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파일: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 로고 2018.svg|width=200&bgcolor=#fff]]]]}}}[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33.33%" [[세바스티안 인그로소|{{{#000 Ingrosso}}}]]}}}{{{#!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33.33%" [[Axwell|{{{#000 Axwell}}}]]}}}{{{#!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33.33%" [[스티브 안젤로|{{{#000 Angello}}}]]}}}[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7px" [[파일:EkTiadFVoAIQS8_.jpg|width=100%]][br][[파일:SwedishHouse_L.jpg|width=100%]]}}}|| ||<-2> '''{{{#ffffff {{{-2 왼쪽부터}}} 악스웰, 안젤로, 잉그로소}}}''' || || '''{{{#000000 결성}}}'''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스웨덴]] || || '''{{{#000000 데뷔}}}''' ||[[2010년]]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ffffff '''One'''}}}}}} || || '''{{{#000000 활동 시기}}}''' ||[[2008년]] - [[2013년]], [[2018년]] - 현재 || || '''{{{#000000 장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 || || '''{{{#000000 소속}}}''' ||Virgin/EMI, Astralwerks, Polydor, Astralwerks, Polydor, [[Sony Music]], Republic[* 재결합 이후 발매하는 앨범들은 유니버설 산하의 리퍼블릭 레코드를 통해 발매하고 있다.] || || '''{{{#000000 관련 링크}}}''' ||[[https://www.facebook.com/swedishhousemafi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wedishousemfia, 크기=24)] || || '''{{{#000000 홈페이지}}}''' ||[[http://swedishhousemafia.com|[[파일:swedish twtiter logo image_.jp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8년도에 디제이이자 프로듀서로 활동했던 [[악스웰]],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스티브 안젤로]] 3명이 프로젝트성으로 결성된 트리오 그룹. [[EDM]]씬의 황금기라고 불렸던 2010년대 전후에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어마어마한 대중적인 흥행을 일으킨 그룹이기도 하다. == 활동 == === 결성 전 === 안젤로와 잉그로소 둘은 같은 [[스톡홀름]]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였고 자주 교류하던 사이었다. 그러던 중 악스웰 그리고 Laidback Luke[* [[필리핀]]계 네덜란드 출신의 하우스 DJ이다.] 와 함께 [[2007년]] 'Get Dumb'이란 곡을 작곡하게 되었다.[* Don't you worry child 뮤비에서는 2005년부터 활동을 했다고 나왔있다. 아마 이전에도 이 셋이서 꾸준히 활동을 했는듯 하다.] 그리고 이렇게 만난 넷은 2009년 'Leave the World Behind'란 곡으로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Laidback Luke을 제외한 이 셋은 [[2010년]] '''Swedish House Mafia'''로 정식 데뷔하였다. === 결성 후 === [[파일:152779006_2.jpg]] 2010년 Leave the World Behind으로 뭉친 셋은 2010년 SHM이름으로 낸 첫번째 싱글 One으로 정식 데뷔를 하고 두번째 싱글 Miami 2 Ibiza로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앞의 두 싱글과 SHM 결성 전 제작된 멤버 개인의 트랙을 적절하게 믹스한 첫 정규 음반 Until One을 발매하여 [[EDM]]씬에서 '''진짜 마피아'''가 되었다.[* 이때의 이야기는 그들의 첫 [[다큐멘터리]]인 Take One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그리고 2011년부터 2012년까지 Antidote(Swedish House Mafia VS [[Knife Party]]), Save the world (Featuring John Martin), Greyhound 그리고 '''Don't you worry child(Featuring John Martin)'''을 싱글로 발매 그리고 정규 2집인 Until Now를 발매하였다. === 해체 === 2012년 6월 24일 공식 홈페이지에 '''다음 투어가 우리들의 마지막 공연이 될 것이다''' 라는 내용이 올라오고 9월 24일 마지막 투어인 '''One Last Tour'''를 공개했다. 2013년 3월 24일 위 사진에도 나와있는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UMF]] [[마이애미]]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체를 했다. 여러 가지 많은 썰들이 있었지만 사실 대단한 이유는 없고 세 사람 개인 활동이 더 중요해서 해체 하기로 하였다(...)[* 그럴것이 3명 모두 개인 레이블을 이끌고 있었고 각자 자신만의 스타일이 있었다.] 안젤로를 제외한 둘은 2014년 [[Axwell Λ Ingrosso]]라는 이름으로 다시 뭉친다. 항목 참조. === 재결합 === 그렇게 몇 년 간 각자 활동하던 중, 2018년 3월 3일에 SHM 페이스북에 새로운 커버 사진이 게시되며 재결합 떡밥이 스멀스멀 올라오더니, 2018년 20주년 Ultra Music Festival 메인스테이지 타임테이블 마지막 무대에서 보란듯이 재결합 무대를 선보였다. 그리고 최근 안젤로의 인터뷰에 따르면 무슨 일이 있더라도 2019년 Tomorrowland 에서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로서 공연할 것이라고 밝혔다. [youtube(YWOJuuPW47w)] 2018년 10월 23일 유튜브 공식 채널의 스트리밍에서 3분 28초 경에 "We reunite."라고 하며 재결합이 확정되었다. 2019년 5월 4일에 [[스톡홀름]]의 Tele2 Arena에서 공연을 할 예정이다. 단발성 투어인지, 월드 투어인지, 신곡이 있을 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2019년 6월 7~9일 [[울트라 코리아]] 참가로 첫 내한공연이 확정되었으나, 9일에 갑작스럽게 참가를 못한다는 [[https://www.facebook.com/69448024527/posts/10157876116789528?sfns=mo|공지가 올라왔다.]] 국내 EDM 팬들은 '진짜 울트라 코리아 망했네'라는 반응을 보이는중. 2020년 이후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펜데믹으로 한동안 활동이 없다가,[* 재결합 이후에도 라이브 공연만 하고 신곡을 발매하지 않았다. ] 2021년 7월 경, 호주 멜버른에서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의 로고와 함께 16 07 21이라는 날짜가 적힌 포스터가 발견되더니, 공식 홈페이지의 표지가 바뀌었고, 이후 공식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트위터에 오랜만에 새 게시물을 올리면서 컴백이 확정되었다. Don't You Worry Child 이후로 8년 만의 신곡이 공개될지의 여부가 주목된다. 그리고 2021년 7월 14일 공식 SNS를 통해 의문의 사진을 올리더니 [[https://twitter.com/swedishousemfia/status/1414989353353285632?s=20|#]] 7월 16일, 그동안 ID로 틀어졌던 It Gets Better를 공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xqy7Wz22Gs|#]] 그러나 하단에 있는 ID버전과 완전히 다른 트랙이 되었고 퀄리티도 미묘해서 호불호가 상당히 갈렸다.[* 예전 버전은 발매 3개월 후인 10월 31일 악스웰의 인스타그램 댓글을 통해 깜짝 배포되었다. 현재는 댓글이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Proximity]] 채널에서 감상이 가능하다.] 며칠 뒤인 7월 20일에는 [[Ty Dolla $ign]], [[070 Shake]]가 피처링한 Lifetime이 공개되었다. 9월 13일에는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The Weeknd]]와 작업 중인 제목 미정의 곡이 짧게 공개되었다. 이후 이 곡은 10월 22일 Moth To A Flame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 이후 위켄드와 계속 협업하여, 위켄드의 정규 앨범인 [[Dawn FM]]의 트랙 중 Sacrifice에 참여하였고, 2022년 1월 12일에는 이 곡의 리믹스를 발매했다. 2022년 2월 25일에는 [[스팅(가수)|Sting]]이 보컬로 참여한 Redlight를 발매하였다. 2022년 4월 15일에는 첫 스튜디오 앨범 Paradise Again을 발매하였다. 2022년 12월, [[The Weeknd]]가 보컬로 참여한 영화 [[아바타: 물의 길]] OST인 "Nothing is lost (You give me strength)"에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이 곡에 해 영화 음악 감독인 사이먼 프랭글렌도 함께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 평가 == 멤버 3명 모두가 집깡패라는 명의로 디제잉을 시작한게 아니고, 결성하기 전부터 [[DJ MAG]] 매거진 TOP 100에 들었을 정도로 3명 모두 실력을 인정 받아온 DJ들이다.[* SHM로 데뷔를 했는 2010년 기준으로 DJ MAG TOP 100에 악스웰은 10위 안젤로는 14위 그리고 잉그로소는 16위로 '''3명 모두 최상위권이었다.'''] 이런 거물급 DJ 3명이 뭉쳤으니 라이브 때의 디제잉도 흠 잡을 데 없을 정도로 뛰어났지만 특히나 이들이 이름을 날린 이유는 바로 [[작곡]]한 곡들 때문이다. SHM 이름으로 냈는 싱글은 고작 여섯 곡 이지만 '''이 여섯곡 모두 버릴 트랙이 없는 명품 트랙'''이다. 그리고 EDM씬을 넘어서 일반 대중들에게도 상당한 인기와 찬사를 받았는데, 그 증거로 2012년에는 Save the World, 2013년에는 Don't You Worry Child이 [[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댄스 음악 부문에 후보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곡들이 워낙 팝에 가깝다 보니 그만큼 정통을 일렉 음악을 원했던 많은 리스너들이 실망하여 안티로 돌아서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현 EDM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Avicii]]와 함께 더치 트랜스에 이은 '''스웨디시 하우스'''라는 말을 만들 정도로!![* 이후 이 스타일은 [[CAZZETTE]]와 같은 많은 스웨디시 DJ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재결합 이후에는 --하우스가 하우스를 그만둔--스타일이 다소 바뀌었으나 음악성은 오히려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요즘 일렉트로닉 트렌드에 맞게 힙합 아티스트와의 교류가 많다. 대표적으로 [[위켄드]]와의 협업으로 Sacrifice, Moth To A Flame 두 걸작을 탄생시켰다. == 비판 == [[deadmau5]]가 그들에게 "디제잉 할 CD는 하나인데 세 놈이 붙어서 대체 뭐하는 개짓거리야?"라는 뉘앙스의 비판을 한 적이 있다. 사실 실드를 치자면 DJ의 개념 자체가 바뀌고 있다는 건데, 이들은 DJ기도 하지만 [[프로듀서]]기도 하다. 사실 집깡패가 대박을 친 이유도 DJ 실력이 아니라 음악을 뽑아내는 능력이 탁월해서인 점이 크다.[* 데드마우스의 비난을 의식했는지 나중엔 악스웰과 잉그로소는 전자드럼을 치기도 했다.][* 그렇다고 이들이 데드마우스와 사이가 나쁜건 아니다. 다만 데드마우스 말로는 이들이 --존나게-- 쿨해서 괜찮다고] --근데 [[mau5trap]]에서 [[NOISIA]]도 세 명인데요-- ~~노이즈마케팅?~~ ~~[[노이즈 마케팅|NOISIA 마케팅?]]~~ 2019년 6월 9일 예정되어있던 [[울트라 코리아]] 공연을 '''당일날 취소'''하며 많은 이들의 공분을 샀다. 사유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선 "예상치 못한 사정때문에 못간다." 라고 밝힌 후 아무런 후속 조치도 하지 않는 중. 울트라 코리아의 이번년도 유별난 막장 운영으로 다소 가려졌을 뿐이지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측의 공연 취소 통보는 그를 기다린 한국팬과 그를 보려 한국 땅까지 먼 걸음한 전 세계 팬들, 넓게는 동업자 DJ들에게도 큰 실례를 범한 행동이다. 또한 스마하 멤버중 한명이 취소 통보 불과 몇시간전에 싱가폴에서 담배를 피는 사진을 SNS에 게시하며 논란이 가중되었으며, "이번엔 쉴드를 못 치겠다." "통수 거하게 맞았다."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UMF Korea 는 6월 9일 티켓값을 전액 환불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2020년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이다.] 무대 세팅이 마음에 안 들어서 취소했다는 뒷말도 나오고는 있지만, 스티브 안젤로의 비자 발급의 문제로 갑작스럽게 취소되었을 확률이 더 높다. 하지만 그 해 7월에 개최했던 [[Tomorrowland]]에서도 일방적 취소공지를 한것 보면 [[노답]]...[* 이 외에도 여러 복귀무대에서 일방적 취소공지를 한 것을 보면 꼭 비자문제만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Until On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ntilone.jpg]] 2010. 10. 25 발매 '''UK 앨범 차트 2위''' * Until Now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ntilNowSwedishHouseMafia.jpg]] 2012. 10. 22 발매 '''UK 앨범 차트 1위 빌보드 차트 14위''' * One Last Tour - A Live Soundtrack [[파일:external/zupimages.net/p9mc.jpg|width=500]] 2014. 4. 15 발매 ==== Paradise Again ==== ||<-2> ''' ''{{{+1 {{{#white Paradise Agai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MParadiseAgain.jpg|width=100%&align=center]]}}} || || '''{{{#white 트랙}}}''' || '''{{{#white 곡명}}}''' || || 1 ||Time (Feat. Mapei)|| || 2 ||Heaven Takes You Home|| || 3 ||Jacob's Note (Feat. Jacob Mühlrad)|| || 4 ||Moth To A Flame|| || 5 ||Mafia|| || 6 ||Frankenstein (Explicit Ver.)|| || 7 ||Don't Go Mad (Feat. Seinabo Sey)|| || 8 ||Paradise Again|| || 9 ||Lifetime (Feat. Ty Dolla $ign & 070 Shake)|| || 10 ||Calling On|| || 11 ||Home|| || 12 ||It Gets Better|| || 13 ||Redlight|| || 14 ||Can U Feel It|| || 15 ||19.30|| || 16 ||Another Minute|| || 17 ||For You|| 2022년 4월 15일에 공개된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의 첫 스튜디오 앨범. === 싱글 === 굵게 표기된 것은 [[그래미 어워드]] 후보작이다. ==== One (Your Name) ==== [youtube(PkQ5rEJaTmk)] 데뷔 싱글이자, 첫 발매 싱글. 유튜브 조회 수는 약 '''8천만'''. 빌보드 댄스 차트 3위. ==== [[마이애미|Miami]] 2 [[이비자|Ibiza]] ==== [youtube(LCH1AsUydSc)] [[타이니 템파]]와 협업한 2번째 싱글, 유튜브 조회수는 약 '''8천만'''. 빌보드 댄스 차트 '''1위'''. ==== '''Save The World''' ==== [youtube(BXpdmKELE1k)] 2011년 발매된 싱글로, 유튜브 조회수는 약 '''1억'''. 빌보드 댄스 차트 '''1위'''. ==== Swedish House Mafia Vs Knife Party ' Antidote ' ==== [youtube(fbafd6UV3w4)] 나이프 파티와 합작한 싱글로 뮤비가 좀 과격한 나머지 한 번 삭제되어 조회수가 초기화되었다. 역시나 빌보드 댄스 차트에서 3위를 기록. ==== Greyhound ==== [youtube(PDboaDrHGbA)] [[앱솔루트 보드카]]에 스폰싱을 받아 만들어진 곡이다. 유튜브 조회수는 5천만. '''내가 본 상업 광고들 중 유일하게 내가 계속 보게되는 광고'''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 Don't You Worry Child ==== [youtube(1y6smkh6c-0)] 2012년 발매된 SHM 재결합 이전 최후의 싱글. 유튜브 조회수 '''9억'''을 돌파하였다. 빌보드 HOT 100에서 '''6위''', UK 차트 1위 석권, [[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댄스 음악 부문 후보 선정. 업리프팅 트랜스의 느낌과 하우스의 느낌을 살린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완성작이라는 평. 가사 자체는 어릴적 첫 사랑과 실연, 그리고 그 것을 걱정하지 말라는 아버지의 조언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가사: ||There was a time, I used to look into my father's eyes 내가 아버지의 눈동자를 유심히 바라보던 그 때 In a happy home, I was a king I had a golden throne 행복한 가정에서, 나는 황금 왕좌를 가진 왕 같았어 Those days are gone, now the memories are on the wall 그 때는 이미 지나 지금은 그 추억이 벽 위에 걸려 있지 I hear the songs from the places where I was born 내 고향에서 나왔던 노래들이 들려 Up on the hill, across the blue lake, 언덕을 올라 푸른 호수 건너편 That's where I had my first heartbreak 그 곳은 내가 처음으로 실연을 경험한 장소지 I still remember how it all changed 난 어째서 모든게 바뀌어버린건지 아직도 기억나 My father said 우리 아버지는 말했지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child 걱정마 걱정마라 아이야 See heaven's got a plan for you 보렴 하늘은 너에게 더 좋은 앞날을 줄거야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now 걱정마렴 걱정마 Yeah! 예-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child 걱정마 걱정마라 아이야 See heaven's got a plan for you 보렴 하늘은 너에게 더 좋은 앞날을 줄거야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now 걱정마렴 걱정마 Yeah! 예- There was a time, I met a girl of a different kind 지금과는 다른 타입의 여자친구와 만났을 적엔 We ruled the world, thought I'll never lose her out of sight, 우리가 이 세상을 다 가진듯 했지, 난 절대 그녀를 잃지 않을것 같았지만 We were so young, I think of her now and then 우린 너무 어렸어, 난 지금도 그녀에 대해 떠올리고 있지 I still hear the songs reminding me of a friend 난 아직도 그 친구를 떠올리면 노래들이 들려 Up on the hill, across the blue lake, 언덕을 올라 푸른 호수 건너편 That's where I had my first heartbreak 그 곳은 내가 처음으로 실연을 경험한 장소지 I still remember how it all changed 난 어째서 모든게 바뀌어버린건지 아직도 기억나 My father said 우리 아버지는 말했지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child 걱정마 걱정마라 아이야 See heaven's got a plan for you 보렴 하늘은 너에게 더 좋은 앞날을 줄거야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now 걱정마렴 걱정마 Yeah! 예-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child 걱정마 걱정마라 아이야 See heaven's got a plan for you 보렴 하늘은 너에게 더 좋은 앞날을 줄거야 Don't you worry, don't you worry now 걱정마렴 걱정마 Yeah! 예-|| }}} ==== Moth To A Flame ==== [youtube(u9n7Cw-4_HQ)] 2021년 10월 21일 공개. SHM 재결합 이후 [[The Weekend]] 와의 협업을 통해 오랜만에 발매된 싱글. 같은 시기에 협업으로 발매된 다른 싱글 하나로는 [[Dawn FM#Sacrifice|Sacrifice]] 가 있다. 제목과 가사의 의미는 불꽃에 띄어드는 불나방처럼(Like a Moth To A Flame), 끌어당기는 사랑을 하게 된다는 의미의 내용이다. 스웨덴(Sverigetopplistan) 5위, Official Charts Singles 15위(차트인 13주), Official Charts Dance 4위, Billboard Hot 100 27위(차트인 8주), Billboard Hot Dance/Electronic Songs 2위 등을 각각 기록하였다.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Intro]''' Oh-woah Woah-oh-oh Woah '''[Verse]''' Like a moth to a flame 불꽃에 뛰어드는 불나방처럼 I'll pull you in, I pulled you back to 널 끌어당길게, What you need initially 원래 네가 원하던 것으로 It's just one call away 전화 한 통이면 돼지 And you'll leave him, you're loyal to me 그러면 넌 그 남자를 떠날거야, 넌 나에게 충실해 But this time, I let you be 하지만 이번에는 널 그대로 둘거야 '''[Pre-Chorus]''' 'Cause he seems like he's good for you 왜냐면 그 남자가 너에게 좋아보여 And he makes you feel like you should 그리고 그 남자가 너에게 편해보여 And all your friends say he's the one 그리고 네 모든 친구들도 바로 그 남자라고 말하지 His love for you is true 너를 향한 그 남자의 사랑은 진실하지 '''[Chorus]''' But does he know you call me when he sleeps? 하지만 너가 나에게 전화하는 것을 그 남자는 아니? But does he know the pictures that you keep? 하지만 너가 보관하는 사진이 뭔지 그 남자는 아니? But does he know the reasons that you cry? 하지만 너가 우는 이유를 그 남자는 아니? Or tell me, does he know where your heart lies? 아니면 너의 마음이 어디에 가 있는지 그 남자는 아니?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Interlude]''' Yeah Yeah You should be with him, I let you go from time 너는 걔랑 같이 해야 해, 나는 너를 놓아줄게 You should stay with him 너는 걔랑 같이 해야 해 '''[Pre-Chorus]''' 'Cause he seems like he's good for you 왜냐면 그 남자가 너에게 좋아보여 And he makes you feel like you should 그리고 그 남자가 너에게 편해보여 And all your friends say he's the one 그리고 네 모든 친구들도 바로 그 남자라고 말하지 His love for you is true (Hey) 너를 향한 그 남자의 사랑은 진실하지 (Hey) '''[Chorus]''' But does he know you call me when he sleeps? (No, no) 하지만 너가 나에게 전화하는 것을 그 남자는 아니? (No, no) But does he know the pictures that you keep? (Oh) 하지만 너가 보관하는 사진이 뭔지 그 남자는 아니? (Oh) But does he know the reasons that you cry? 하지만 너가 우는 이유를 그 남자는 아니? Or tell me, does he know where your heart lies? 아니면 너의 마음이 어디에 가 있는지 그 남자는 아니?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Outro]''' Right here with me, babe 바로 여기 나와 함께 있지, babe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My bed, babe 내 침대, babe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In my arms, babe 내 품에, babe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Hey) (Hey) Where it truly lies 네 마음이 진정으로 있는 곳 }}} == 여담 == [[개]]를 좋아하는지 뮤직비디오 두 개에 개가 나온다.. Greyhound는 이름 그대로 그레이하운드 품종 개들 보드카를 걸고 경주를 하고, Save the World에서는 개들이 세상을 구한다(…) 위에서 말했 듯이 셋 모두 개인 레이블을 이끌고 있는데 악스웰은 Axtone, 안젤로는 Size 그리고 잉그로소는 Refune. 다행인지 불행인지 또 다른 스웨덴 DJ인 [[Eric Prydz]]도 함께할 예정이였으나 자신만의 색깔있는 음악을 하고 싶다며 합류를 포기 하였다.[* 들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음악적 색깔이 많이 다르다.] 2015년 8월 1일에는 집깡패 사운드 클라우드 계정에 트랙이 올라왔다. [[https://soundcloud.com/officialswedishhousemafia/swedish-house-mafia-radio-one-essential-mix|#]] 이 트랙은 2007년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가 [[이비자]]의 Amnesia에서 녹음한 [[BBC Radio 1]]의 첫 Essential Mix 였다. 이 트랙때문에 설마 재결합하나? 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아직 [[잉스웰]]이 앨범도 안나온걸 생각하면 섣불리 단정하기는 이를 뿐더러 ~~턱도없다.~~ ~~있었습니다~~ 재결합 이후 현재까지 따로 신곡을 내지 않고 라이브 공연에서만 틀고 발매되지 않은 미공개곡(ID)들이 많아졌다. 그 중 [[https://www.youtube.com/watch?v=pixrywcEVBE|Underneath It All]] [* Tele2 Arena 라이브 공연 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rw7Gh-1fcU4|It Gets Better]]은 팬들이 발매해 달라고 하는 요청이 많은 편. 그리고 7월 16일 It Gets Better를 공개했다. 2023년 6월 27일, 영국의 테크 기업 [[Nothing]]과의 콜라보를 진행했다. [[분류:스웨덴의 DJ]][[분류:프로그레시브 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