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include(틀:캡콤 주요 게임)]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트리트 파이터.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스트리트 파이터 2/Street_Fighter_2.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Street_Fighter_III_flyer.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4.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5.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eet Fighter 6 Box Art.jpg|width=100%]]}}}||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Street Fighter series)는 [[캡콤]]에서 제작하는 [[대전 격투 게임]] 시리즈이다. 특히 [[스트리트 파이터 2]]는 대전 격투 게임이라는 장르를 정립시킨 작품으로, 세계 규모로 봤을 때 [[철권 시리즈|철권]], [[모탈 컴뱃 시리즈|모탈 컴뱃]],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매시브라더스]]와 더불어 대전 격투 게임 중 가장 큰 팬덤을 가지고 있다. == 상세 == 초대작 [[스트리트 파이터 ]](1987)은 전세계적으로 히트한 게임이라고까지는 평가받지 못하는데[* 일본에서는 크게 흥행하지 못했지만 미국에서는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다. 어찌 보면 [[캡콤]] 미국 지사의 요청이 없었다면 [[스트리트 파이터 2]]를 만들지 않았을 수도 있었던 것이라 지금 생각하면 묘하다. 2버튼을 채용한 대형 기기일 때는 [[게메스트]] 아케이드 히트 게임 순위 10위 안에 거의 들지 못했으나 6버튼 모델이 출시된 후 1988년 1월호부터 1989년 1월호까지 집계한 히트 게임 점수를 1년분 합산한 랭킹에서는 8위를 차지했다.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R-TYPE]](6위)보다 조금 못한 수준.], 속편 '''[[스트리트 파이터 2]](1991)가 세계적인 대 히트'''를 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전 세계에 업소용 기판을 3만장 이상 판매한 공전의 히트를 한 것은 물론이고 [[아케이드 게임]]의 판도를 [[대전 격투 게임]] 중심으로 바꿔놓았으며 타사의 대전 격투 게임은 전부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한 수준일 정도로 커다란 영향력을 가진 게임. 이후 여러 후속작이 출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30년이 넘은 지금까지 각종 미디어와 매체에서 패러디가 꾸준히 나오는 그야말로 대전 격투 게임의 제왕급 프랜차이즈이자 1990년대 문화의 대표 아이콘중 하나다. 하지만 꽤 히트했던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와는 다르게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가 기대했던 성적을 내지 못하면서 경영진들은 스파 시리즈를 포함한 2D 아케이드 게임 사업 자체를 접으려고 했고, 9년동안 후속작이 나오지 않으면서 사실상 죽은 [[프랜차이즈]]가 되었으나 2008년에 [[스트리트 파이터 4]]가 3D 그래픽으로 제작/출시되면서 다시 부활했고 이 작품은 일본에서 2009년 [[월간 아르카디아]] 대상을 차지하게 된다. 2010년에는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가 출시되었으며 2012년에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s-4|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아케이드 에디션 Ver. 2012]]가 발매된 다음에 2014년에 완전판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가 출시되었다.[* 이 작품 이후로 [[스트리트 파이터 5]]가 나올 때까지 [[엑스박스 시리즈]]에서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가 [[합본]]판을 제외하고는 발매된 적이 없었다.] 2016년 2월 16일에는 [[스트리트 파이터 5]]가 출시되었는데, 스파 5 시리즈의 경우 패키지가 초기에 발매되는 하나 뿐이며, 이후 캐릭터 추가 또는 시스템 변경점 등은 전부 무료로 온라인 업데이트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2018년 1월 17일에 [[스트리트 파이터 5 아케이드 에디션]], 2020년 2월 14일에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을 발매함으로서 기존 정책인 단일 패키지 정책이 철회되었다. 다만 제품만 새로 내놓았을 뿐 나머지 정책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스파 5 시리즈의 경우 시즌제로 운영하고 있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및 스파 5 시리즈의 대회 흥행이나 기존작들과의 다른 행보를 보면 아케이드가 아닌 [[e-sports]] 시장을 공략하려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와 [[스트리트 파이터 5]]는 콘솔/PC판을 동시 발매했으며, 스파 5는 콘솔과 PC판 크로스 멀티플레이까지 구현하였다. 또한 울트라 스파 4 극후반부터 [[캡콤 프로투어]]를 신설, 격투 게임 [[e-sports]]를 고려해 만들어두었으며 이는 [[철권 시리즈]]에선 [[Tekken World Tour]]나 [[인저스티스 2]]의 인저스티스 월드 시리즈로 역수입하는 등 [[대전 격투 게임]] e-sports 선구자의 역할을 이어나가고 있다. 등장인물들의 개성이 매우 독특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초기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캐릭터 디자인 방향부터가 암묵적으로 웃음이 터져나오면 OK였다는 룰이 있었고, 이런 캐릭터 디자인 방향은 개그쪽으로는 덜해졌지만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의 [[Q(캡콤)|Q]],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의 [[루퍼스(캡콤)|루퍼스]], [[하칸]],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F.A.N.G]] 등으로 계속 이어졌다. 1:1 대전 위주지만 [[아랑전설 1]]처럼 두 사람이 협동으로 2인의 캐릭터를 동시 조작하여 CPU를 상대하는 것이 가능한 작품도 있다. 과거 [[류(캡콤)|류]]와 [[켄 마스터즈]]가 협동하여 최종보스 [[베가(캡콤)|베가]]를 상대한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가 그 기원인데, 게임에서도 최종전에서 켄이 난입해 들어와 류를 도와주는 게 그 시초였다.[*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등의 작품들에서 [[류(캡콤)|류]] & [[켄 마스터즈|켄]] vs CPU 옵션을 지원했으며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도 이와 유사한 옵션을 지원한다.] 초기엔 프로그래밍 기술이 따라가지 못 해 각종 버그의 향연이었으나, 이후 시리즈에선 프로그래밍의 개선으로 2인이 동시에 CPU 1인을 상대하는 모드까지 제대로 구현되었다.[* [[CPS2]]에서는 완벽지원하였으나 [[플레이스테이션 2|PS2]] 등장 전까지는 [[게임기 관련 정보|콘솔]]에서는 제대로 구현하는 부분에서 한계가 있었다.] 여기선 각종 슈퍼 콤보를 과거 마개조 복제기판 수준의 무한으로 CPU에게 써댈 수 있어 1:1 대전과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그렇다고 CPU가 약하냐 하면 전혀 그렇지 않고 무지막지한 데미지 보정으로 2인을 동시에 눕히는 경우가 부지기수. 스토리 타임라인은 [[스트리트 파이터|스파 1]]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스파 제로]]([[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스파 제로 3]]는 [[평행세계]])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스파 2]]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스파 4]] →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스파 5]] →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스파 3]] → [[스트리트 파이터 6|스파 6]]의 순서지만, 스토리가 있는 작품들은 그 작품 안에서 한 스토리가 끝나기 때문에 캐릭터나 배경 설정의 타임라인 정도로 체크하면 좋다.[* 덧붙여서 [[http://www.fightingstreet.com/folders/variousinfofolder/variousinfopage.html|이곳에 가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각 캐릭터들이 무엇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예컨대 [[에드먼드 혼다]]의 카푸콘유(加富根湯) 목욕탕 스테이지 및 [[사가트]]의 태국 [[아유타야]] 유적지 와불상 앞 스테이지의 시리즈별 변천사 및 이스터에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일부 링크는 비어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샤돌루]]는 스파 5에서 괴멸했기 때문에 스파 3에서 나오지 않는 식. 단,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의 경우 세계관의 타임라인대의 영향을 받지 않는 [[평행세계]]로 취급하는 편이지만, 실은 등장한 캐릭터와 일부 설정 등이 취사 선택되어 속편에 쓰였다.[* 정확히 말하자면 스파 제로 시리즈 간의 관계는 완전한 속편이 아니라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를 다듬어서 낸 것이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인지라 스토리를 재정비했을 뿐이고,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는 [[샤돌루]] 괴멸이라는 IF 스토리라서 정사가 아닐 뿐이지 일단은 같은 세계관에서 스토리가 진행된 것이라 결국 같은 세계관의 영향권 안에 있는 셈이다. 원래부터 각 캐릭터의 엔딩이 모두 정사는 아니다. 오히려 [[대전 격투 게임]]에서는 전원이 우승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 캐릭터의 엔딩만 정사가 되어 속편에 영향을 준다.] 캐릭터들의 나이를 이용해 작품 간 연도를 따져보자면 [[스트리트 파이터|스파 1]]에서 2년 후가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스파 제로]], 스파 제로에서 1년 후가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스파 제로 2]], 스파 제로 2에서 1년 후가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스파 2]], 스파 2에서 4년 후가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스파 4]], 스파 4에서 3~5년 후가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스파 3]],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스파 5]]는 정확히 명시되지 않은 스파 4와 스파 3의 사이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서는 캐릭터들의 프로필에 나이가 기재되기 않고 [[스트리트 파이터 2]] 이후에 나온 캐릭터는 생년 설정이 있으나 고령화 문제로 생년설정이 거의 폐지된 것이나 마찬가지라서 역산을 할 수가 없다. 특히 [[스트리트 파이터 5]]의 경우 공개된 정보조차 없어서 어느 시대인지 알 수 없다.] [[스트리트 파이터 6]]는 2022년 6월 7일 공식 트위터 등을 통해 스파 3 이후의 시점, 즉 현시점에서 가장 미래라는 것이 밝혀졌다.[[https://twitter.com/StreetFighterJA/status/1533826296983146497|#]] 시리즈가 이어지면서 다른 게임과의 연결 고리도 생겼는데, 특히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와 [[머슬 보머]] 시리즈가 매우 연관이 깊다. 특히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의 경우 속편이 안 나오는데 캐릭터는 플레이어블로 출연 중이라 거의 편입 수준. 또한 [[캡틴 코만도]]에 나오는 닌자 코만도 [[쇼(캡틴 코만도)|쇼]]는 파이널 파이트의 [[무신류#s-2]] 닌자 [[가이(캡콤)|가이]]의 후손이라는 언급이 나온다. 가이의 스승 [[제쿠]]는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 [[히류(캐릭터)|스트라이더 히류]]와 비슷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스트라이더 히류]]와도 연결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사립 저스티스 학원]] 시리즈 역시 스트리트 파이터의 캐릭터가 등장하거나 언급되어 연결 고리가 생겼다. [[캡콤]] 게임들끼리 통합되어 세계관이 확장되었다는 인식도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제작사측은 '연결되어 있다' 정도의 언급만 있기 때문에 [[아메리칸 코믹스]]처럼 [[평행세계]]일 가능성도 있다.[* 같은 인물이 각각 다른 게임에 출연하거나 언급되었을 때, 보통은 팬서비스 차원에서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스토리상 깊게 다뤄지거나 하면 세계관을 공유할 것이라는 상상도 하게 된다. 다만 제작사에서 확실한 언급이 없다면 일단은 평행세계의 인물을 데려왔다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유저 입장에서는 거의 같은 인물이지만 해당 세계에서 발생한 사건이나 연표가 완전히 겹치거나 완벽히 동일한 인물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 2017년에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https://game.capcom.com/cfn/sfv/vote?lang=ja|2017년 10월 23일 ~ 2017년 11월 5일에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0주년 기념 캐릭터 인기 투표]]를 실시했다. 여기에는 메인 시리즈 외에 [[스트리트 파이터 2010]], [[스트리트 파이터 더 무비]],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의 캐릭터들도 포함됐다. 2022년 1월 10일 공식 트위터 등을 통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5주년 기념 로고를 공개했다.[[https://twitter.com/StreetFighterJA/status/1480343381297430531|#]] 2023년 1월 29일 [[시부야 공회당|LINE CUBE SHIBUYA]]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5주년 기념 라이브를 진행했다. 스파 시리즈 35주년 오리지널 밴드와 캡콤 사운드 팀 밴드 [[https://twitter.com/CAPCOM_CAPJAMS|캡튠(カプチューン/CAP-JAMS)]]가 연주했고, 2020년 9월 11일 캡콤과의 콜라보로 [[스트리트 파이터 2]] [[https://www.youtube.com/watch?v=x3do408B48Q|콜라보 무관객 라이브 콘서트]]를 진행했던 신스팝 듀오 더 리썰 웨폰즈(ザ・リーサルウェポンズ)가 특별 게스트로 출연해서 [[켄 마스터즈]]의 스파 2 시리즈 테마곡에 가사를 붙이고 캡튠이 피처링으로 참여한[* 원래 인디 시절에는 음원 [[샘플링]]만 하고 단독으로 제작했던 곡이지만 인기가 생기고 메이저 데뷔 후 정식 앨범에 넣으면서 [[캡콤]]과 콜라보로 리메이크 했다.] [[https://youtu.be/Ax746901dUs|승룡권이 안 나가(昇龍拳が出ない)]]를 불렀다. 스페셜 토크 게스트로 [[파이널 파이트]]의 일부 곡을 담당했고, [[사가트]] 스테이지와 시스템 BGM을 제외한 스파 2의 전곡을 담당했던 [[작곡가]] [[시모무라 요코]]가 출연했다.[[https://www.promax.co.jp/sf35thlive/|#]] == 시리즈 일람 == === 메인 시리즈 ===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명칭은 일본어 / 수출판. * [[스트리트 파이터]] * [[스트리트 파이터 2]]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터보]]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 *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2]]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2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s-3.1|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알파]]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대쉬 /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2 골드[* 유럽판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2 대쉬] *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NAOMI|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어퍼]]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더블 어퍼]] /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 맥스 * [[스트리트 파이터 3]] *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 *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 * [[스트리트 파이터 4]]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아케이드 에디션]]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 [[스트리트 파이터 5]] * [[스트리트 파이터 5 아케이드 에디션]] *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 * [[스트리트 파이터 6]] === [[합본|합본판]]/[[패키지 게임|모음집]] === * [[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플러스|스트리트 파이터 II 대쉬 플러스]] * [[스트리트 파이터 콜렉션]] * [[스트리트 파이터 콜렉션 2]] * [[스트리트 파이터 3 더블 임팩트|스트리트 파이터 III 더블 임팩트]] * [[스트리트 파이터 애니버서리 콜렉션]]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파이터즈 제너레이션]] * [[스트리트 파이터 25th 애니버서리 콜렉션]] * [[스트리트 파이터 30th 애니버서리 콜렉션]][* 30주년에 해당하는 '''2017년'''이 아닌 그 다음해인 '''2018년'''에 출시됐다.] === 외전작/타사 제작 시리즈 === 시리즈 인기가 높아서 상당히 많은 편이다. * [[스트리트 파이터 더 무비]] * [[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 *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 스팀에서는 [[파이팅 EX 레이어]]까지 합쳐 이들을 'EX 시리즈'로 구분하고 있으나 파이팅 EX 레이어는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로는 취급되지 않는다. 스파 EX에서 [[아리카]] 오리지널 요소만 잘라서 단독 작품으로 만든 것이기에 오히려 [[파이팅 레이어]] 시리즈에 해당된다.] ([[아리카]] 제작) * [[스트리트 파이터 EX]] * [[스트리트 파이터 EX 2]] * [[스트리트 파이터 EX 3]] * 스트리트 파이터 온라인 마우스 제네레이션 * 스트리트 파이터 배틀 콤비네이션(Mobile, iOS) * 스트리트 파이터: 퍼즐 스피리츠(Mobile, iOS) * [[스트리트 파이터 4 아레나]] * 스트리트 파이터: 듀얼(Mobile, iOS) * 스트리트 파이터 VR - 샤돌루 강화계획 -([[https://twitter.com/Capcom_amuse/status/1626400158148861954|#]]) === 크로스오버 시리즈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캐릭터가 참전한 [[대전 격투 게임]]만 서술한다. 단, [[스트리트 파이터 X 메가맨]]처럼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가 직접 개입한 경우는 예외. ==== [[SNK]] ==== * [[CAPCOM VS SNK]] * [[CAPCOM VS SNK 2]] *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 [[SNK]] 제작] * [[SNK VS CAPCOM SVC CHAOS]][* [[SNK]] 제작] ==== [[마블 코믹스]] ==== * [[엑스맨: 칠드런 오브 디 아톰]][* [[고우키]] 참전] * [[X-MEN VS 스트리트 파이터]] *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 [[마블 VS 캡콤]] * [[마블 VS 캡콤 2]] * [[마블 VS 캡콤 3]] * [[얼티밋 마블 VS 캡콤 3]] *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 [[타츠노코]] ==== * [[타츠노코 VS 캡콤]] * 타츠노코 VS 캡콤 얼티밋 올스타즈 ==== [[반다이 남코]] ==== * [[남코X캡콤]] *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고우키]] 참전] ==== [[닌텐도]] ====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 DLC 캐릭터로 [[류(캡콤)|류]] 참전]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류(캡콤)|류]] 재참전/[[켄 마스터즈|켄]] 참전] ==== 자사 콜라보레이션 ==== * [[스트리트 파이터 X 메가맨]] ==== nWAY ==== * [[파워레인저: 레거시 워]] - [[https://youtu.be/1v_Gz5rIeRs|류 레인저]] (2018), [[https://youtu.be/HAMn7WIZs3g|춘리 레인저]](2019), 그 외 [[류(캡콤)|류]][[https://youtu.be/C4m8v2vcNHE|#]], [[춘리]][[https://youtu.be/-1Yem5PgedE|#]], [[베가(캡콤)|M. 바이슨(독재자)]][[https://youtu.be/NRcP-gI4kA4|#]], [[고우키|아쿠마]][[https://youtu.be/BR80xTSL6Dw|#]], [[가일]][[https://youtu.be/or6P_eksvKQ|#]], [[캐미 화이트]][[https://youtu.be/vLxOAON2dTk|#]] 안타깝게도 아시아 지역에선 판매하지 않는다. --불합리하게 적으로는 만난다.-- * [[파워레인저: Battle for the Grid|파워레인저: 배틀 포 더 그리드]] - [[류(캡콤)|류]]([[https://youtu.be/wbM7p5-cG2k|크림슨 호크 레인저]]) & [[춘리]]([[https://youtu.be/x_tr1M5oNNA|블루 피닉스 레인저]])(2021) [[파일:PR_BFTG×SF.png|width=500]] === 관련 작품 === *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 * [[스트라이더 히류]] * [[캡틴 코만도]] * [[머슬 보머]] / [[슈퍼 머슬 보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 [[2010 스트리트 파이터]] * [[슈퍼 퍼즐 파이터 2 X]] * [[포켓 파이터]] * [[캡콤 파이팅 잼]] * [[TEPPEN]] * ~~[[캡콤 파이팅 올스타즈]]~~(미발매) == 관련 문서 == * [[/등장인물]] * [[/기술]] * [[/성우]] * [[캡콤 프로투어]] * [[슈퍼콤보]]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 [[울트라콤보]] * [[V 시스템]] * [[드라이브 시스템]] * [[샤돌루]] * [[S.I.N.]] * [[사이코 파워]] * [[풍림화산류]] * [[살의의 파동]] * [[대기군인]] * [[파동승룡]] * [[와로스콤보]] * [[무신류]] * [[나이샤르]] ===# 게이머 #=== 개별 문서가 없는 게이머는 [[대전 격투 게임/유명인]] 문서 참고. * 한국 * [[이선우(프로게이머)|인생은 잠입(INFILTRATION)]][* IST와 삼덕사와 협약해서 메이크스틱의 부품 중 하나인 잠입레버의 감수를 맡은 바가 있다.] * [[공형석|벨로렌(Verloren)]][* "기돈맨"으로도 잘 알려진 게이머.] * [[풍림꼬마|풍림꼬마(풍꼬)]] * [[심건|NL(정질)]] * [[잉조씨|SandBag]] * [[XYZZY|XYZZY(식칼)]] * [[김관우(게이머)|M.리자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종목으로 대한민국에 금메달을 안겼다] * 해외 * [[고이치(프로게이머)|고이치]] * [[누키]] * [[너클두]] * [[네모(프로게이머)|네모]] * [[다코우|대입구(다코우)]] * [[마고(프로게이머)|마고]] * [[메나 RD]] * [[모모치(프로게이머)|모모치]] * [[본짱]] * [[사코(프로게이머)|사코]] * [[샤오하이]] * [[스네이크 아이즈#s-4|스네이크 아이즈]] * [[다이고(프로게이머)|우메하라 다이고]] * [[이타바시 장기에프]] * [[저스틴 웡]] * [[카즈노코]] * [[토키도]] * [[펑크(프로게이머)|펑크]] * [[하이타니]] * [[후도(프로게이머)|후도]] * [[MOV(프로게이머)|MOV]] * [[시안(프로게이머)|Xian]] * [[카와노(프로게이머)|카와노]] == 미디어 믹스 == *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 * [[스트리트 파이터(영화)]] * [[스트리트 파이터: 춘리의 전설]] * [[초급학교패왕]] * [[거리의 무법자]] * [[스트리트 파이터 2 V]] * 스트리트 파이터 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미국에서 제작한 26부작 TV 애니메이션.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 및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의 설정이 혼합되어 있다.]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s-5|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더 애니메이션]][* OVA 두편 짜리로 나왔다. 극장판이라고 하면 그 두편을 이어붙인 것.] * [[스트리트 파이터 가두쟁패전]] * [[스트리트 화이터 III]] * [[류 파이널]] * [[힘내라 사쿠라]] * [[스트리트 파이터 트리뷰트]] * [[스트리트 파이터 4]] OVA * 스트리트 파이터 아메리칸 코믹스(UDON COMICS) * [[스트리트 파이터: 전설의 귀환]](Street Fighter: Assassin's Fist) * 이외에는 [[스트리트 파이터 영화/목록]] 참고 === 마개조판 === 정식 이식판이 아닌 불법이식 및 해킹판 등의 게임들로 이쪽의 게임들은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는다. * [[강룡]] * [[마스터 파이터 2]] * [[스트리트 파이터 3 해적판]] * [[CONY 스트리트 파이터 2]] * [[http://youtu.be/U0u507abpVM|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97]] * [[https://youtu.be/ROO1Er67cpg|스트리트 파이터 EX(SNES)]] * [[http://youtu.be/C9fF5t3vWW4|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4(GBC)]] == 일본과 해외에서의 이름 변경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는 캐릭터 이름이 일본 내수판과 해외 수출판의 이름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심지어 [[샤돌루]] 사천왕의 이름 또한 서로 이름이 뒤섞여서. || 캐릭터 || 일본판 || 국제판 || 구분을 위한 별명 || || 샤돌루 총수 || [[베가(캡콤)|베가]](독재자) || M.바이슨 || 독재자(Dictator) || || 스페인 닌자 || [[발로그]](갈퀴) || 베가 || 갈퀴(Claw) || || 흑인 복서 || [[마이크 바이슨|M.바이슨]](복서) || 발로그 || 복서(Boxer) || ...로 각각 변경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스트리트 파이터 2]]가 해외에 출시되던 당시 마이크 바이슨의 이름과 디자인이 실제 인물인 [[마이크 타이슨]]의 초상권을 침범 할 수 있다고 판단한 [[캡콤]] USA가 이름을 바꾸길 원했기 때문인데, 이미 게임에는 캐릭터의 이름이 알파벳 조합이 아닌 완성된 형태의 스프라이트로 포함되어 있어 캐릭터의 이름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 하여 다른 캐릭터와 이름을 바꿔 서로의 스프라이트를 돌려쓰도록 했던 것. 그 외에도 서양 쪽에선 베가가 여성스러운 이름이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Vega는 [[베가|직녀성]]을 가리키는 단어이기 때문. 하지만 이름이 '베가'라는 이유로 바뀐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 Vega는 [[스페인]]에서는 성씨로 쓰이며, [[이탈리아]]에서 남자에게도 붙이는 흔한 이름이기 때문이다. 일설에는 그냥 로컬라이징 중에 데이터가 꼬인 걸 냅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캡콤]]에서도 위의 설로 경위를 밝히고 있으므로 이쪽이 정설. 그래서 현재도 많은 게이머들을 헷갈리게 하는 요소다. 하여튼 서로 바뀐 이름도 각각 나름 어색하지 않았던 것도 어찌보면 대단하다. 요약하면 [[베가(캡콤)|베가(독재자)]]의 일본판 이름은 '베가'이며, 국제판 이름이 'M.바이슨'이다. 영문판에서 '베가'인 갈퀴를 달고 다니는 놈은 [[발로그]]이므로 참고. 해외에서는 'M. 바이슨'의 'M'의 뜻이 'Master' 내지 'Major'(소령)의 약자로 통하고 있다.[* 과거 '마스터 바이슨'이 공식인 것처럼 무차별 수정을 하다 차단을 당한 사례가 있었는데, '마스터 바이슨'은 영문판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스파 제로 3(알파 3)]]의 아케이드 스토리 데모 중 한 번 지나가듯 나온게 전부인 표기로 공식 명칭이 아니다. 무엇보다 원래 이름은 일본판인 베가이므로 [[캡콤]]이 별도로 영문판 이름을 공개하지 않는 한 그냥 M.으로 남을 것이다.] 인물의 성격을 비추어 볼 때 'Mighty', 'Malevolent', 'Merciless' 또는 'Malicious' 등으로도 볼 수 있겠다. 사천왕 이름이 뒤섞여 있는 걸 영미권 유저들도 인지해서 M.바이슨(독재자)을 아예 'Dictator'(독재자)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 일본판 || 국제판 || || [[고우키]] || 아쿠마 || || [[소돔(캡콤)|소돔]] || 카타나 || 같은 변경사례가 있다. 소돔의 경우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에서만 잠시 표기가 바뀌었었고, 고우키의 경우 [[고우키#s-2.1|해당 항목]]을 참조. 전 세계의 팬들 모두에게 혼동을 일으키는 일이긴 하지만, 특히 한국은 90년대 아케이드로 수입되던 기판도 종종 일본판이 섞여 있었고, 일본 잡지를 번역한 게임잡지나 공략집의 영향을 받은 옛 정보들과 주로 정발된 수출판의 이름을 따르는 신규 정보들이 섞여 혼돈의 도가니. 게다가 정발판의 기준도 오락가락이라 그 어느쪽도 대표성을 가진 이름이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 최초로 정식 발매된 PS2판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2]](2003)에서 매뉴얼에서는 이름을 일본판을 기준으로 표기했으나, 정작 게임내에서는 국제판을 기준으로 표기했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와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까지는 매뉴얼에서는 일본판을 기준으로 했지만 게임내에서는 국제판을 기준으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베가(독재자)는 국제판을 따라 M.바이슨(독재자)로 표기되었다. 따라서 스파 5때 까지는 캐릭터 이름을 매뉴얼에서는 일본판, 게임내에서는 국제판을 기준으로 표기하는 등 표기 방침을 완전히 정하지 않았다. [[스트리트 파이터 6]](2023)에서의 [[한주리]] [[https://streetfighter.com/6/ko-kr/character/juri.html|공식 캐릭터 소개문]]과 [[https://youtu.be/z0NOn1EPZ-o|Year 1 캐릭터 공개 트레일러]]에서 이름을 M.바이슨(독재자)이 아닌 베가(독재자)로, 아쿠마가 아닌 [[고우키]]로 표기되었다. 따라서 캡콤 아시아(한국)은 2023년을 기점으로 캐릭터명 표기 방침을 해외판 이름이 기준이 아니라 일본판 이름으로 통일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태까지 이름 표기를 게임 매뉴얼과 게임 내 표기가 계속해서 달랐기 때문에 실제 게임내에서 고우키, 베가(독재자), 발로그(갈퀴), M.바이슨(복서)가 등장해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특이사항 == * [[스트리트 파이터 1]], [[스트리트 파이터 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의 주인공인 [[류(캡콤)|류]]의 존재감이 너무 커서, 이후에 밀어주는 주인공은 [[공기(은어)|공기]]가 된다는 특징이 있다. [[스트리트 파이터 3]]의 [[알렉스(캡콤)|알렉스]],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아벨(캡콤)|아벨]], [[스트리트 파이터 6]]의 [[루크 설리반]] 전부 다 류에게 묻혀 존재감이 하나도 없다. * 2019년 4월 15일 [[유니클로]]와 [[https://twitter.com/Yoshi_OnoChin/status/1105710665749061632?s=19|콜라보]]를 통해 티셔츠가 제작됐다.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의 스프라이트와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일러스트 등이 새겨졌으며 [[https://www.uniqlo.com/jp/store/feature_mb/uq/fe_list/ut/streetfighter/men|각 작품별로 6장씩, 총 12장이 제작됐다.]] 이와는 별개로 [[스트리트 파이터 5 아케이드 에디션]] 시즌 4에서는 파트너 컨텐츠 설정을 켜두면 로딩 화면에서 유니클로 콜라보 특별 일러스트가 임의로 등장한다. * 2010년 이후 주변의 다른 장수 시리즈들이 남성 캐릭터의 웃통, 여성 캐릭터의 복부를 가리거나 하는 식으로 노출도에 대한 미련을 접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경우 거의 바뀌는 부분 없이 그냥 그대로 가는 중. 심지어 스킨으로 입고 있던 웃통을 완전히 벗겨 버리거나, 여캐는 노출도가 더 높은 스킨을 출시하기도 한다.[* 물론 과하다 싶은 것은 바꿨다. 젖꼭지 위치의 하트무늬라던가, 여캐 탱크톱+핫팬츠 도장찍기, [[하이레그]] 의상 등등.] * 전세계급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캡콤]] 게임 시리즈들 중에서 판권 관리를 일본 본사에서 직접 하지 않게 된 시리즈 중 하나였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처음 개발과 관리 주체 모두 일본 본사였지만 모종의 사유로 인해 [[스트리트 파이터 4]]부터 판권 및 관리 모두 캡콤 USA 지사로 넘어가게 되었고[* 당시 캡콤 USA 지사로 넘어간 IP들은 대체적으로 [[대전 격투 게임]]과 [[런앤건#s-3]] 장르가 많았다고 하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와 함께 알려진 타이틀 중 하나가 바로 [[뱀파이어 시리즈]]. 구조 조정을 거치면서 가치가 낮다고 판단한 장르의 관리를 북미 지사에 맡긴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시리즈가 다시 부활하게 된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와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는 판권을 관리하는 북미 지사가 총괄하고 본사가 개발을 주도, 중심적인 개발은 다른 일본 개발업체에 외주를 줘서 진행하는 다소 특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던 중 2022년 3월 발표된 캡콤의 회계년도 결산 발표에서 북미 지사로부터 사업 양도를 받는다는 내용이 발표 되었고, 일본 본사가 양수하는 IP에 관한 공식 코멘트는 없었으나 [[스트리트 파이터 6]] 발표 이후의 카피라이트 표기가 캡콤 일본 본사 단독으로 표기된 것을 통해 스파 6를 기점으로 사실상 일본 본사가 판권을 회수한 상태인 것으로 보여지며 스파 4와 스파 5를 통해 해당 IP의 가능성을 재확인한 일본 본사가 관련 판권들을 직접 관리하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https://automaton-media.com/articles/newsjp/20220512-202148/|#]] == 외부 링크 == * [[https://youtu.be/0-6u-k7DDt8|Street Fighter Arcade History from 1987 to 2010]] * [[https://youtu.be/Pd2BnPI_D0E|STREET FIGHTER OPENING HISTORY 1987-2012]] * [[https://youtu.be/MAQKxTHVBgw|History of : Street Fighter (From 1987 to 2014)]] * [[https://youtu.be/GtPuCpe3LGk|History of Street Fighter (From 1987 to 2016)]] * [[https://youtu.be/l99hbA1MNzY|STREET FIGHTER GAMES (From 1987 to 2016)]] * [[https://youtu.be/bC-zloRFRlE|History of Street Fighter (1987-2017) - Video Game History]] * [[https://youtu.be/O_Xo8Oz93qg|History of Street Fighter (From 1987 to 2017)]] * [[https://youtu.be/3uUNREU-qOc|Street Fighter: Evolution of Game Over (From 1987 to 2018)]] * [[https://youtu.be/M6LiEEhmtCI|Evolution Of Street Fighter All Series Games (1987 - 2019)]] * [[https://youtu.be/bSnt3vu06rs|Evolution of Street Fighter Games 1987-2021]] * [[https://youtu.be/93SwXQrRQ8M|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 進化の軌跡《シリーズ歴代作品ダイジェスト》]] * [[https://youtu.be/6wvEmFlTWJU|THE EVOLUTION OF STREET FIGHTER GAMES (1987 - 2018) ボーナス ステー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베가(캡콤), version=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