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Swan Song. 가수나 음악가 등의 유작이나 최후의 걸작을 의미하는 용도로 쓰이는 말이다. 스포츠에서는 은퇴를 앞둔 베테랑 선수들이 좋은 폼을 보일 때 사용된다. [[고니(조류)|백조]]의 [[노래]]로 불리는 이유는 흔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 때문인데, 비록 사실이 아니지만 고대로부터 [[고니(조류)|고니]][* 백조는 표기한 한자를 그대로 읽은 것. 일부에서 백조는 일본식 표현이라고 하지만 조선시대에도 쓰인 엄연한 표준어다.]는 평생 단 한번 죽기 직전에 울며, 그 노래가 정말 아름답다는 속설에서 따온 것이다. [youtube(elr6v0oooeM)] [youtube(TTGpMSXKE8A)] 서양에서 이런 속설이 생겨난 이유는 [[서유럽]]에 주로 서식하는 혹고니(Cygnus olor)가 오리과 새 답지 않게 울음소리를 거의 내지 않는 종이기 때문이다. 날카롭게 쉭쉭거리는 소리를 내기만 할 뿐, 다른 오리과 새들에 비하면 매우 조용하다. 대신 새끼를 지키려는 [[모성애]]/[[부성애]]가 강하고 성격이 굉장히 난폭해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잦은 편. 반면 우리가 생각하는 고니의 이미지는 주로 [[북유럽]]과 [[동아시아]]에 주로 도래하는 큰고니(Cygnus cygnus)로, 매우 시끄럽게 울어제끼는 종이다보니 우리나라의 철새도래지에서 큰고니 울음소리를 들어본 사람에게는 별로 와닿지 않는 표현일 것이다. 혹고니의 울음소리가 궁금한 이들을 위해 묘사하자면, '삐요, 삐요, 삐요' 또는 '호- 호-' 하고 운다. 생각 외로 그리 아름다운 음색도 멜로디도 아니라 실제로 듣고 실망한 이들도 많은 듯.[* 큰고니는 꾸르륵 꾸르륵 소리를 내며 운다. 영어 이름에는 혹고니와 큰고니의 습성 차이가 반영되어 있다. 조용한 혹고니는 mute swan, 우렁차게 울부짖는 큰고니는 whooper swan, 나팔소리처럼 울부짖는 울음고니/나팔고니는 trumpeter swan.] 한편 동양에서도 비슷한 말이 있는데, [[논어]] 태백편에서 [[증자(인물)|증자]]가 "새는 죽을 때 그 소리가 구슬프고, 사람은 죽을 때 그 말이 아름답다(鳥之將死 其鳴也哀 人之將死 其言也善)"라고 언급했다. 위의 이유로 [[프란츠 슈베르트]]의 사후 그의 최후의 가곡들을 모은 가곡집의 이름 역시 '백조의 노래'이다. 명칭 때문에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와는 혼동하지 말기를. == 각종 창작물의 스완송 == * [[폴라리스 랩소디]]에서는 이 노래를 모아 [[스완 대거]]를 만들었다고 한다. * 만화 <[[오디션(만화)|오디션]]>에서는 이 곡으로 시험(?)을 봤다. 전설처럼, 퍼머넌트웨이브라는 밴드가 이 명곡을 만들고 집단자살 했다는 설정이 있다. * [[이영도]]의 단편소설 <[[오버 더 호라이즌]]>에선 중심 소재로 나오기도 한다. * [[에픽하이]]의 정규 3집 <[[Swan Songs]]>. *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의 도입부에서 나오는 수수께끼의 레코드 제목. * [[에로게]] [[SWAN SONG]]. 대지진이 일어나 고립된 도시가 배경인 [[재난물]]. *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백조의 노래]] * [[페이데이 2]]의 [[페이데이 2/스킬|스킬]]인 Swan Song. 에이스일때 다운 직전 6초간 무적+무한탄창 상태가 된다. * [[앙상블 스타즈!]]의 유닛인 <[[Valkyrie(앙상블 스타즈!)|Valkyrie]]>가 정점에서 몰락하게 되는 스토리의 부제가 Swan Song이다.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에서 쓰이는 절창의 영어용어가 Swan Song이다. 생명을 불태우는, 최강의 위력을 자랑하는 기술을 쓰기 위한 노래인것을 생각하면, 일종의 [[초월번역]]이라고 볼 수도 있다 * [[Carcass]]의 앨범 Swansong. [[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