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로스터)] ---- ||
'''{{{#FFFFFF 스티븐 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좌익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앤드류 베닌텐디]][br]([[캔자스시티 로열스]]) || → || '''스티븐 콴[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2024년 수상자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좌익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 || [[타일러 오닐]][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스티븐 콴[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2023년 수상자 ||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등번호 38번}}}''' || || [[칼 콴트릴]][br](2020) || {{{+1 →}}} || '''{{{#FFFFFF 스티븐 콴[br](2022~)}}}'''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디언스콴.jpg|width=100%]]}}} ||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No.38''' || ||<-2> '''{{{+2 스티븐 콴}}}[br]Steven Kwan''' || || '''본명''' ||스티븐 로버트 콴[br]Steven Robert Kwan || ||<|2> '''출생''' ||[[1997년]] [[9월 5일]] ([age(1997-09-05)]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 가토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워싱턴 고등학교[*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 소재] - [[오리건 주립대학교]] || || '''신체''' ||175cm / 79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3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 '''소속팀'''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2022~)''' || || '''계약''' ||1yr / $727,300 || || '''연봉''' ||2023 / $727,3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2015년 워싱턴 고등학교 3학년 시즌에서 0.462의 고타율을 기록했다. 오리건 주립 대학교로 진학 후 2016년 1학년 시즌에선 35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15를 기록했다. 2017년 2학년 시즌에서 55경기 0.331 1홈런, 18타점, 6 2루타와 8도루를 기록하며 눈길을 끌었고 시즌 후 케이프 코드 야구 리그(CCBL)[*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를 연고로 하는 미 대학 하계 야구 리그 산하의 리그이다. 나무 배트를 사용하는 최고의 대학 하계 리그이며 약 1,000명의 메이저리거를 배출했다.]의 Wareham Gatemen팀 소속으로 대학 하계 야구 리그[* 미국과 캐나다의 아마추어 야구 리그로, 최소 1년 이상 대학을 다니고 최소 1년 이상 운동 자격이 남아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시행된다. 타 대학 리그와 달리 나무 배트만 허용하며 프로 스카우트들이 집중적으로 관찰하기도 한다.]에 참여하였다. 2018년 3학년 시즌에서 66경기 2홈런 41타점 14도루와 함께 .355/.463/.457를 기록했고 팀을 대학 월드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또한 2018년 All-Pac-12 야구 영예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에서 5라운드로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지명되었다.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티콴.jpg|width=100%]]}}} || ==== 마이너리그 시절 ==== 2018년 인디언스 산하 루키 리그의 ACL 인디언스에서 프로 데뷔를 시작으로 루키와 싱글 A 합산 17경기 .346 .469 .442 홈런 없이 5타점을 기록했다. 2019년 로우 싱글 A 소속의 린치버그 힐캐츠에서 123경기 3홈런 39타점과 26 2루타와 함께 .280 .353 .382를 기록했다. 2021 시즌은 더블 A의 애크런 러버덕스에서 시작하여 8월 말에 트리플 A의 콜럼버스 클리퍼스로 승격되었다. 오른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6주간 결장하기도 했다. 더블 A와 트리플 A 합산 77경기 12홈런 44타점과 함께 .328/.407/.527을 기록하였다. 2021년 11월 19일 처음으로 40인 로스터에 등록되었다. ==== 2022 시즌 ==== 4월 2일 개막전 선발 출장이 예고되었고 4월 7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개막전에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스캇 발로우]]를 상대로 통산 첫 안타까지 만들어내는 등 2타수 1안타 2볼넷을 기록했다. 4월 12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서 싹쓸이 3루타 포함, 3타수 1안타 3타점 2볼넷을 기록했다. 이날까지 타율 0.692 9안타 6득점 OPS 1.789로 절정의 타격감을 자랑하는 중이다. 특히 눈 야구도 되는 게, 볼넷을 5개를 얻는 동안 삼진은 하나도 당하지 않았다.[* 심지어 헛스윙도 아직 한 번도 없다.] 4월 12일 기준으로 데뷔 첫 4경기에 출장하여 15출루를 한 최초의 메이저리그 선수가 되었다.[* 1920년 이래][* 시즌 전 신인왕 배당이 75-1에 불과했으나 이날 경기 종료 기준, 7-1로 급상승했다.] 4월 13일 1안타 2볼넷을 기록하며 연속 3출루 기록을 5경기로 늘렸다. 여전히 삼진은 0개일 뿐만 아니라 헛스윙도 0개다. 4월 14일 4타수 무안타 1삼진 1볼넷을 기록하면서 시즌 첫 삼진을 기록했고 세번째 타석에서 첫 헛스윙을 기록했다.[* 콴을 상대로 117번째 공만에 첫 헛스윙이 나왔다. 이는 2000년 이후 최다 투구수 기록이다.] 이날 경기 이후로 4월이 끝날 때 까지 볼넷 1개만을 얻어내는 데 그쳐 개막 직후만큼의 선구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4월 동안 '''15경기 .354 .459 .500 17안타 9타점''' 기록. 아직 홈런과 도루을 기록하지 못했으나[* 도루자 1개] 준수한 선구안과 타격 능력을 보여준 성공적인 첫 달이었다. 5월 4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전에서 연장 10회말에 [[디넬슨 라멧]]을 상대로 커리어 첫 끝내기 안타를 쳤다. 5월 5일 [[토론토 블루제이스]] 전에서 3회말 [[호세 베리오스]]를 상대로 동점 투런 홈런을 치며 커리어 첫 홈런을 쳤다. 팀도 6대 5로 승리했다. 5월 10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하며 시즌 3할 타율이 무너졌다. 이를 회복하지 못한 채 부진한 타격을 보이며 5월의 나머지를 보냈다. 5월 30일까지의 시즌 기록은 .244 .349 .350 1홈런 1도루로 4월에 보여줬던 센세이셔널한 모습은 전혀 나오지 않았고 메이저의 높은 벽을 체감했다 볼 수 있다. 특히 5월 동안 '''75타수 13안타 .173 .271 .253 1홈런 1도루 6타점 9볼넷 6삼진'''으로 4월에 비해 매우 부진한 한 달을 보냈다. 여전히 삼진은 적게 당하는 등 선구안 면에선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컨택이 부진하고[* 5월 동안 멀티 히트를 기록한 경기가 하나에 불과했다.] 파워 면에선 전혀 위협이 되지않는 똑딱이가 되었다.[* 5월 한 달 간 2루타와 3루타가 각각 1개씩에 불과하다.] 그런데 6월에는 85타수 29안타 .341 .412 .388로 크게 반등하였다. 2루타 2개, 3루타 1개, 홈런 0개로 똑딱이인 것은 여전하지만 컨택이 돌아왔다. 후반기에는 3할 타율과 0.800이 넘는 OPS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데뷔 시즌을 보냈다. 여전히 장타력은 기대 이하지만 뛰어난 수비, 주루 덕에 [[베이스볼 레퍼런스]] 기준 WAR가 5.0을 넘겼다. 뉴욕 양키스와의 [[202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모든 경기에서 최소 1개의 안타씩을 때려내며 미친 타격감, 주루센스와 호수비로 네일러와 팀을 하드캐리했으나...팀은 탈락했다. ==== 2023 시즌 ==== 작년보다 타격 성적은 전체적으로 하락했지만 더 많은 경기에 주전 좌익수로 출전하며 클리블랜드의 외야를 지켰다. == 플레이 스타일 == 175cm라는 작은 체격을 가졌지만 컨택 능력이 뛰어나고, 타석에서의 집중력이 좋아 출루능력이 뛰어난 선수. 다만 파워가 약해 타구속도가 느리고 공을 띄우는 능력이 평범하여 순장타율은 낮다. 주력이 특출나지는 않지만 주루 센스가 뛰어나 [[테이블 세터]]에 적합한 스타일. 수비력은 중견수로서는 그저 그렇지만 코너 외야수로서는 매우 뛰어나다.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좌익수 [[골드 글러브]] 2회 (2022, 2023)'''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스티븐 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147 || 638 || 168 || 25 || 7 || 6 || 89 || 52 || 19 || 62 || 60 || .298 || .373 || .400 || .772 || 4.5 || 5.5 || || 2023 || 158 || 718 || 171 || 36 || 7 || 5 || 93 || 54 || 21 || 70 || 75 || .268 || .340 || .370 || .710 || 2.9 || 3.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305 || 1356 || 339 || 61 || 14 || 11 || 182 || 106 || 40 || 132 || 135 || .282 || .356 || .384 || .739 || 7.4 || 9.1 || == 여담 == * [[https://www.news5cleveland.com/news/local-news/cleveland-metro/guardians-steven-kwan-yu-chang-dive-into-culture-at-cleveland-asian-festival|아버지가 중국계 미국인이고 어머니가 일본계 미국인인 것으로 알려져]] WBC에서는 중국, 일본, 미국 대표팀 중 선택이 가능해서인지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일본 대표팀 합류를 위해 [[오타니 쇼헤이]]가 한 번 설득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모가 아니라 친조부모와 외조부모가 각각 중국과 일본 국적이며 WBC 참가 규정에는 조부모의 국적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초대 대회인 2006년 대회에만 적용하고 삭제했다.] 참가가 어렵다는 전망이 나왔다.[* 콴 같은 경우에는 조부모가 이민을 와서 부모가 태어난 이민 3세대라 부모와 본인 모두 미국 단일 국적자다.] 결국, 일본 대표팀에 들지 못했다. 이에 콴 역시 "정말 실망스럽다"고 언급하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 2022년 4월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의 동점 2루타 타구를 잡으려다 펜스에 부딪히며 실패했는데 이때 외야의 팬들이 그를 향해 조롱 발언을 하며 클리블랜드 외야수들과 시비가 붙었다. * 2022년 필딩 바이블 어워즈 좌익수 부분을 수상하였다. 22년도 수상자 중 유일하게 만장일치 수상자이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산타클라라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오리건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좌투좌타]][[분류:외야수]][[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현역]][[분류:중국계 미국인]][[분류:일본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