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자유의 날개\, 자날, other1=진격의 거인 1기 애니메이션 오프닝, rd1=자유의 날개(노래), other2=러브 라이브!의 노래, rd2=ツバサ・ラ・リベルテ)]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0D14, #0A0D14)" {{{#96BCC9 ''' 스타크래프트 2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메타크리틱 PC MUST-PLAY)] ------ [include(틀:타임지 선정 50대 비디오 게임)] }}} || ||<-2>
{{{#96bcc9 '''{{{+1 {{{#!html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br]{{{#!html STARCRAFT II: WINGS OF LIBER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ingsOfLiberty_SC2_Cover1.jpg|width=100%]]}}} || || '''개발''' ||<|2>[[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height=40&theme=light]][[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40&theme=dark]]]] || || '''유통'''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Battle.net|[[파일:Battle.net 아이콘.svg|height=16]]]] || || '''장르''' ||[[RTS]] || || '''출시''' ||[[2010년]] [[7월 27일]][* 오픈 베타 테스트 마감을 통한 한국에서의 본격적인 정식 출시일(패키지, 디지털판 공통)은 [[9월 18일]]이다.] || || '''엔진''' ||도미노 엔진[* 하복 엔진 기반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 자체 개발 엔진에다 물리 엔진을 하복 물리 엔진을 사용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물리 엔진도 도미노 엔진을 사용했기 때문. 다만 발매 초기에는 패키지 인쇄 등에 하복 물리 엔진 로고가 있었다.]|| || '''한국어 지원''' ||자막·음성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2세 이용가}}}''']][br][[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width=16]] '''{{{#000000,#dddddd 청소년 이용불가}}}''']] || ||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dddddd ESRB T}}}''']][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6.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6}}}''']][br][[소프트웨어 심의 등급 기관|[[파일:USK 12 로고.svg|width=16]] '''{{{#000000,#dddddd USK 12}}}''']] || || '''관련 사이트''' ||[[https://starcraft2.blizzard.com/k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GthQOpASs5s)]2007년 WWI때 한국에서 독점 공개된 오프닝 영상이다. 실제 게임에서는 대사 추가 등 몇 가지 수정이 이루어졌다.[* 당시 2007년 WWI때 공개했을때 한국어 더빙으로 심지어 입모양마저 한국어 맞게 움직이는 것에서 국내팬들한테 충격을 주었다. e-sports 종주국임과 동시에 PC방 사업으로 가장 많은 플레이한 한국인만큼 제작진들의 정성이 듬뿍 담겨져있음을 알 수 있다.] [youtube(vYQFjDIM8eI)][* 자유의 날개가 발매 되기 약 일주일 전쯤에 공개된 예고편이다. 게임의 시네마틱 컷씬과 인게임 컷씬을 적절히 섞어 마치 블록버스터 영화 예고편처럼 만들어 사람들에게 충격을 선사했다. 당시 반응을 보면 게임 예고편 보러왔다가 영화 예고편을 봤다고. 내용 구성은 전작의 전환점이 된 뉴게스티버그 전투, 이 때 케리건을 구해지 못해 칼날여왕을 막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는 레이너 (예고편의 이름인 과거의 망령이 죄채감을 뜻할 때 사용되는 어구다.), 자치령을 대항하는 혁명활동, 예언을 전달하는 제라툴, 다시 시작된 저그 침공, 다시 마음을 다잡는 레이너 등 스타크래프트 팬들이 열광할 요소로 가득했다.] >'''[[타이커스 핀들레이|드디어, 올 것이 왔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RTS]] 게임. [[스타크래프트]]가 1998년에 발매된 이후 약 12년 만에 나온 후속작이자 [[스타크래프트 2]] 3부작의 첫 번째 작품이다. [[2007년]] [[5월]] 서울에서 치러진 2007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최초 공개 시연 영상은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99597&category=2701|여기]]서 볼 수 있다. 한 패키지에 세 종족의 캠페인을 다 담기에는 싱글 플레이의 규모가 너무 커진 관계로 테란, 저그, 프로토스 3종족의 시나리오들을 아예 세 개의 패키지로 나누기로 하였다. 각 패키지의 제목은 아래와 같다. * [[테란]]: [[자유의 날개]](Wings of Liberty) * [[저그]]: [[군단의 심장]](Heart of the Swarm) * [[프로토스]]: [[공허의 유산]](Legacy of the Void) 우선 테란 캠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자유의 날개를 원본으로 우선 발매하고, 다른 저그와 프로토스의 캠페인이 포함된 제품은 확장팩으로 출시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시리즈가 완결된 현재, 캠페인 면에서는 맨 처음 나왔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자유의 날개가 가장 높이 평가받는다. 캐리건 원맨쇼에 볼륨도 낮고 시종일관 어두운 분위기의 군심, 툭하면 '~~3개를 파괴하는'식의 천편일률적인 미션에 엔딩 논란이 상당했던 공유와 비교해서 스토리 진행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유머러스하고 미션 외에도 즐길거리를 상당히 제공하는 자날이 맨 처음 나왔다는 것이 지나고 보면 신기하기까지 하다. [[더스틴 브로더]]와 [[롭 팔도]] 등이 [[https://www.youtube.com/watch?v=IuDeqyZTnAc|개발에 참여]]하였다. 예전 기존의 스타크래프트랑은 절대적으로 비교가 안되는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향상된 그래픽과 3D 구현으로 인한 입체적인 지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개발 스텝이 다수 참여해서 그런지 일부 팬들로부터 원래 스타크래프트의 색을 잃었다는 평을 듣고 있지만 전작 못지 않은 스피디한 게임 진행으로 사람들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전작에 비하여 유닛간의 상성이 두드러지게 강조되는 모습등이 C&C의 영향을 꽤 받았으며, 몇몇 유저들한테는 스타크래프트의 고유한 맛을 잃었다고 비판받고 있다. 그러나 개발 목표부터 12년 전에 나온 1편의 기본 틀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어서 "스타크래프트 1.5 같다"는 평도 있다. 복고적인 RTS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게이머들에게는 반응이 좋지 않은 모양. 스타1 때부터 이어져오던 [[RTS]] 게임들의 '''스타와 비슷하면 베꼈다고 까이고, 다르면 이상하다고 까이는''' 잣대는 정식 후속작인 2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개발 초기 단계에서 플레이 가능한 [[진영]]은 원래 4개로 구상하기도 했으나 [[야언좆|워크래프트 3처럼 밸런스를 맞추기도 어렵고]] 3종족의 개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진영을 추가하기가 까다롭다는 판단하에 3종족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확장팩에서도 3종족을 유지할 것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12년 만의 후속작이라고 하여 흥행여부에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유저들과 웹진들의 찬사를 받으며 흥행에 대성공했다. 2010년 7월 27일에 발매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9월 18일까지 오픈 베타 형식으로 54일 동안 무료 제공되었다. 한국에서의 정식 출시 가격(무제한 이용권)은 69,000원이며, 그 외에도 하루 2,000원, 한 달 9,900원을 결제하면 해당 기간 동안 즐길 수 있었다.[* 전작과 달리 한국에서만 이러한 정책을 시행한 것은 당시 블리자드 코리아의 대표였던 한정원이 '한국에선 패키지 게임이 먹히지 않으므로 온라인 정액제로 나가야 한다'라는 주장을 고수했기 때문이었다. 2010년 9월 18일 11시 이후인 현재는 일반적인 패키지/온라인 다운로드 판매로 고정.] 패키지 상품은 블리자드 스토어 본점(배송료 3000원 추가)이나 독점 계약을 체결한 [[롯데마트]]에서 구매 가능했다. 한국 공식 판매량이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031102019931749002|40만장을 넘었다.]] 영문 공식 사이트에서 데모 버전을 구할 수 있었다. 1.0.0 버전을 기반으로 하며 캠페인 초반의 미션 세 개와 인공지능 상대 전투[* 단, 종족은 컴퓨터도 플레이어도 테란만 가능하다. 맵 또한 단 두 개만 지원한다.]를 할 수 있다. 단, 멀티플레이어는 지원하지 않으며 게임 중의 인물 초상화도 [[짐 레이너]]와 부관[* 단, 캠페인 중 오퍼레이팅 대사를 할 때만. 테란 건물을 눌렀을 때의 초상화는 2D.]만 3D이다. 2011년 8월 19일 한국도 공식 데모를 시작했다. 현재는 무료화가 되었다. [[파일:external/kr.media4.battle.net/N8MU315ABDDL1300762654418.jpg]] 2011년 3월 24일부터 블리자드 창사 20주년 기념으로 40,000원으로 할인 판매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한시적이라고 했지만 그냥 4만원으로 가격 고정. 2011년 3월 17일과 24일 사이에 구매했던 사람들에게는 차액을 환불해 줬다. 단, 오프라인으로 구매한 경우엔 영수증이 없으면 환불이 불가능하다. 확장팩인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군단의 심장]] 발매 이후, 배틀넷 샵이 개편되면서 가격이 24000원으로 조정되었다. 합본의 가격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여러모로 출시 초기부터 즐겨왔을 게이머들에게는 추억으로 남을 만한 작품. 자유의 날개 발매 초창기에는 국내에서 이런저런 말이 많았지만 공허의 유산까지 출시된 후에 다시 돌아보면 캠페인 콘텐츠 양으로나, e-sports의 규모로나[* 특히 2011년 ~ 2012년 까지는 리그의 규모로나 경기력으로나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 매우 잘 나가던, 소위 진정한 '''리즈 시절'''이었다. 공허의 유산이 출시되었음에도 국내외의 스2 리그는 다른 강력한 경쟁자들 상대로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라 충성도 높은 코어 유저들에게 자유의 날개 시절은 감개무량할 것이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출시 당시 시스템 요구 사항은 2.6 GHz 프로세서, 1GB 이상[* 윈도우 기준. OS X에서는 2GB 이상의 램 용량이 필요하다.]의 램 용량, 128MB 그래픽 카드[* 권장 사양은 512MB 그래픽 카드.], 24GB 이상의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하였으나,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부터 시스템 요구 사항이 높아졌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부터 요구하는 시스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3>
'''{{{#96bcc9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96bcc9 Windows}}}''' || || '''운영체제''' ||윈도우® 7[br]윈도우® 8[br]윈도우® 10 ||윈도우® 10 64-bit || || '''프로세서''' ||인텔® 코어™ 2 Duo[br]AMD Athlon™ 64 X2 5600+ ||인텔® 코어™ i5[br]AMD FX Series || || '''메모리''' ||2GB ||4GB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7600 GT[br]ATI™ Radeon™ HD 2600 XT[br]인텔® HD Graphics 3000 ||NVIDIA® GeForce® GTX 650[br]AMD Radeon™ HD 7790 || || '''저장 공간''' ||<-2>30GB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여유 공간 || ||<-3> '''{{{#96bcc9 macOS}}}''' || || '''운영체제''' ||OS X® 10.10 (최신 버전) ||macOS® 10.12 (최신 버전) || || '''프로세서''' ||인텔® 코어™ 2 Duo ||인텔® 코어™ i5 || || '''메모리''' ||4GB ||8GB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 330M[br]ATI™ Radeon™ HD 4670 ||NVIDIA® GeForce® GTX 775M[br]AMD Radeon™ R9 M290X || || '''저장 공간''' ||<-2>30GB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여유 공간 || == 싱글 플레이 == 이번 작에서는 싱글 플레이 역시 배틀넷에 연계된다. 이는 배틀넷에서 제공되는 업적이나 메신저 등의 서비스를 싱글 플레이어에게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없는 지역의 플레이어를 위해 익명 로그인을 통해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외한 싱글 플레이만을 즐길 수 있는 방안도 제공된다. ===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자유의 날개|캠페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자유의 날개)]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캠페인: 자유의 날개)] ==== [[스타크래프트/스토리|스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스토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대화집/자유의 날개)] === [[스타크래프트 2/인공지능|인공지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인공지능)] === [[스타크래프트 2/도전 과제|도전 과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도전 과제)] === [[스타크래프트 2/치트키|치트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치트키)] == 멀티 플레이 == === [[스타크래프트 2/전략전술|스타크래프트 2의 전략전술]] === 이 부분엔 유명하거나, 무언가 파장을 일으킨 ~~[[삼연벙]]~~빌드를 써주세요. 이 외엔 해당 문서로 올려주세요. * 테란 * [[5병영 사신]] * [[리페리온]] * [[리페토르]] * [[사신 더블]] * [[전진 2병영 해병]] * [[컵라면 사신]] * [[1111]] * [[불불 러시]] * [[마카류 2병영]] * [[1/1/1체제]] * [[말벌 빌드]] * [[고병재 빌드]] * 프로토스 * [[4차관 러시]] * [[전진 게이트|88관문]] * [[6차관 러시]] * [[공허 날빌]] * [[패스트 모선]] * [[마의 25분]] * 저그 * [[4드론|6못]] * [[12일벌레]] * [[더블링]] * [[땅굴저그]] * [[무감타]] 그 외 빌드는 [[스타크래프트 2/전략전술/군단의 심장 이전]] 참조. === [[스타크래프트 2/밸런스|밸런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밸런스)] === [[스타크래프트 2/아케이드|아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아케이드)] == 종족 정보 == === [[테란]] === * 추가 유닛 * [[지게로봇]](MULE) * [[사신(스타크래프트 2)|사신]](Reaper) * [[불곰(스타크래프트 2)|불곰]](Marauder) *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령]](Ghost) * [[바이킹(스타크래프트 2)|바이킹]](Viking) * [[크루시오 공성 전차|공성 전차]](Crucio Siege Tank) * [[토르(스타크래프트 2)|토르]](Thor) * [[화염차]](Hellion) * [[밴시(스타크래프트 2)|밴시]](Banshee) * [[밤까마귀]](Raven) * 자동 포탑(Auto-Turret) - 건물 * [[의료선]](Medivac dropship)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유닛 * [[골리앗(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골리앗]] * [[과학선]] * [[망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망령]] * [[시체매]] * [[거미 지뢰]] * [[악령(스타크래프트 2)|악령]] * [[약탈자(스타크래프트 2)|약탈자]](Predator) * [[오딘(스타크래프트 2)|오딘]] * [[로키(스타크래프트 2)|로키]] * [[의무관]] * [[코브라(스타크래프트 2)|코브라]] * [[화염방사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화염방사병]] * [[헤라클레스(스타크래프트 2)|헤라클레스]], 거주민 우주선 * [[특수전 수송선]](컨트롤 불가능/미션 초반 병력투입 이용) * [[히페리온(스타크래프트 시리즈)|히페리온]] * [[A.R.E.S.]] * 자치령 열차 * 회복 장치 * 감시포 * 가스포탑 * [[발키리(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발키리]] * [[그리핀]] * 전술 타격기 * 자기 지뢰 * 해적 주력함 * 거주민 * 과학자 * 포로 * 광부 * 병력 수송 장갑차, 자치령 수송 차량 * 병력 수송 차량 * L2 고속자동차 * 비행선 * 광고 비행선 * 모히칸 사륜차 * 시코토 쿠페 * 오리온 터보 쿠페 * 크루저 * 야생마 APT * 화물 트럭 * 평상형 트럭 * 덤프트럭 * 유조차 * 불도저 * 굴삭기 * 항구 고물선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1|전쟁광]](정예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병]]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2|악마의 개]](정예 [[화염방사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화염방사병]]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3|망치 경호대]](정예 [[불곰(스타크래프트 2)|불곰]]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4|스파르타 중대]](정예 [[골리앗(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골리앗]]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5|공성 파괴단]](정예 [[크루시오 공성 전차|공성 전차]][* 공성 파괴단은 크루시오 공성 전차가 아니라 1편에 등장하는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이다.]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6|헬의 천사]](해적 [[바이킹(스타크래프트 2)|바이킹]]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7|그늘날개]](해적 [[밴시(스타크래프트 2)|밴시]] 용병)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s-3.8|잭슨의 복수단]](해적 [[전투순양함]] 용병) * 만우절 기념 유닛 * [[타우렌 해병]] * [[테라트론]] * 추가건물 * 궤도 사령부 * 행성 요새 * [[감지탑]] * [[유령 사관학교]] * [[융합로]] * [[기술실]] - 부속건물 * [[반응로]] - 부속건물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건물 * [[드라켄 레이저 천공기]] * [[기술 반응로]] - 캠페인 한정 부속건물. 모든 유닛을 한번에 2기씩 생산할 수 있다. * [[자동 정제소]] - 캠페인 한정. 효율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을시 일정 시간마다 가스를 4씩 '''자동''' 채취. * [[지옥 포탑]] * [[군체의식 모방기]] * [[사이오닉 분열기]] * [[용병 집결소]] * 병참 본부 * 자치령 홀로그램 선전물 * 멩스크 동상 * 자유의 선물 * 늑대 동상 * 데이터 저장소 * 과학 시설, 무기 시설 * 조륨 보관 시설 * 테라진 탱크 * 사이오닉 개조 장치 * 핵 격납고 * 관문 제어기 * 관문 * 우리 * 핵융합 반응로 * 지진파 폭탄 * 불꽃 베티 * 발전기, 제어 장치 * 열차 엔진 * 드라켄 파동포 * 전술 작전부 * 연구실 입구 * 자치령 초소 * 혼종 수용실 * 함포탑 * 용병 우주공항 * 용병 우주정거장 * 발레리안의 우주정거장 * 죄수 수송칸 연결 장치 * 아우구스트그라드 관문 * 사이오닉 파괴 장치 * 동력 연계기 * 황궁 관문 * 코랄 황궁 포탑 * 막사 * 주택 * 생태관 기지 * 거주민 생태관 * 차고 * 주점 * 등장인물 * [[짐 레이너]] * [[맷 호너]] * [[발레리안 멩스크]] * [[아크튜러스 멩스크]] * [[타이커스 핀들레이]] * [[로리 스완]] * [[노바 테라]] * [[아리엘 핸슨]] * [[가브리엘 토시]] * [[미라 한]] * [[이곤 스텟먼]] * [[마일로 카친스키]] * [[그레이븐 힐]] * [[호러스 워필드]] * [[에밀 나루드]] * [[케이트 록웰]] * [[도니 버밀리언]] * [[마이클 리버티]] * 리 캐노 * [[부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부관]] * [[올란]] * [[코이터]] * [[에드먼드 듀크]] * 등장 세력 * [[테란 자치령]] * [[레이너 특공대]] * [[뫼비우스 재단]] * [[우모자 보호령]] * [[켈모리안 조합]] * 미라의 약탈단 * [[UNN]] * [[지구 집정 연합|UED]] === [[프로토스]] === * 추가 유닛 * [[파수기]](Sentry) *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불멸자]](Immortal) * [[추적자(스타크래프트 2)|추적자]](Stalker) * [[차원 분광기]](Warp prism) * [[불사조(스타크래프트 2)|불사조]](Phoenix) * [[거신(스타크래프트 2)|거신]](Colossus) * [[공허 포격기]](Void ray) * [[모선(스타크래프트 2)|모선]](Mothership)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유닛 * [[공허의 구도자]] *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정찰기]] * [[정화 모선]] * [[탈다림 모선]] * [[광전사 석상]] * [[왕복선]] * 개발 과정에서 삭제된 유닛 & 건물 * [[정화자]] * 위상포 * [[폭풍우]] * 황혼 집정관 * [[파괴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괴자]][* 개발 중 스샷으로만 등장했으며 공허의 유산 캠페인, 협동전에서야 제대로 모습을 비추게 되었다. [[http://blog.naver.com/kel7319/80117215135|참조]]] * 추가 건물 * [[차원 관문]] * [[황혼 의회]] * [[기사단 기록보관소]] * [[암흑 성소]]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건물 * [[방첨탑]] * [[분열장 생성기]] * [[투명 수정탑]] * [[젤나가 사원]] 문 * 젤나가 성소 * 젤나가 보관소 * 유물 보관소 * 탈다림 감옥 * 계승자 감옥 * 기록 보관소 * 사이오닉 연계탑 * 차원로 * 발사대 * 정지장 보관소 * 차원 추진기 * 사이오닉 전파기 * 구명정 * 환풍구 입구 * 젤나가 수정 * 등장인물 * [[제라툴]] * [[셀렌디스]] * [[모한다르]] * [[우룬]] * [[태사다르]] * [[카라스(스타크래프트 2)|카라스]] * [[아르타니스]] * 니온 = [[탈다림 집행관]] * 등장 세력 * [[탈다림]] * [[자쿨 수호자]] * [[댈람|댈람 프로토스]] === [[저그]] === * 추가 유닛 * [[맹독충]](Baneling) * [[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여왕]](Queen) * [[감염충]](Infestor) * [[감염된 해병|감염된 테란]](Infested terran)[* 스타 1에서도 존재하던 유닛이었지만, 비교해 보면 아예 다른 유닛이니 추가 유닛으로 표기.] * [[바퀴(스타크래프트 2)|바퀴]](Roach) * [[타락귀]](Corruptor) * [[무리 군주]](Brood lord) * [[감시 군주]](Overseer) * [[변신수]](Changeling) *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공생충]](Broodling)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유닛 *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민간인) * [[갈귀]] * [[거대괴수(스타크래프트 2)|거대괴수]] * [[변형체]] * [[브루탈리스크]] * [[오메가리스크]] * [[피갈리스크]] * [[바이로파지|모이 유충]] * [[무리 수호군주]][* 바이킹을 조종하는 미니 슈팅게임에서 나온다. 단 정식게임 쪽은 지도 편집기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조종해야 하는 방법밖에 없다.] * 땅무지 * 라바사우르스 * 퀼고르 * 티라노조르 * 개발과정에서 삭제된 유닛 * [[감염된 프로토스]] * 추가 건물 * [[가시 촉수]] * [[포자 촉수]] * [[맹독충 둥지]] * [[바퀴 소굴]] * [[감염 구덩이]] * [[땅굴망]] * [[땅굴벌레]] * 싱글 플레이 한정 등장 건물 * [[감염된 테란 건물]] * [[감염된 사령부]] * [[바이로파지]] * [[포자 주둥이]] * 냉각 시설 * 저그 굴 입구 * 갈귀 둥지 * 원시 군락 * 관통 군체 * 가시지옥 굴 * 날벌레 둥지 * 등장인물 * [[사라 케리건]] * [[초월체]] === 크리처/중립 === * [[젤나가 감시탑]] * [[중추석|젤나가 유물]] * [[파괴 가능한 바위]] * [[스타크래프트 2/중립 동물]] === 기타 세력 === * [[젤나가]] * [[아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어두운 목소리]] * [[에밀 나루드]] * [[혼종(스타크래프트 시리즈)|혼종]] * [[혼종 약탈자]] * [[혼종 파괴자]] * [[마르(스타크래프트 2)|마르]] === 그 외 === * [[풍부한 광물지대]] * [[스타크래프트 2/성우]]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계급]]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등장 행성]] * [[코프룰루 구역]] * [[브루드 워 아리아]] == [[스타크래프트 2/업적|업적]] == 업적 이름에서도 블리자드 코리아의 비범한 센스를 엿볼 수있다. 참고로 원본인 영어판은 대부분이 앨범이나 곡명에서 따왔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328&l=40|링크]] * [[하얗게 불태웠어]] : 만화 <[[내일의 죠]]> * 건설로봇대전 : 게임 <[[슈퍼로봇대전]]> * 힘이여 솟아라 : 우주의 왕자 히맨 * 우주의 왕자 : 우주의 왕자 히맨 * 너는 이미 지배당해 있다 : <[[너는 이미 죽어 있다]]> * 수용소 습격사건 :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 * 훼방이 가장 쉬웠어요 : [[장승수|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 바닷가재 구이 : [[브루탈리스크]]의 모습이 바닷가재와 비슷해서… 참고로 영어판에선 Red Lobster(빨간 바닷가재)라는 해물요리 식당 이름이다. * 그놈의 주둥이 : 포자 주둥이에 치를 떠는 자치령 함대의 원한(…) * [[충격과 공포]]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28분 후 : [[28주 후]] * 좋은 전투복이다! : <[[빅 보스]]>~~[[아베 타카카즈]]~~ * 테란과 거상 : 게임 <[[완다와 거상]]> * 죽거나 혹은 서두르거나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 [[차도남|차가운 토시 남자]] : 만화 <[[마음의 소리]]> * 태양을 피하는 법 : 가수 [[비(연예인)|비]]의 곡 <태양을 피하는 법> * 금 따는 전장 : [[김유정(소설가)|김유정]]의 소설 <금 따는 콩밭> * 전격 방송 작전 : [[전격 Z작전]] * 골라 쏘는 재미 : 골라 먹는 재미([[배스킨라빈스 31]]) * 귀를 기울이면 : [[지브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 레이저 요법 : 레이저 수술 * 감시자의 눈 : 게임 <주시자의 눈> * 돌아오신 걸 환영합니다, 사령관님(Welcome Back, Commander)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EVA]] * 어둠과 함께 사라지다 :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우주방어]]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빨리 끝냅시다. 저녁에 공격대 뛰어야 하는데.]] * 적절한 수송 : [[김대기(프로게이머)|김대기]] * 건설로봇이 간다 : [[이경규가 간다]],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시스템 변경점|시스템 변경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시스템 변경점)] === [[스타크래프트 2/패치/자유의 날개|패치 내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패치/자유의 날개)]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starcraft-ii-wings-of-liberty, g=, score=9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starcraft-ii-wings-of-liberty/user-reviews, g=, score=8.2)] || === [[스타크래프트 2/흥행|흥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흥행)] === [[스타크래프트 2/문제점|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문제점)] == 기타 ==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사운드트랙|사운드트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사운드트랙)] === 동영상 === * [[http://www.youtube.com/watch?v=gSjRXI5XHw8|블리즈컨 티저 영상]] * [[http://www.youtube.com/watch?v=R8ZXTg8fMVg|한국 광고]] * [[http://www.youtube.com/watch?v=GthQOpASs5s|오프닝 시네마틱]] * [[http://www.youtube.com/watch?v=vYQFjDIM8eI|과거의 망령]] === 출시 전 루머/내용 === * [[/출시 전 내용]] 항목 참조.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루머]] === 3부작 및 유료화에 대한 오해 === 스타크래프트 2가 3부작으로 제작된다는 발표 이후, 먹튀 기자들[* 다만 단순 '먹튀'로 치부하기엔 당시 비슷한 케이스로 발매되던 게임들이 국내에서 실제로 존재해 생긴 오해라고 봐야 할 여지도 분명히 있다. 국내 게임만 보더라도 천년의신화 등 일부 작품이 '쥬얼판'이라는 이름으로 세 종족을 나눠 판 사례가 있다.]의 오역들로 인해 다양한 오해가 발생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3부작이 동시에 발매되며, 구입한 종족만 멀티 플레이에서 사용 가능하다. * 싱글 플레이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한 패키지만 구입하면 된다. 스타크래프트 2 3부작은 기본적으로 본편 + 확장팩 2개의 구성으로, 워크래프트 3에 확장팩 하나를 더 추가한 것이라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다. [[군단의 심장]]을 즐기려면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가 필요하긴 하나, 자유의 날개만 구입해도 [[배틀넷]] 플레이는 가능하다. 단 확장팩이 나온 이후부터 스타크래프트 1과 유사하게 확장팩 유저와 오리지널 유저끼리는 게임을 할 수 없지만, 확장팩 유저가 오리지널로 접속하면 오리지널만 구입한 유저와도 게임이 가능하다. 확장팩을 출시할 때마다 새로운 유닛 추가 & 밸런싱 조정이 이루어질 것이며,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워크래프트 3 오리지널의 예를 볼 때, 오리지널만 플레이하는 사람의 수는 극히 적으므로 멀티플레이를 중심으로 즐기려면 확장팩은 필히 구입해야 할 것이다. 이전에는 [[공허의 유산]]이 자유의 날개는 물론 [[군단의 심장]]까지 필요하다는 말이 있었으나 확장팩이 아닌 단일 제품만으로도 즐길 수 있다는 소식이 공개와 함께 전달되었다. --그냥 엔딩만 딱 보고 끝내라 이거네-- 가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블리자드 가맹 PC방에서는 정품 구입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캠페인 전체를 비롯한 모든 모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 [[http://kr.starcraft2.com/faq.xml#trilogy|스타크래프트 2 홈페이지의 설명]] 그간 배틀넷이 유료화 될 것이다 안 될 것이다 말이 많았지만, 블리즈컨 2009에서 기본적으로는 무료 기반인 것으로 발표되었다. 초기에는 차후 확장팩에서 맵 제작자가 맵을 배포할 수 있는 스타크래프트 2 마켓 플레이스라는 개념이 도입되며, 이 중 일부 맵을 유료로 판매하면서 생기는 수익의 일정량을 블리자드와 나누는 방식의 수익 모델을 적용할 것이라 발표했으나 현재까지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걸 보면 취소된 모양이다. ===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이스터 에그|이스터 에그]] === *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이스터 에그]] === 확장팩 ===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팬 애니메이션 === * [[Star Crafts]] === 그 외 [[OST]] === * [[Revolution Overdrive: Songs of Liberty]] == 참고 문서 ==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2]] * [[군단의 심장]] * [[공허의 유산]] * [[갤럭시 맵 에디터]] [[분류:스타크래프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