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름/슬라브어권]] [목차] == 개요 == -ский / -ski 본래 [[폴란드]]에서 비롯한 작명이며, [[러시아]]와 폴란드를 비롯한 [[슬라브어]]권 국가 출신의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접미사]]이다. == 특징 == 어원적으로는 슬라브조어 ''*-ьskъ''에서 유래하며 통상적으로 형용사 어휘임을 나타낸다. 서양의 성씨는 대체로 YY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여럿 있을 때 이를 구분하기 위해 'XX 지역의 YY' 혹은 'XX의 아들/딸 YY' 식으로 불리던 것이 정착한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XX 지역' 혹은 'XX의 아들/딸'을 형용사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ский / -ski이다. 스키 외에도 스코이(러시아어로 -ской), 즈키(우크라이나어로 -дський),[*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무성음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스코로파즈키(Скоропадський)가 대표적이다.] 츠키(러시아어로 -дский 또는 -цкий, 폴란드어로 -dzki 또는 -cki), 치키(세르보크로아트어로 -čki) 형태로도 활용된다. [[러시아어권]]의 도시 지명에서는 스크(-ск)나 츠크(-дск 또는 -цк) 형태로 활용된다. 유독 아슈케나지 유대인에서 자주 보여진다는 이유로, 카이크란 멸칭이 탄생되기도 했다. == 사례 == 대표적인 예로 [[폴란드]]의 축구선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있다. 물론 폴란드계 미국인도 -스키 성씨를 쓰는데, 대표적으로 [[NC 다이노스]]의 야구선수 [[드류 루친스키]]가 있다. 그리고 폴란드 외에도 과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역이었던 [[리투아니아]][* 이쪽은 정말로 폴란드계 혈통이라서 그런 경우도 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절에 조상이 폴란드화되어 폴란드식 성씨를 쓰게 된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주로 조상이 [[리투아니아 대공국]] 귀족이었던 경우가 많다.],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는 이렇게 -스키로 끝나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슬라브권 국가 중에서 러시아의 인지도가 워낙 높아서 국내에서는 단순히 러시아어식 인명으로 알려졌다. 여성형의 경우에는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에서 큰 차이가 있는데 러시아어권에서는 -스카야(-ская), 폴란드어권에서는 -스카(-ska) 형태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러시아인의 성씨에서 많이 보이기는 하나, 본래 러시아어식 작명법이 아니라서 성씨가 -스키 형태라면 그 사람의 조상은 [[폴란드계 러시아인]]일 가능성도 있다. 조상대에서부터 러시아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성은 보통 -오프(-ов), -예프(-ев), -인(-ин·ын)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오프와 -예프는 '~들의', -인은 '~의'를 나타내는 소유접미사이다. -오프 계열은 《[[죄와 벌]]》의 라스콜니코프(Раскольник'ов'),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몰로토프]](Молот'ов'), [[AK-47]]의 아버지 [[미하일 칼라시니코프|칼라시니코프]](Калашник'ов'), -예프 계열은 킥복싱 선수 카라예프(Кара'ев'),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메드베데프]](Медвед'ев'),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브레즈네프]](Брежн'ев'), 카자흐스탄 초대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나자르바예프]](Назарба'ев'), -인 계열은 [[블라디미르 레닌|레닌]](Лен'ин')[* 본래 성씨는 울리야노프(Ульянов)지만, 러시아 제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일종의 '코드네임'이었다.], [[유리 가가린|가가린]](Гагар'ин'), [[블라디미르 푸틴|푸틴]](Пут'ин'),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Стал'ин')[* 스탈린은 조지아 출신으로, 본래 성씨는 주가슈빌리(ჯუღაშვილი)이다. 레닌(울리야노프)과 마찬가지로 혁명 전 볼셰비키에서 쓰던 일종의 '코드네임'들 중 하나였다.] 등이 있다. 세간에 알려진 러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외에도 -스키식의 성씨를 주로 사용하는 국가로는 [[몰도바]], [[불가리아]], [[체코]], [[슬로바키아]], [[북마케도니아]]가 있다. == 여성의 경우 == 여성어의 경우 폴란드에서는 ~스카(ska)로 바뀌며,[* 예: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 폴란드의 그 [[퀴리 부인]].] 러시아에서는 여자는 성이 여성형인 ~스카야(skaya)로 바뀐다. 예를 들어 차이콥스키 가문의 남자는 성이 차이콥스키, 여자는 차이콥스카야이다.[* 그러나 이들이 외국에 나가 정착해서 살게 되면 딸의 성을 굳이 '~스카야'라는 여성형으로 바꾸기보다는 그냥 '~스키'라는 성으로 계속 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여배우 나스타샤 킨스키가 있고, 각종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런 현상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어로는 여성형이 ~스카, 벨라루스어로는 ~스카야이다. == 여담 == 한국에서는 대략 러시아 사람처럼 보이고 싶다면 [[외국인 이름 유머|성 뒤에 그냥 막 갖다붙이는 단어]] 중 하나. '''[[http://pgr21.com/pb/pb.php?id=humor&no=38708|이반 시발노무스키]]'''나 [[노홍철|돌아이스키 3세]]라든가… [[발레리NO]]의 등장인물들 이름도 연기한 개그맨 이름+스키(ex.성광스키)로 되어 있다. ex)배틀스키([[황금용자 골드란]] 17화에 나오는 우르잭 공화국 소속 무술가.), [[킨토레스키]]([[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오레스키]]([[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스키와 더불어 슬라브어권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접사로는 [[비치#s-1]]가 있다. 이 경우에는 폴란드어권과 세르보크로아트어권에서 더 범용적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