {{{#ffffff '''촬영 기간'''}}} ||[[2014년]] [[7월 28일]] ~ [[2014년]] [[11월 8일]] || || {{{#ffffff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5년]] [[3월 25일]] || || {{{#ffffff '''상영 시간'''}}} ||115분 (1시간 55분)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22,271,862''' || || {{{#ffffff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3,044,859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국내 등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 친구가 20대의 첫 시작인 스물에 접어들면서 생기는 일들을 다룬 코믹 영화다. === 예고편 === ||
[youtube(jH6-ZBUbg-M)] || || {{{#ffffff '''▲ 메인 예고편'''}}} || === 등장인물 === ||
[[파일:스물 치호.jpg|width=100%]] || || {{{#ffffff '''차치호''' ([[김우빈|{{{#ffffff 김우빈}}}]] 扮)}}}[* 삭제장면 중 치호의 샤워신이 있다. [[https://youtu.be/LNtHRtDupxs|#]]] || >'''"니 엉덩이에 내 고추 비비고 싶어"''' >'''"한 놈은 친구 전 여자랑 쳐자고 한 놈은 친구 동생이랑 쳐자고"''' ||
[[파일:스물 동우.jpg|width=100%]] || || {{{#ffffff '''강동우''' ([[준호|{{{#ffffff 이준호}}}]] 扮)}}} || ||
[[파일:스물 경재.jpg|width=100%]] || || {{{#ffffff '''김경재'''[* 작중 친구의 질문에 본인의 김씨 본관이 [[안동 김씨]]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강하늘의 본명이 김하늘인데, 그래서 강하늘의 김씨 본관이 안동 김씨 아니냐는 추측이 많이 있다.] ([[강하늘|{{{#ffffff 강하늘}}}]] 扮)}}} || >'''"스물이 좋을 때인 이유는 길을 잘못 들었다 해도 언제든지 돌아갈 시간이 있어서다."''' ||
[[파일:dbc5742668989d6cca960e4fe084ba01171a6106.jpg|width=100%]] || || {{{#ffffff '''이소민''' ([[정소민|{{{#ffffff 정소민}}}]] 扮)}}} || ||
[[파일:8b2fec7b991cf1fc8e89a155e1694595618d6378.jpg|width=100%]] || || {{{#ffffff '''김소희''' ([[이유비|{{{#ffffff 이유비}}}]] 扮)}}} || >'''''고3이라 쳐졌을 것 같지?''''' >'''''나 지금 물올랐어. 완전 탱탱해!''''' ||
[[파일:25e743718dcaa9f63e9e4d2897dbc435e1dff5f6.jpg|width=100%]] || || {{{#ffffff '''진주''' ([[민효린|{{{#ffffff 민효린}}}]] 扮)}}} || ||
[[파일:6b09af87161114d061549df3e62c792d883871ac.jpg|width=100%]] || || {{{#ffffff '''허은혜''' ([[정주연|{{{#ffffff 정주연}}}]] 扮)}}} || * [[김의성]] - 치호부[* 삼인방의 아버지중 유일하게 자식의 곁에 있다. 동우의 아버지는 회사의 비리를 뒤집어쓰고 감옥에 있으며, 경재의 아버지는 요절했다.] * [[박명신]] - 치호모 * [[김종수]] - 동우 큰아버지 * [[오현경(1970)|오현경]] - 동우모 (우정출연) * [[소희정]] - 경재, 소희모 * [[양현민]] - 이소중[* 소민의 친오빠이다.] * [[안재홍(배우)|안재홍]] - 황인국 * [[박혁권]] - 추승윤 (우정출연) * [[최일구]] - 뉴스 앵커 (특별출연) * [[나인우]][* 당시엔 본명인 나종찬으로 활동.]- 강동원 (단역) === 평가 및 흥행 === [include(틀:스포일러)] ||
★★☆ '''미래의 가능성과 희망? 지금 웃으며 할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이용철- ★★ '''재기 넘치게 펼쳐놓고 전형적으로 봉합하는''' -김성훈- || 후반부에서 억지로 감동을 쥐어짜내는 한국 코미디 영화의 [[클리셰]]를 '''정면으로 부숴 버리고''',[* 어쩔 수 없이 만화가의 꿈을 접기로 결정한 동우가 그것을 비판하는 치호에게 "왜 포기하는 사람은 욕먹어야 하는데!"라며 일갈하는 장면에서는 분위기가 신파로 새나 싶었지만, 거기서 눈물을 짜려다 안 나와서(...) 분위기가 딱 끊기며 다시 코미디로 급반전된다. 대놓고 한국식 신파극의 클리셰를 조롱까지 한 셈.] 엔딩까지 웃음으로 꽉꽉 채워넣은 일관적인 전개로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물론 진지한 장면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치호가 은혜에게 차이는 장면, 동우가 병원에 입원한 엄마와 말싸움을 하는 장면, 경재가 짝사랑하는 선배의 비밀이 드러나는 장면 등이 있다.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심각하게 다뤄지지는 않아서 극의 몰입감은 해치지 않았다. 그리고 코미디 영화라고 해도 관객들의 피로감을 덜어주기 위해 웃음의 완급 조절이 필요하므로 이런 웃음기 빠진 장면들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주연 3인방이 '''완전히 내려놓고''' 연기한 '''찌질한 캐릭터'''들을 '''미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려낸 것이 중요했다. 이것이 스물이 흥행할 수 있었던 이유로, "저 찌질이 같은 캐릭터들이 자기연민이나 신파에 찌들어 있었으면 보기 싫었을 수도 있는데 끝까지 병맛이라 웃으면서 봤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개봉 9일 만인 4월 3일 손익분기점인 누적관객수 150만을 돌파했고, 최종 누적 관객수는 304만으로 괜찮은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신인 감독의 입봉작[* 이병헌 감독은 이전에 독립영화 작품은 있었으나 상업영화로는 스물이 입봉작이다.] + 젊은 배우 위주의 캐스팅 + 청춘물에 B급 코미디 장르 + 비수기 개봉이라는 흥행의 악조건을 모두 뚫고 이뤄낸 쾌거라 뜻깊은 성과다. 그래서 그런지, 수위가 센 대사들로 인해 관객들의 호불호는 갈렸으나 도리어 평론가들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상당히 좋았다. 전반적으로 재미있고 기존 코미디 영화와는 다르다는 평과 스무살 때 삶의 무게라는 주제에 비해 지나치게 분위기가 가볍고 과도한 섹드립 때문에 불편하다는 지적이 갈리는 편이다. 위 평론가들의 평도 그러한데 혹평하는 사람들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보고 남는 것이 없다.''' 라는 것. 하지만 오히려 대중들은 어떻게 모든 스무살의 인생이 교훈이 있고 진지하겠냐며 함께 있으면 두려울게 없어 사고를 치고 다니고 선넘는 행위를 하다가 망신을 당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이 정말 나 20살적 친구들 같다며 호평하는 사람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실연의 아픔과 앞으로의 진로 등 자신들의 삶의 기로에서 고민하며 군입대를 하는 모습까지 정말 현실적으로 20살 청년들 같아서 오히려 훈훈하고 감동적이였다는 평. [[대종상]],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에 이병헌 감독과 [[강하늘]]이 신인감독상, 신인남우상 후보에 모두 노미네이트 되었으나 수상하는데는 실패했다. 이병헌 감독은 4년 후 [[바람 바람 바람]]에서 실패를 했지만, 다시 1년 후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으로 천만관객 동원 감독의 반열에 오른다. 극한직업도 스물처럼 억지 신파극은 배제하고 웃음으로 꽉 채워넣었다는 것이 특징. === 여담 === 이병헌 감독은 "영화 제작을 위해 요즘 스무살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었다. 허나 '''수위가 너무 세서 순화했다'''"고 했다. --나이 보단 개인차 같은데-- --어디서 그런 이상한 20대들만 만난 거야-- 또한 "차치호"는 이병헌 감독의 군대 시절 괴롭히던 선임 이름, "김경재"는 이병헌 감독의 실제 친구 이름이다. 그리고 입시미술을 하지만 가정형편으로 꿈을 접는 강동우의 에피소드는 [[최규석]]의 만화 '울기엔 좀 애매한'을 각색한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영화 후반부에 울기엔 좀 애매하다는 의미의 대사가 나온다.] 세 주연 뿐만 아니라 다른 등장인물들도 상당한 똘끼를 자랑한다. 치호의 아빠는 아들의 욕정 드립에 걱정도 하더니 용돈을 달라며 생쇼를 해대는 아들에게 한 술 더 떠서 날아차기를 시전하질 않나,[* 하지만 이후 치호가 은혜에게 차인 후, 집에서 꼼짝도 않고 있자, 그러고 있지말고 평소 하던대로 놀러라도 다니라는 의미로 결국 용돈을 준다.] 동우의 엄마는 허구한 날 아들한테 나 예쁘다고 자뻑하질 않나, 경재 동생 소희는 오빠 친구인 동우에게 우리 오빠 [[자위|ㅈㅇ]]했다고 까버리더니 생일에는 야동이 듬뿍 담긴 USB를 선물하고[* 참고로 소희는 동우를 좋아한다(...)], 소민은 치호의 무지막지한 섹드립에 헤어지자 드립에도 전혀 당황하지 않고 받아친다(...). ~~이쪽은 똘끼보단 그냥 치호에게 적응한 거 일수도 있다...~~ 2016년 2월 9일 [[KBS2]]에서 설날 특선영화로 방영하는 패기를 보여주었다. 섹드립은 전혀 검열 안 하면서 욕만 무음처리된 것은 덤(...) 하지만 극 중 가장 수위가 높았던 대사 '''"선배 엉덩이에 내 [[음경|X추]] 비비고 싶어요."'''는 도저히 어떻게 해 볼 수 없었는지 결국 통편집 처리됐다.[* 영화가 나온지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도 이 대사만큼은 기억한다는 사람이 있을만큼 임팩트 있는 씬이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물, version=109, paragraph=2)] [[분류:이병헌(영화감독)/작품]][[분류:2015년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가치봄]][[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