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7년 출생]][[분류:보스턴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경제학자]][[분류: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상자]] [[분류:하버드 대학교 출신]][[분류:MIT 대학원 출신]][[분류:시카고 대학교 재직]] ||<-2>
{{{+1 '''스티븐 레빗'''}}}[br]Steven D. Levit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티븐 레빗.jpg|width=100%]]}}} || || '''이름''' ||스티븐 데이비드 레빗 [br]Steven David Levitt||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67년]] [[5월 29일]] ([age(1967-05-29)]세)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 '''학력''' ||[[하버드 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A.]]) (1989년)}}} [br][[MIT]] 대학원 {{{-2 ([[경제학]] / [[Ph.D.]]) (1994년)[* 박사학위 논문: [[https://dspace.mit.edu/handle/1721.1/11964|Four essays in positive political economy(1994) = 실증 정치경제학에 대한 네 가지 시론]]]}}}|| || '''소속'''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지도 교수''' ||James M. Poterba[* 1958년생의 미국 경제학자, 또 다른 박사 지도학생으로 2009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상자인 [[에마뉘엘 사에즈]]가 있다.]|| || '''링크''' ||[[https://pricetheory.uchicago.edu/levit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hABM20X0iZg)] 2003년에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받은 미국의 경제학자. 그의 범죄와 관련된 연구는 괴짜경제학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7년 [[시카고 대학교]]의 조교수로 임용된 후 현재까지도 재직 중. == 연구 == 저서 괴짜경제학(Freakonomics)에서 그의 수많은 연구들이 대중에게 소개되기도 했지만, 그 중에서도 몇가지 주요한 연구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An Economic Analysis of a Drug-Selling Gang's Finances (2000) [br] 여기서 레빗은 갱단과의 오랜 접촉을 통해 갱단 내의 수익분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밝혔다. --괴짜집단인 MIT 출신이라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갱]]'과의 접촉이라는, 경제학계에서는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방법[* 물론 사회과학에서 이런 접근방법은 자주 쓰이지만, 경제학에서는 보통 이렇게 데이터를 수집해서 연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을 통해서 데이터를 구하기 어려운 문제에 일정 부분 답을 제시했다. * The Impact of Legalized Abortion on Crime (2001) [br] 매우 논란이 많고 또 사회적으로 영향을 많이 끼친 논문으로, 레빗은 여기에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고공행진하던 범죄율이 빌 클린턴대 들어서부터 갑자기 줄어든 이유는 치안정책이 아니라, 피임약 보급과 낙태의 합법화로 출산율이 줄어들어서 '원하지 않은 아이'들이 덜 태어났기 때문이다'이라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 아이들은 커서 범죄자가 될 확률이 높은데 그런 집단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전체적 범죄율도 낮아졌다는 것. 여기에 대해서는 --당연하게도-- 반론이 많이 달렸는데, 그 중 Foote와 Goetz의 반론이 주목할만 하다.[* 2005년 [[이코노미스트]]지에 실린 'Oops-nomics'[[http://www.economist.com/node/5246700?story_id=5246700|기사 링크]] 및 'The Impact of Legalized Abortion on Crime: Comment' [[http://www.bostonfed.org/economic/wp/wp2005/wp0515.pdf|논문]](이 논문은 후술할 레빗의 재반론 이후 2008년에 수정되었다.) 그리고 레빗의 재반론인 [[http://pricetheory.uchicago.edu/levitt/Papers/ResponseToFooteGoetz2006.pdf|Measurement Error, Legalized Abortion, the Decline in Crime:A Response to Foote and Goetz (2005)]] 등을 참고.][* 사족이지만 이후 2007년에 범죄 감소와 관련하여 또 다른 논문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휘발유 내의 [[납]] 성분'이 없어진 것이 범죄율 감소에 50% 이상을 기여했으며 낙태 합법화는 레빗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 없는 23% 정도를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한다. 관련 논문은 [[http://www3.amherst.edu/~jwreyes/papers/LeadCrimeBEJEAP.pdf|Environmental Policy as Social Policy? The Impact of Childhood Lead Exposure on Crime]]을 참고.] == 기타 == === 관련 문서 === * [[법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