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gctc.ru/6384828915.jpg|width=100%]]|| ||||<#000><:>{{{#fff {{{+3 스타시티 (러시아)}}}}}}|| ||<-3><:> [include(틀:지도, 장소=러시아 Звёздный городок)] || [[영어]]: Star City [[러시아어]]: Звёздный городок (Zvyózdny gorodók, 즈뵤즈드니 고로도크)[* 강세 등을 감안해서 발음을 적으면 '즈뵤즈늬 가라도크' /ˈzvʲɵznɨj ɡərɐˈdok/ 정도가 된다.] [목차] == 소개 == 스타 시티는 [[러시아]] [[모스크바주]]에 위치한 읍(посёлок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으로, [[유리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가 위치해 있다. [[2010년]] 기준 인구는 6,332명으로, 이름은 [[도시]]라고는 하지만 실제 규모는 타운(?)이라 해야 적절한 수준. 애초의 고로도크(городок)라는 [[러시아어]] 단어 자체가 도시를 뜻하는 고로드(город)의 지소형이라 '작은 도시'라는 뜻이다. == 역사 ==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1358365-0D40F2AB000005DC-133_634x415.jpg]]|| ||[[우주인]]들을 위한 훈련 시설. 해당 [[사진]]은 [[ISS]] 모듈 관련 훈련 시설이다.|| 이 유리 가가린 우주 비행사 훈련 센터의 역사는 꽤나 긴데, [[1960년]]에 건설되고 [[유리 가가린]] 이래 [[소련]]이 배출하고 희생했던, 그리고 [[이소연(1978)|이소연]]을 포함해 [[러시아]]의 우주선에 탑승한 전세계의 우주인들을 키워낸 곳이다. 즉, 소련 이래 [[러시아 연방 우주국]] 시대까지 [[소련 유인 우주 계획]]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곳이다. [[NASA]]의 시설과 비교하자면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케네디 우주센터]]라 할 때 이 곳은 [[존슨 우주 센터]]라 할 수 있다. [[1961년]]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을 성공시킨 [[유리 가가린]]이 [[1968년]] 훈련 도중 사고로 사망하자 그의 이름을 딴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초기에는 당연히 지도에도 안 나오는 [[비밀도시]]급 제한구역이었으나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프로젝트]]를 계기로 일부 [[미국인]] 관계자[* 꼭 해당 미션 관계자들이 아니어도 소련이 초청한 인물들이라면 다 되었다. [[아폴로 11호]]가 돌아온 뒤에는 소련이 인정하는 차원에서 [[닐 암스트롱]]을 초청하여 가가린 사진 앞에서 [[발렌티나 테레시코바]]가 직접 훈장을 달아주기도 했다.]들에 한해 출입이 허가되었고, [[공산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우주인]]을 배출해주는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을 통해 점점 널리 개방되었다. == [[비밀도시]]? == 상술했듯이, 본래 스타 시티는 유인 우주 개발을 위한 우주인 양성 훈련 센터를 지으며 형성된 연구 단지였는데, 우주 개발은 안그래도 폐쇄적인 공산국가였던데다 [[미국]]과의 [[우주 경쟁]]이 벌어지던 시기라 [[지도]]에 나오지 않을정도로 보안이 철저했던 [[비밀도시]]였다. [[1960년]] 설립 초기에는 우주인 훈련 시설이 있는 독립건물들만 있었지만, [[1968년]]부터는 우주 비행에 관련된 사람들이 모든 [[훈련]]을 이곳에서 받을 수 있도록 규모가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페레스트로이카]] 이래로 [[ESA]] 관계자들이 드나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냉전]]이 막을 내린 [[1990년대]] 이후에는 [[NASA]]와의 협력을 위해 [[유럽인]] 뿐만 아니라 [[미국인]]을 위한 주거시설까지 마련되었다. 현재 스타시티에는 [[우주인]]의 훈련 시설인 가가린 우주센터와 의료시설, 우주인 자녀들이 다닐 [[학교]], [[영화관]], [[우체국]], [[박물관]] 등이 있어 소규모 도시라 부를 정도의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방학]]이나 [[소유즈 우주선]] 발사를 앞둔 시기에는 [[휴스턴]]에 사는 미국 우주인들의 처자식들도 놀러와서 순식간에 [[국제도시]]가 된다. 괜히 '시티'가 아니다! == 여담 == * 이따금씩 [[높으신 분들]]이 방문하기도 한다. [[러시아 대통령]]께서 행차하시는 날에는 [[러시아인]]은 물론 잠수탱크에 있던 [[미군]] 출신 우주인들도 각잡고 [[거수경례]]를 보내며 [[대통령]]을 영접한다. 이런 날에는 보통 [[알렉세이 레오노프]] 등의 [[원로]]들과 우주인 출신으로 현역 [[정치인]]으로 활동하는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등도 같이 따라오는 편. * [[우주비행사]] 뿐 아니라 [[우주여행|우주관광객]]들도 훈련을 받기위해 들리기도 한다. [[MBC]]의 [[무한도전]]팀이 [[2016년]] 10월 [[무한도전 마션 특집#s-3.2|우주비행 준비를 목표로 이곳을 방문해서 간단한 훈련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학습만화 [[우주에서 살아남기]]에 이 센터의 시설이 자세히 묘사된다. * 한때 한국에서 필수요소로 쓰인 적이 있는데, 이는 [[영비천]]의 광고에 등장했기 때문. [[분류:우주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