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1271_1.jpg]] || 한글판 명칭 ||'''스위치히어로'''|| || 일어판 명칭 ||'''スウィッチヒーロー'''|| || 영어판 명칭 ||'''Switcheroroo'''|| |||| 일반 함정 || ||||①: 서로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같을 경우,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전부 바꾼다.||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같으면 기습적으로 전부 컨트롤을 교환하는 함정 카드. 상대가 강력한 몬스터 한 둘을 소환하고 버틸 때, 이 카드로 그 전부를 맞바꿀 수도 있어 쓰기에 따라 판도를 뒤집을 수도 있다. 대상 비지정 효과인 것 또한 장점이다. 다만 [[기습공격 마타자]]처럼 컨트롤을 변경할 수 없는 몬스터가 있으면 발동하지 못한다. 참고로 이 카드는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https://www.yugioh.co.kr/board/board_info.php?b_category=important&b_no=146|#]] 해당 카드군은 일본판 기준 'HERO' 위에 'ヒーロー'라고 루비가 적혀있어야 하기 때문. 일러스트의 모습은 일본의 전래동화 [[모모타로]] 전설을 모티브로 했다. 원래 악당 포지션에 있어야 할 오니들이 모모타로 포지션에, 위엄 넘치는 오니들 포지션에 모모타로 일행을 세워놓아 말 그대로 히어로와 악당의 포지션이 바뀌었음을 표현하고 있다. 영문판에서는 switcheroo(스위처루, 예기치 못한 변화)에 Hero를 합쳤다. 특이한점은 원래 이름에도 hero가 포함되어있는데(switc'''hero'''o), ro를 한번 더 넣는 것으로 했다. 서로 필드에 몬스터가 가득할 때 사용한 뒤 [[소유자의 각인]]과 병용하면 상대 몬스터만을 '''룰로 파괴할 수 있다'''. 이는 스위치히어로의 처리는 '''양 플레이어에게 동시에 적용'''되는 반면, [[소유자의 각인]]은 먼저 자신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레이징 템피스트]] || RATE-KR07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JP07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EN07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229 ||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