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b7b7 , #b7b7b7)" {{{#fff ''' 스티비 닉스의 관련 둘러보기 틀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플리트우드 맥)]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b7b7 , #b7b7b7)" {{{#fff ''' 스티비 닉스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d700 이름}}}''' || '''{{{#ffd700 스티비 닉스[br] STEVIE NICKS}}}''' ||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 '''{{{#ffd700 멤버}}}''' || {{{#ffd700 (개인자격)}}}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2019년}}}''' || || '''{{{#ffd700 후보자격 연도}}}''' || '''{{{#ffd700 2007년}}}''' || || '''{{{#ffd700 후보선정 연도}}}''' || '''{{{#ffd700 2019년}}}''' ||}}}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여성 아티스트(싱글) (2018년))] ---- }}} || ---- [include(틀:Reprise Records)] ---- }}} || ||<-2> [[파일:스티비 닉스 로고.webp|width=200]]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티비 닉스 2021.jpg|width=100%]]}}}|| || '''본명''' ||Stephanie Lynn Nicks[br]{{{-1 스테퍼니 린 닉스}}}||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2> '''출생''' ||[[1948년]] [[5월 26일]] {{{-1 ([age(1948-05-26)]세)}}} || ||[[미국]] [[애리조나|애리조나 주]] [[피닉스(도시)|피닉스]]|| || '''거주''' ||[[미국]]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직업'''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 '''소속''' ||[[플리트우드 맥]]|| || '''신체''' ||156cm|| || '''재산''' ||$75 million (약 867억 원)|| || '''장르''' ||[[록 음악]], [[소프트 록]], [[대중음악|팝]], [[팝 록]]|| || '''악기''' ||[[보컬]], [[피아노]], [[기타]]||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Atlantic]][br]Modern[br]Reprise[br]WEA[br]Warner Bros.|| || '''활동''' ||[[1966년|1966년 –]] [[현재]]||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스티비 닉스 서명.png|width=150]]}}}|| || '''링크''' ||[[https://www.stevienicksofficial.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stevienick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ko-kr.facebook.com/stevienick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tevienicks?lang=ko, 크기=20)] [[https://youtube.com/stevienick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티비 닉스 01.jpg|height=38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티비 닉스 02.jpg|height=380]]}}} || ||<-2> '''전성기 시절 사진 (1970년대)''' || [[미국]]의 음악가. 미국과 [[영국]]의 전설적인 록밴드 [[플리트우드 맥]]의 보컬리스트로 유명하다. 보컬 외에도 [[탬버린]] 같은 [[타악기]]를 연주한다. 다른 멤버들처럼 연주는 하지 않았지만 [[작곡]]과 [[가창력]] 및 무대 매너를 무기로 한 밴드의 음악적 주축이었으며,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그레이스 슬릭과 더불어 [[록 음악]] 계의 [[요정]]이라고 불리웠을 정도의 화려한 미모까지 갖춘 [[비주얼]] 담당으로 밴드 내에서 큰 역할을 맡은 [[미녀]] 멤버. 멤버들 중에는 가장 대중적으로 먹힐 만한 코드를 많이 갖고 있었고, 덕분에 밴드의 인기 상승에 큰 역할을 했음은 물론 솔로 활동도 다른 멤버들보다 훨씬 많은 인기를 얻었다. 스티비 닉스는 솔로로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했으며 이는 여성 최초 이중 헌액이다. 연사는 [[해리 스타일스]]가 맡았다. 그는 스티비 닉스의 엄청난 팬이며 그녀 또한 해리를 아들처럼 여기며 종종 음악적 교류를 하고 있다. 드라마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의 시즌3 에서 본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을 하기도 했다. 여기선 심지어 얼마남지 않은 미국 출신 마녀 집회의 일원인 것으로 나온다. 상당한 동안이며 전성기 시절과 목소리가 거의 같다고 보아도 될 정도로 목소리가 변하지 않았다. 전성기인 1970년대와 거의 비슷한 목소리이다. [[https://blog.naver.com/rnfmadlxhdxh/220155687823|Edge of Seventeen 번역]] 린지 버킹햄과의 질긴 악연이 유명하다. 본디 둘은 고교 시절 만나 연인으로 발전했으나 파경에 이르렀고 [[Rumours]] 녹음 당시 그 갈등이 곡으로 표출될 정도였다. 시간이 지나 잠잠해지나 싶었는데 2018년 버킹햄이 수상 도중 자신을 비웃었다는 이유로 사이가 다시 급속히 나빠져 결국 버킹햄이 밴드에서 쫓겨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분류:플리트우드 맥]][[분류:1948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미국 여가수]][[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미국의 프론트맨]][[분류:피닉스(애리조나) 출신 인물]][[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영국계 미국인]][[분류:웨일스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