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OCG 스트럭처즈/등장인물]] [[파일:external/www.konami.jp/g2.png]] '''ストロング[ruby(十, ruby=じゅう)][ruby(九, ruby=きゅう)]''' / '''[ruby(剛, ruby=ごう)][ruby(力, ruby=りき)][ruby(十, ruby=じゅう)][ruby(九, ruby=きゅう)]''' [목차] == 개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최강 카드배틀!]],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의 등장인물. 본명은 '고리키 쥬큐'. 성우는 [[무로 겐키]]. == 작중 행적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최강 카드배틀!]] === 초등학생 사천왕의 일원. 공격력 중시의 파워 타입 듀얼을 하는 캐릭터. 사용 덱은 [[X-세이버]]나 공격력 1900 이하의 몬스터를 중심으로 한 비트 다운 덱. 심플하게 치고 받는 것을 선호하는 타입이다. 스토리에서 주인공의 첫 번째 듀얼 상대로 등장하는데, 듀얼에서 패배할 때도 공격력 1900을 부르짖고, 이후 대사로도 공격력 1900 몬스터만 있었다면 지지 않았을 거라고 하는 등 묘하게 공격력 1900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심지어 입고 있는 옷에도 크게 1900이 적혀 있는데, '쥬큐'라는 이름도 1900의 앞 두 숫자에서 따온 모양.[* 19는 일본어로 쥬큐(じゅうきゅう)라고 읽는다.] 듀얼에서 지고난 뒤에는 다른 사천왕들에게 [[놈은 사천왕 최약체지]] 취급을 받더니 [[가이드 씨]]에게 더 좋은 덱을 달라고 투덜대다 퇴장한다. ===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 [[파일:JukyuGoriki.png|width=500]] * 프로필 * 생년월일: 10월 9일 * 연령: 13세 * 신장: 162cm * 체중: 67kg * 혈액형: O형 작중 시점에서 중학교로 입학하여 쇼마하고는 동갑으로,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초등학생 사천왕 중의 일원인 동시에 최약체라는 모양. 입고 있는 셔츠의 프린팅 디자인은 1900에서 [[벨즈]]를 연상시키는 문양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본작에서는 바람 속성의 테마 덱을 주로 사용하며, [[라이트 츠키코]]가 주로 선보이는 봉쇄 전술 위주의 덱에 약하다고 스스로 말하지만 정작 본인도 봉쇄 전술에 특화된 덱을 사용한다. 작중에서도 카드 효과를 미처 다 외우지 못해 [[다크 쿠로다]]에게 최약체라며 까이고 티격태격대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초등학생 사천왕이라 불리는 만큼 쥬큐도 자신이 사용하는 덱을 이해하고 훌륭하게 전개하는 등 작중 엘드리치 덱의 특징을 몰라 관전중에 술렁이는 일반적인 초등학생은 아득이 초월한지 오래다.][* 사실 작중 시점에서 1년 전 국내최종예선 8강전에서 다크 쿠로다와 진검승부를 벌일 뻔했는데 그 전 시합에서 패가 말리는 바람에 듣보잡 듀얼리스트에게 패해 탈락한 바 있었고, 소환 영창과 트래시토크를 남발하는 중2병스러운 다크 쿠로다식 듀얼이 귀찮아서 한 번도 듀얼하지 않았다. 그러다 17화에서 다크 쿠로다가 듀얼하게 되자, 쿠로다는 그간 사천왕 최약이라고 계속 부추겨도 넌 듀얼을 피해 왔다고 운을 떼며 이 일을 언급하면서 분노하는데, 이 걸 보면 쿠로다가 평소 그렇게 최약체라고 자주 까던 건 진짜 최약체라고 얕봐서 그런 게 아니라, 오히려 자신 못지않은 강자라 인정하는 쥬큐가 최약체라 까이면서도 그걸 설욕할 노력을 안 하는 게 열받아서 한 도발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여기서 쥬큐와 원없이 진검승부해서 패한 후로는 단 한 번도 그를 까지 않는다.] 대신 정이 깊고 포용력이 넓어서 쇼마를 이것저것 챙겨주고 있는데다, 6화에서는 세계 대회 결승전에서 아깝게 패배하고 상심한 [[사이킥 텐도]]를 위로해주기도 했다. 그밖에도 튀는 구석이 있는 다른 멤버들에 비하면 인격자인데다 상식인. 1화에서부터 등장했으며, 카드 매장에서 듀얼 상대가 오지 않아 죽치고 있다가 여기서도 주인공 [[유사 쇼마]]의 작중 첫 듀얼 상대가 되었다. 매장에서 개최된 이벤트를 통해 구축한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 덱을 사용하고 패를 전부 써가며 '[ruby(신조최강풍진, ruby=갓 스트롱 윈드)]([ruby(神鳥最强風陣, ruby=ゴッド・ストロング・ウインド)])'이라는 포진을 밀어붙여 주인공인 쇼마를 압박했으나, 쇼마의 [[천위]]+[[룡성]] 콤보에 의해 결국 패배한다. 이후 쇼마가 새 듀얼 상대를 찾는데 격려해주는 모습을 보인다. 17화에서는 스테인레스제 [[암흑 기사 가이아]]가 걸린 미성년자 한정 팀 대회 안내문을 보며 처음에는 프리 대전 승률도 별로고 듀얼 감도 떨어져서 그냥 패스할까 고민했으나, 열의를 불태우는 쇼마에 의해 같이 참여하게 된다. 3vs3 대전이라 쿠로다, 츠키코, 텐도가 한 팀이 되는 바람에 한 명이 비던 것을 이벤트를 위해 휴가를 쓴 [[가이드 씨]]가 참여하면서 처음 만났을 때를 기념하며 '팀 스트럭처즈'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이후 팀이 결승전까지 승승장구하는 동안 가뿐히 전승을 거두는 다른 멤버와는 달리 혼자 전승을 못해 팀의 발목을 잡는 신세가 된 것을 고심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승전에서 최종 라운드로 [[다크 쿠로다]]와 듀얼하게 된다. 여기서는 [[드래그니티]] 퍼미션 덱을 사용.[* 이 덱을 선정한 이유는 쇼마와 처음 듀얼을 했을 때 사용한 추억이 있는 시무르그 덱의 요소를 별 탈없이 섞을 수 있는 덱을 쓰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카오스 드래곤]] 덱을 사용하는 쿠로다와의 듀얼에서 승산이 없어 절망했으나, 쇼마의 응원을 받게 되고 기운을 차리면서 끝내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들을 전개, 패배를 받아들이는 쿠로다의 부탁으로 피니시가 될 공격명을 외치며 승리한다. 이후 세계 대회를 거치며 돌아와 듀얼을 즐기지 못하고 이기는 것에만 집착하게 된 [[아카보시 오자]]를 보고는, 우승자가 그와 승부할 수 있는 새틀라이트 숍 대회 이벤트에서 그의 마음을 되찾기 위해 [[다크 쿠로다]]와 같은 뜻을 품고 참여한다. 이 대결은 통과점에 불과하다는 마인드로 결승전까지 진출한 그는, 개막전부터 쇼마와 상대하는 바람에 패배한 쿠로다의 뜻을 이어 그의 장갑을 받아들고는 결승 상대인 쇼마와 다시금 겨루게 되었다. 서로 쇼마와 다시 겨루겠다는 마음을 양보할 수 없는 가운데, 그는 '타도 쇼마'를 상정하고 준비한 자신작 [[LL]] [[트라이브리게이드]] 덱으로 듀얼에 나서며 이전처럼 [[시무르그(유희왕)#왕신조 시무르그|왕신조 시무르그]], [[안개 골짜기의 거신조]]를 꺼내며 한 층 더 강해진 '[ruby(진·신조최강풍진, ruby=갓 스트롱 윈드)](真・[ruby(神鳥最强風陣, ruby=ゴッド・ストロング・ウインド)])' 포진을 선보인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전력으로 맞서기로 한 쇼마에 의해 콤보는 분쇄되고, '''[[네가로기어 아제우스]]'''까지 나타나버린 가운데, 다음 턴이 돌아온 쥬큐는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의 효과로 쿠로다 남매와 함께 세 명의 힘이 한 데 모인, 이른바 '다크니스 라이트닝 드로우'라는 [[데스티니 드로우]]를 시전했다. 그 결과 딱히 최고의 드로우까지는 아니었지만[* 열혈 분위기가 잠시 사라지고 점눈으로 변해 침묵하는 개그씬을 보여준다.], 어쨌든 아제우스의 효과를 받아내며 [[트라이브리게이드]]의 전개를 통해 '[ruby(항전혈맹, ruby=블러디리볼트)]([ruby(抗戦血盟, ruby=ブラッディリボルト)]) [ruby(철수포효, ruby=트라이브리게이드 로어)]([ruby(鉄獣咆哮, ruby=トライブリゲード・ロアー)])'라는 포진을 내세우고,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흉조 슈라이그]]의 효과로 아제우스를 제외하는 등 다시 역습을 가한다. 하지만 이내 [[스타링 나이트]], [[용기의 천사 빅토리카]], 그리고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의 콤보로 인한 [[성야에 빛나는 용]] 2장의 공세에 패배하게 되었다. 덱에 남은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라도 뽑았더라면 막을 수 있는 사태였으나, 끝내 드로우 운이 발휘되지 못해 패한 그는 원통의 눈물을 흘렸다. 이후 오자와의 대결을 앞둔 쇼마에게 쿠로다 남매와 함께 찾아가 축하의 악수를 나누고는, 자신들과 함께 했던 오자의 과거를 설명해주었다. 듀얼을 진심으로 즐기던 그 때의 미소를 되찾게 하려던 자신들의 마음을 전하고는, 그들의 마음을 이어받기로 한 쇼마에게 쿠로다의 장갑을 빌려주고서 쇼마와 오자의 스페셜 매치를 지켜본다. 34화에서 쇼마의 마지막 턴, 쇼마는 [[야쿠사이카즈치노카미]]의 ①의 효과가 발동을 수반하지 않는 룰 효과인 것을 이용해, 소환수 메르카바의 퍼미션을 회피해 특수소환하는데, 오쟈와 나머지 사천왕은 "[[야쿠사이카즈치노카미]]의 ①의 효과"라고 외치자마자 소환수 메르카바의 어떤 약점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지 이해하고 그런 방법이 있었냐고 감탄한 반면, 쥬큐는 이해 못해서 무슨 말이냐 반문하며 얼탄다. 이후, 쇼마가 야쿠사이카즈치노카미와 필드에 있던 마건소룡-안드라비무스를 소재 삼아 마건빙선-아슈타르투를 엑시즈 소환, 아슈타르투로 메르카파를 전투 파괴하는데, 쥬큐는 쇼마는 더 이상 공격할 몬스터가 없으니 오쟈가 버텼다며 기뻐하지만 쇼마는 아슈타르투의 ①의 효과로 메르카파의 공격력만큼 효과 데미지를 줘서 승리한다. 이벤트가 끝나고 오쟈를 배웅한 후에 가장 먼저 신팩 발매일임을 알리며 새틀라이트 숍으로 쇼마와 나머지 사천왕을 데려간다. 38화에서 쿠로다 남매와 함께 재등장한다. == 사용 카드 == 스트럭처즈의 등장인물 대부분이 그렇듯이 다양한 덱을 사용하나, 1부에서 그가 사용한 덱은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를 필두로 비행야수족을 활용하는 덱이 많다 보니 전술의 끝은 대부분 [[왕신조 시무르그]]로 [[안개 골짜기의 거신조]]를 꺼내는 것으로 끝이 난다. 일명 '스트롱 윈드'. 과거 회상에서 [[블러드 볼스]]를 사용했던 것을 보면, 최강 카드배틀 당시와 마찬가지로 이전에는 공격력 1900 위주의 비트 덱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 덱 === [[유사 쇼마]]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 * 메인 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다크 시무르그]] ×2 * [[시무르그(유희왕)#다크니스 시무르그|다크니스 시무르그]] ×2 * [[바람 제왕 라이저]] ×2 * [[시무르그(유희왕)#사신조 시무르그|사신조 시무르그]] ×2 * '''[[안개 골짜기의 거신조]]''' ×2 * '''[[시무르그(유희왕)#열풍의 패자 시무르그|열풍의 패자 시무르그]]''' ×2 * [[시무르그(유희왕)#초신조 시무르그|초신조 시무르그]] ×3 * [[시무르그(유희왕)#추신조 시무르그|추신조 시무르그]] ×3 * [[시무르그(유희왕)#호신조 시무르그|호신조 시무르그]] ×2 * 마법 카드 * [[무덤의 지명자]] ×3 *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의 내구|시무르그의 내구]] ×3 *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의 배격|시무르그의 배격]] * [[시무르그(유희왕)#시무르그의 영봉 엘부르즈|시무르그의 영봉 엘부르즈]] ×3 *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3 * [[죽은 자의 소생]] *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 * [[해피의 깃털]] * 함정 카드 * [[갓버드 어택]] ×2 * [[해피(유희왕)#해피의 깃털눈보라|해피의 깃털눈보라]] ×2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엑시즈 몬스터 * [[다이가스타 에메랄]]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 링크 몬스터 * [[그레이트플라이]] ×2 * [[링크 스파이더]] * [[링크리보]] ×3 * [[바렐로드 드래곤]] * [[바렐스워드 드래곤]] * [[시큐리티 드래곤]] * '''[[왕신조 시무르그]]''' * [[트로이메어#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 [[트로이메어#트로이메어 피닉스|트로이메어 피닉스]] * [[해피(유희왕)#해피 컨덕터|해피 컨덕터]] * [[혼돈의 전사 카오스 솔저]] === [[드래그니티]] 덱 === [[다크 쿠로다]]와의 듀얼 중 사용. 드래곤족을 활용하는 특성상 쿠로다가 사용한 덱과 일부 카드가 겹친다. * 메인 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BF-정예의 제피로스]] * [[정룡#남정룡 템피스트|남정룡 템피스트]]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기잠|드래그니티-기잠]] ×2 * [[드래그니티-둑스]] ×3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레가투스|드래그니티-레가투스]] ×2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레무스|드래그니티-레무스]] ×3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세나트|드래그니티-세나트]]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쿠제|드래그니티-쿠제]] ×2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그램|드래그니티 암즈-그램]]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 ×2 * [[드래그니티-파랑크스]] *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안개 골짜기의 거신조]] * [[안개 골짜기의 유괴조]] * 마법 카드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글로|드래그니티 글로]] ×2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드래프트|드래그니티 드래프트]] * [[드래그니티의 신창]] ×2 * [[어리석은 매장]] * [[용의 계곡]] ×3 * [[용의 영묘]] ×3 * [[조화의 패]] ×2 *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 * 함정 카드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보이드|드래그니티 보이드]]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싱크로 몬스터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벌처|드래그니티 나이트-벌처]] ×2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하룬|드래그니티 나이트-하룬]] *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 엑시즈 몬스터 * [[성각#성각용왕-아툼스|성각용왕-아툼스]] * 링크 몬스터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 ×2 * [[왕신조 시무르그]] * [[천구의 성각인]] *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 [[LL]] [[트라이브리게이드]] 덱 === [[유사 쇼마]]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 메인 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LL#LL-사파이어 스왈로|LL-사파이어 스왈로]] * [[LL#LL-코발트 스패로|LL-코발트 스패로]] * [[LL#LL-터쿼이즈 와블러|LL-터쿼이즈 와블러]] ×3 * [[안개 골짜기의 거신조]] * [[증식의 G]] ×3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너밸|트라이브리게이드 너벨]] ×3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케라스|트라이브리게이드 케라스]] ×2 * [[트라이브리게이드 키트]] ×3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프랙탈|트라이브리게이드 프랙탈]] ×3 *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2 * 마법 카드 * [[LL#LL-버드 콜|LL-버드 콜]] ×3 * [[말살의 지명자]] ×2 * [[무덤의 지명자]] ×2 * [[어리석은 매장]] * [[염무-「천기」]] ×2 *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2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랑데부|트라이브리게이드 랑데부]]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에어본|트라이브리게이드 에어본]] * [[해피의 깃털]] * 함정 카드 * [[트라이브리게이드 리볼트]] ×3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엑시즈 몬스터 * [[LL#LL-리사이트 스털링|LL-리사이트 스털링]] * [[LL#LL-앙상블루 로빈|LL-앙상블루 로빈]] * [[LL#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 링크 몬스터 * [[사익의 흐레스베이스]] *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 [[액세스코드 토커]] * [[왕신조 시무르그]] * [[전황(유희왕)#전황맹장-쌍룡|전황맹장-쌍룡]]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괴격 베어브룸|트라이브리게이드 괴격 베어브룸]]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도화 페리지트|트라이브리게이드 도화 페리지트]]''' *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은탄 루갈|트라이브리게이드 은탄 루갈]] *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 ×2 === [[비틀트루퍼]] 덱 === [[사이킥 텐도]]의 스프라이트 덱에 맞서 사용. 스프라이트의 전개 도중 [[증식의 G]]를 던져 움직임을 멈췄으며, 이후 곤충 굿스터프의 파츠들을 활용해 필드를 돌파하고 승리한다. * 메인 덱 몬스터 * 일반 몬스터 * [[G전대 샤인블랙]] * 효과 몬스터 * [[B·F#B·F-필중의 핀|B·F-필중의 핀]] ×3 * [[B·F#B·F-독침의 니들|B·F-독침의 니들]] * [[B·F#B·F-필중의 핀|B·F-필중의 핀]] * [[고키폴]] ×2 * [[공진충]] ×3 * [[데블도우저]]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마이티 넵튠|비틀트루퍼 마이티 넵튠]] ×2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스카우트 버기|비틀트루퍼 스카우트 버기]] ×3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스케일 폭탄|비틀트루퍼 스케일 폭탄]] ×3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스팅기 랜스|비틀트루퍼 스팅기 랜스]] ×2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어썰트 롤러|비틀트루퍼 어썰트 롤러]] ×2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라이트 플래퍼|비틀트루퍼 라이트 플래퍼]] ×2 * [[G(유희왕)#응전의 G|응전의 G]] ×3 * [[증식의 G]] ×3 * 마법 카드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디센트|비틀트루퍼 디센트]] ×2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랜딩|비틀트루퍼 랜딩]] ×3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포메이션|비틀트루퍼 포메이션]] *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2 * 함정 카드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스쿼드|비틀트루퍼 스쿼드]]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플로트 스팅|비틀트루퍼 플로트 스팅]] ×2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엑시즈 몬스터 * [[No.3 지옥선왕 로커스트 킹]] ×2 * 링크 몬스터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암드 혼|비틀트루퍼 암드 혼]] ×2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인빈시블 아트라스|비틀트루퍼 인빈시블 아트라스]] ×2 * [[세라핌 파피용]] * [[인잭터#인잭터 피코팔레나|인잭터 피코팔레나]] ×2 === [[초월룡]] 덱 === 오소레 류지와의 듀얼 중 사용.[* 공교롭게도 상대인 류지 역시 공룡 덱을 사용했다.] * 메인 덱 몬스터 * 일반 몬스터 * [[프로스트사우루스]] * 효과 몬스터 * [[궁극의 전도 티라노]] * [[베이비 케라사우루스]] * [[쁘띠라노돈]] * [[영혼을 먹는 오비랍토르]] * [[제노 메테오로스]] ×2 * [[자이언트 렉스]] * [[주옥수-아르고사우르스]] * [[초월룡#초월룡 메테오로스|초월룡 메테오로스]] * 마법 카드 * [[궁극진화약]] * [[그라운드 제노]]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융합 몬스터 * [[초월룡#초월룡 기간트자우러|초월룡 기간트자우러]] * 엑시즈 몬스터 * [[에볼카이저 라즈]] * [[초월룡#초월룡 드릴그나투스|초월룡 드릴그나투스]] * 링크 몬스터 * [[쿠로시프]] === [[염왕]] 덱 === [[유사 쇼마]]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 메인 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성염왕 가루도닉스]]''' * [[염왕#염왕 가네샤|염왕 가네샤]] * [[염왕#진염왕 포닉스|진염왕 포닉스]] * 마법 카드 * [[염왕#염왕신천소|염왕신천소]] * [[염왕#염왕의 고도|염왕의 고도]] * [[염왕#염왕의 성역|염왕의 성역]] == 기타 == * 제작 비화에 따르면, 본래 [[오레사마]]라 자칭하는 캐릭터인 만큼 자기중심적인 캐릭터를 염두에 뒀으나, 드라마 부분에 비중을 많이 할애할 수 없다는 작품 사정상 쇼마의 최고의 이해자 위치로 삼으면서 남을 잘 돌보는 사나이 캐릭터가 되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사천왕 중 가장 상식인이자 동료를 아끼는 캐릭터가 되는 등 만화의 양심이나 다름없는 캐릭터가 되었다. 작중에서도 사천왕 최약체 최급이라 여러모로 무시당하는 묘사가 나오지만, 사천왕 중에서는 츠키코가 한 수 위일 뿐 나머지 셋은 비등비등한 인상이라는 듯. 또한 작중 그가 보이는 카드에 관한 지식이 딱 담당 작가의 지식과 같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최강 카드배틀!, version=97)][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version=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