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뮬러 원 참가 팀)] ||<-3> [[파일: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로고 화이트.svg|width=300&theme=dark]] || ||<-3> {{{+1 {{{#ffffff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 ||<-3> {{{+1 {{{#011321,#ffffff '''Scuderia''' Alpha'''Tauri'''}}}}}} || ||<-2> '''{{{#ffffff 법인명}}}''' ||Scuderia AlphaTauri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 '''{{{#ffffff 모기업}}}''' ||[[레드불 유한회사]] || ||<-2> '''{{{#ffffff 타이틀 스폰서}}}''' ||없음 || ||<-2> '''{{{#ffffff 프리미엄 스폰서}}}''' ||PKN 올렌 | [[혼다]] || ||<-2> '''{{{#ffffff 창단}}}''' ||1985년[* 팀의 전신인 미나르디 F1 팀의 창단 년도.] [br] 2020년 || ||<-2> '''{{{#ffffff 본부}}}'''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에밀리아로마냐 주]] 라벤나 현 파엔차 || ||<-2> '''{{{#ffffff 설립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디트리히 마테쉬츠 (Dietrich Mateschitz) || ||<-2> [[CEO|{{{#ffffff '''CEO'''}}}]]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피터 베이어 (Peter Bayer)[* 전 [[IOC]], [[FIA]] 임원.] || ||<-2> '''{{{#ffffff 매니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그레이엄 왓슨 (Graham Watson) || ||<|3> '''{{{#ffffff 감독}}}''' || {{{#ffffff 팀장}}}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프란츠 토스트]] (Franz Tost) || || {{{#ffffff 기술 담당}}}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조디 에깅턴 (Jody Egginton) || || {{{#ffffff 스포팅 총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마르코 페로네 (Marco Perrone) || ||<-2> '''[[고문(직위)|{{{#fff 고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헬무트 마르코 (Helmut Marko / ^^[[레드불 유한회사]] 고문 & 레드불 드라이버 개발 책임자 겸임^^) || ||<-2> '''{{{#ffffff 드라이버}}}''' ||3. [[파일:UEFA AUS.png|width=22]] [[다니엘 리카도]] (Daniel Ricciardo)[br]22. [[파일:UEFA JPN.png|width=22]] [[츠노다 유키]] (Yuki Tsunoda / 角田 裕毅)[* 레이스 엔지니어는 마티아 스피니(Mattia Spini)] || ||<-2> '''{{{#ffffff 테스트 드라이버}}}''' ||40. [[파일:UEFA NZL.png|width=22]] [[리암 로슨]] (Liam Lawson) || ||<-2> '''{{{#ffffff 공식 웹 사이트 및 유튜브}}}''' ||[[https://www.scuderiaalphatauri.com/en/|[[파일: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로고.svg|width=35&theme=light]][[파일: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로고 화이트.svg|width=35&theme=dark]]]] [[https://www.youtube.com/user/ToroRosso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2> {{{#ffffff '''연혁'''}}} ||[[미나르디 F1 팀]] (1985~2005) [br]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06~2019) [br]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0~2023)''' [br] 미정 (2024~ ) || ||<-3> '''{{{#ffffff 차량}}}''' || ||<-2> '''{{{#ffffff 섀시}}}''' ||[[알파타우리 AT04|AT04]] || ||<-2> '''{{{#ffffff 엔진}}}''' ||[[HRC|혼다]] RBPTH002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알타리리카도.jpg|width=100%]][[파일:2023알타리츠노다.jpg|width=100%]]}}} || || {{{#ffffff '''#FITSBODYANDMIND | #ALPHATAURI'''}}} || [[포뮬러 1]]의 레이싱 팀이며 국적은 이탈리아이다. [[알파타우리]]는 레드불의 패션 브랜드로 2020년에 토로 로쏘에서 리브랜딩되어 참가중이고 소유주는 [[레드불 레이싱]]과 동일한 [[레드불]]이다.[* 초기 팀명이었던 토로 로쏘란 이름 자체가 레드불을 이탈리아어로 직역한 것이다. 이는 팀의 본부가 기존의 미나르디의 본부가 있던 이탈리아 파엔차에 있었기 때문이다.] [[레드불 레이싱]]의 주니어 팀, 2군 팀 정도로 많이 인식되고, 실질적인 역할도 그러하다. 2023 시즌 팀 수석은 프란츠 토스트, 기술 감독은 조디 에깅턴. 2023 시즌 드라이버는 [[닉 더프리스]]와 [[츠노다 유키]]로 2023 시즌을 스타트 했으나, 영국GP 이후 성적 부진을 이유로 [[닉 더프리스]]가 F1시트를 잃게 됨에 따라, 그의 자리를 [[다니엘 리카도]]가 대신하여 헝가리GP 부터 팀 드라이버로 합류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 역사 == === 미나르디 시절 === ||<-2>
'''{{{#fff 미나르디}}} {{{#red F1}}} {{{#fff 팀}}}'''[br]'''{{{#ffffff Minardi}}} {{{#red F1}}} {{{#fff Team}}}''' || ||<-2> [[파일:minardi.jpg|width=400]] || || '''{{{#ffffff 설립자}}}''' || 지안카를로 미나르디 || || '''{{{#fff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ffffff 본부}}}''' || 이탈리아 파엔차 || || '''{{{#ffffff 주요 스태프}}}''' || 구스타브 브뢰너 [br] 폴 스토다트 || || '''{{{#ffffff 우승 기록}}}''' || '''0''' || || '''{{{#ffffff 포디움 기록}}}''' || '''0''' || || '''{{{#ffffff 최고성적}}}''' || 4위[* 91년 피에르루이지 마르티니가 2번, 그리고 93년 [[에메르손 피티팔디]]의 사촌인 크리스티안 피티팔디가 1번.] || [[파일:f1 minardi.png]] [[파일:Fernando-Alonso_Minardi-1.jpg]] 2001년 미나르디 PS01을 운전하는 [[페르난도 알론소]].[* 아직도 [[http://www.minardi.it/|홈페이지]]가 살아있다! 게다가 최신 소식도 꾸준히 올라오는 편이다.] 이 팀의 전신은 본디 미나르디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던 작은 독립팀이다. 1985년에 설립된 나름대로 오래된 레이싱 팀이지만, 그 역사는 하위권 성적으로 점철된 팀이었다. 창단 이후 3시즌을 내리 노포인트로 마친 후 4시즌째인 88년이 되어서야 고대하던 첫 포인트를 따내고 시즌을 1포인트로(...) 마친다. 그러나 이 비운의 팀은 이후로도 최하위권을 박박 기다가 결국 2005시즌을 끝으로 [[레드불]]에게 인수. 인수되기까지 이 팀이 두자릿수 포인트를 기록한 적은 '''단 한 시즌도 없었다'''. 이 팀의 역사적 의의를 그래도 굳이 찾아본다면, [[페르난도 알론소]], [[마크 웨버]],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야르노 트룰리]]와 같은 상위 드라이버들이 이 팀을 통해 데뷔했다는 것 정도. 이 팀의 한 경기 최다 포인트 기록은 7점인데, 이 기록은 2005년 미국 그랑프리에서 달성했다. 아는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이 경기는 바로 [[인디게이트]]가 터졌던 바로 그 경기이다. 당시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쓰던 [[스쿠데리아 페라리]], 조던[* 이후 스파이커, 미들랜드, 포스 인디아 시절을 거쳐 현재는 [[레이싱 포인트]]로 참가중이다.], 미나르디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미쉐린 타이어를 쓰는 나머지 7개 팀.] 포메이션 랩을 돌고 바로 피트로 복귀해 경기를 포기해버렸고, 결국 남은 6대의 차가 완주하며 1위부터 6위까지 사이좋게 포인트를 나눠가진 것. 당시 챔피언십 포인트 시스템은 1위부터 8위까지 순서대로 10-8-6-5-4-3-2-1점을 부여했으므로 이 팀은 스타트라인 그대로 마지막인 5-6위, 사실상 '''꼴찌'''로 들어온 것이다. 그 와중에도 거대자본에 휘둘리지 않고 적은 예산으로 꿋꿋이 참전했던 이 팀을 은근히 좋아하던 팬들도 꽤 있었다. 지금으로 치면 [[하스 F1 팀|하스]]와 비슷한 포지션. 좋아했던 이유들을 들어보자면 대표적으로 친근감과 의지였다고...[* 미나르디의 스포츠 디렉터였던 존 월튼이 심장마비로 사망했을때, [[https://www.independent.co.uk/sport/motor-racing/f1-reveals-human-side-after-walton-death-47014.html|그의 고향인 런던에서 그를 추모하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 그리고 여담으로 2000년부터 [[LG]]가 스폰서로 참여해서 M02 차량과 사진 속 PS01 차량에 로고가 붙어있다.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토로 로쏘]]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알파타우리 시절 === ==== 2020년 ==== [[파일:2020AT01.jpg|width=500]] 한국시각 2월 14일, [[알파타우리]]라는 이름으로 2020 시즌 차량을 공개했다. 다크블루 & 화이트로 구성된 깔끔한 리버리로 도색된 모습. 이로서 토로로쏘 시절 리버리와 레드불과의 유사성도 완전히 사라졌다. 지난 2019년 독일 GP때 메르세데스가 자사 125주년 기념으로 재도장해서 출전한 리버리와 AT01의 전면부가 유사하다는 반응도 보이는 편이다. 그리고 이탈리아 GP에서 [[피에르 가슬리]]가 2008년, 토로로쏘 시절 이후 12년만에 우승을 가져다주었다! 레드불에서 가져온 부품들과 알파타우리 자체적으로 만든 차의 조합이 잘 먹혔던 모양. 그리고 이몰라에서 크비얏이 4위로 마무리 하는 등 여러 차례 포인트 마무리를 했다. 최종 순위는 페라리에 뒤져 아쉽게도 7위이다. ==== 2021 시즌 ==== [[파일:894E9D62-4C18-457C-89AA-D8FA1117CBD8.jpg|width=500]] 2021년 섀시네임은 AT02이다. 드라이버 라인업으로 [[피에르 가슬리]]는 그대로 유지하고, [[다닐 크비얏]] 대신 레드불 주니어 드라이버이자 [[포뮬러 2]]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인 [[츠노다 유키]]를 영입했다. 6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에서는 가슬리가 팀의 시즌 첫 포디움을 선사했다! ==== 2022 시즌 ==== 개막전 바레인 GP에서는 지난 시즌과 비슷한 페이스를 보이는 듯 하였으나, 새로 장착한 레드불 파워 트레인에 문제가 발생하며 [[피에르 가슬리]]가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16위에서 출발한 [[츠노다 유키]]는 다행히 엔진 이슈가 발생하지 않으며 얼떨결에 8위로 포인트 피니쉬를 하였다. 2R 사우디아라비아 GP에서는 반대로 츠노다에게 문제가 발생하였다. 퀄리파잉부터 차량 이슈로 랩타임조차 기록하지 못하였으며, 레이스에선 그리드로 향하던 도중에 안티스톨이 발생하며 레이스를 시작조차 하지 못하였다. 팀메이트 가슬리는 이번엔 문제없이 8위로 완주하여 시즌 첫 포인트를 수확하였다. 3R 호주 GP에서는 무난한 결과를 가져왔다. 가슬리가 레이스 후반에 실수를 하며 8위를 보타스에게 내주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안정된 레이스를 선보이며 9위로 2점을 획득하였다. 반면 츠노다는 13그리드에서 출발하였으나, 레이스에서 이렇다 할 활약을 펼치지 못한 채 오히려 2계단 하락한 15위로 레이스를 마감하였다. 시즌 종료 후 팀 성적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 애스턴 마틴은 고사하고 하스에게도 밀린 '''컨스트럭터 랭킹 9위'''로 알파타우리에게 있어 2018 시즌 이후, 최악의 시즌이 되었다. 경쟁력 없고 불안한 내구성만 극대화된 레이스카의 여파인지 2년 동안 알파타우리 소속으로 있으면서 성과를 보였던 [[피에르 가슬리]]는 올 시즌 거의 매번 중하위권에 있었고, [[유키 츠노다]] 역시 다를 것이 없었다. 눈에 띄는 성과를 찾는 것보다 문제점을 짚는 것이 더 쉬워 보였던 시즌. 강력한 파워를 보였던 혼다(HRC)엔진을 가지고도 하스조차도 넘지 못한 만큼 2023 시즌에는 눈에 보이는 진전이 절실하다.[* 차량 개발의 문제점을 인식한 것인지 최근 알파타우리 성능 개발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레드불로부터 받는 PU와 기어박스 등 부품의 데이터를 정확히 알 수 없어 레이스카 셋팅 및 업그레이드에 문제가 많다면서 차기 시즌부터 레드불에서 받는 부품 수를 계속 줄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시즌 종료 후 [[알핀 F1 팀]]으로 이적한 [[피에르 가슬리]]의 빈자리를 메르세데스 주니어&포뮬러 E 챔피언 출신 [[닉 더프리스]]가 차지했다. F1 경력은 없으나 포뮬러 E 챔피언이라는 경력, 윌리엄스 소속으로 단 한 경기 만에 포인트를 따내는 등[* 이탈리아 GP] 뚜렷한 성과를 보인 점이 적지는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시트를 따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 2023 시즌 ==== [[피에르 가슬리]]가 알핀으로 이적하고 그 자리는 [[포뮬러 E]] 챔피언 출신이자 2022년 이탈리아 GP에서 윌리엄스 소속으로 활약을 보여준 [[닉 더프리스]]를 영입하였다. 그러나 2023시즌의 차량인 AT04는 전 시즌의 AT03만도 못한 빈약한 성능으로 인해 시즌 초반부터 부진의 늪에 빠진 더프리스는 물론 [[츠노다 유키]]조차도 포인트권에조차 단 2번을 올라갈 정도의 처참한 행적을 보이고 있다. 영국 GP 종료 기준으로 단 2포인트만을 획득하여 최하위인 10위에 머물러 있다. 결국 영국GP 이후 한국 날짜 기준 7월 11일 저녁시간, 부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닉 더프리스]]를 과감히 잘라버리고 그 자리를 [[레드불 레이싱]]의 서드 드라이버로 있던 [[다니엘 리카도]]로 자리를 대체한다는 오피셜 내용이 올라왔다. 하지만 후반기 첫 경기인 네덜란드 그랑프리에서 다니엘 리카도가 FP2 도중 락업이 걸려 사고가 발생, 중수골 골절임이 확인되어 일본 슈퍼 포뮬러에 출전하던 [[리암 로슨]]이 대신하여 출전하게 되었다. 싱가포르 GP에서 [[리암 로슨]]이 퀄리파잉에서 [[막스 베르스타펜]]을 탈락시키며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더니 레이스에서 9위로 마치며 천금같은 2포인트를 선물했다. 하지만 카타르 GP 종료 기준으로 컨스트럭터 포인트는 5포인트 밖에 안 되어 여전히 최하위인 10위다. 미국 GP에서 츠노다 유키가 10위로 완주를 했지만 루이스 해밀턴과 샤를 르클레르의 실격처리로 8위로 순위가 올랐고 커리어 처음으로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며 5포인트를 얻었고 멕시코 GP에서 다니엘 리카도가 퀄리파잉에서 P4를 기록하는 선전을 하더니 레이스에서도 7위를 기록해 6포인트를 획득, 마침내 컨스트럭터 포인트 최하위를 탈출하며 16포인트로 알파 로메오와 공동 8위가 되었다. 그 후 츠노다 유키가 상파울루 GP에서 5포인트, 아부다비 GP에서 4포인트를 획득하며 최종 25포인트로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8위로 마무리하였다. 2024년부터 팀명이 또 다시 바뀔 예정이며, 새로운 업체들이 들어와 타이틀 스폰서를 이룰 것이라고 한다. 내년 팀명으로는 '레이싱 불스'가 유력한 상황. == 논란 및 사건 사고 == [[파일:알파타우리 전범기.jpg|height=450&align=center]] 2023년 9월 21일, 일본 그랑프리를 앞두고 [[츠노다 유키]]의 홈 그랑프리임을 홍보하기 위해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포스터에 [[욱일기]]를 연상시키는 배경을 사용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츠노다 유키 본인의 역사 의식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아티스트가 삽입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알파타우리 욱일기 관련 고정댓글.jpg|height=450&align=center]] > '''우리는 지난 몇 시간 동안 우리의 [[일본 그랑프리]] 포스터에 관한 몇몇 댓글들을 확인하였습니다. 우리는 어떠한 정치적 의도나 역사적 사실에 관계 없이 단순한 미학적 목적으로 해당 포스터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불의적인 언급에 의해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죄송합니다. 이 포스터는 순수히 F1 캘린더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인기 있는 레이스 중 하나인 레이스 위크를 축하하기 위해 올린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 >일본 GP를 압두고 올린 욱일기 관련 인스타 게시글의 고정댓글을 게재하며 FP1이 끝난 직후에 이와 같은 고정댓글을 올렸고, 단순한 미학적인 의도로 올린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오히려 논란을 더 가중시켜 혼란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 기타 == 엔진이 자주 바뀐 적이 있다. 창단 첫 해인 2006 시즌에는 엔진을 구하지 못해 미나르디 시절 쓰던 [[코스워스]]의 3,000cc V10 엔진을 써야 했다![* 이것이 왜 문제인가하면 사실 2006년에는 이미 엔진 규정이 바뀌어 V8 2,400cc 엔진을 써야 했으나 엔진을 구하기가 쉽지 않은 관계로 FIA 및 다른 팀들의 양해를 얻어 2006년에 한해에만 한정하여 기존 V10엔진에 RPM 제한을 걸어서 사용했다.] 이후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페라리 엔진을 썼다가[* 페라리는 자사팀인 [[스쿠데리아 페라리]]에 최신형 엔진을 우선 공급하도록 되어있어 한해 전의 엔진을 공급받았다.] 2014년부터 1600cc V6 터보로 규정이 바뀌면서 레드불 따라 르노를 썼다가 그래도 이탈리아 연고팀인지라 불과 2년뒤인 2016년에 다시 페라리로 바꾸는등 한동안 두 회사 사이를 왔다갔다 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2017 시즌 중 [[맥라렌 레이싱|맥라렌]]과의 복잡한 계약 성사로 인해 2018년부터 토로 로쏘가 쓰던 르노 엔진을 맥라렌이, 맥라렌이 쓰던 혼다 엔진을 토로 로쏘가 쓰게 되었다. 505 게임즈와의 콜라보로 알파타우리 리버리가 [[아세토 코르사 콤페티치오네]]에 등장한다. 차량은 혼다/아큐라 [[NSX]] GT3. 2023년 11월 [[건담 시리즈]]와 콜라보를 실시했다. 유키가 일본인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성사된 듯.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8409921|콜라보]] == 역대 차량 목록 == [[파일:0F393008-4FF2-4B02-A808-58B86440F2EB.jpg]] [Include(틀:레드불&알파타우리의 오픈 휠 레이스카)] == 역대 출전 드라이버 및 기록 == [Include(틀: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의 드라이버 기록)] == 둘러보기 == [include(틀:레드불 산하 스포츠단)] [[분류: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