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ieftain_Tank_%289628802829%29.jpg|width=100%]] || || 스틸브루 패키지가 적용된 치프틴 Mk.11 || [목차] == 개요 == '''Stillbrew armour''' 198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장갑(무기)|장갑]]. 기본 장갑 위에 추가되는 [[증가장갑]]이자 일종의 [[반응장갑|NERA]] 구조를 가진 [[복합장갑]]이다. 정확한 영어 명칭은 Stillbrew Crew Protection Package (SCPP)이다. == 상세 == 영국에서 개발된 [[치프틴 전차]]는 1960년대 기준으로 최강의 방어력을 자랑하는 서방권 전차였고, 그만큼 포탑의 장갑도 두꺼워서 소련제 [[T-54]]나 [[T-55]]의 공격을 전면에서 막아낼 수 있었다. 1973년에 일어난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군]]의 [[센추리온 전차]]들은 성형작약탄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때부터 영국군은 이스라엘군의 보고들을 살펴보았고, 영국의 군사 연구소에서는 더 효과적으로 성형작약탄을 방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에 일어난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군]]의 [[치프틴 전차]]가 [[이라크군]]의 [[T-62]]를 상대하면서 T-62의 [[115mm]] 구경 [[2A20]] 활강포에서 발사된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이 치프틴의 두꺼운 포탑 전면을 간단하게 관통해버린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영국군도 실험을 통해 치프틴의 전면 장갑이 소련제 115mm [[활강포]]에서 발사된 날탄에 관통당하는 것을 보고 T-62의 활강포가 위협적인 동시에 치프틴이 방어력에 대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소련군의 활강포와 날탄 도입으로 치프틴의 방어력이 위협을 받자, 영국군은 이를 대처하기 위해 중동전쟁과 이란-이라크 전쟁의 결과들을 분석하고 속도를 내서 스틸브루라는 [[증가장갑]]을 개발하고 도입하기 시작했고, [[T-62]]와 [[T-72]]의 활강포에서 발사되는 날탄과 [[대전차고폭탄]]에 대한 방어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 구조 == 원래 장갑 위에 [[증가장갑]] 형식으로 추가된다. 소련제 BDD장갑 패키지와 비슷하게 [[주조장갑]]과 [[고무]] 복합재를 사용하여 총 6장의 강철 장갑판 사이에 고무가 끼워진 구조로 설계되었다. 당연히 그냥 고무가 아니라 특수 고무가 쓰이며, 날탄은 강판 자체의 강성으로 막고 성형작약탄은 고무의 팽창으로 막는다. 다만 [[날탄]]같은 [[운동 에너지탄]]보다는 [[RPG-7]]이나 [[9K11 말륫카]]같은 [[대전차 로켓]]이나 [[대전차미사일]]에서 발사되는 [[대전차고폭탄]]과 같은 [[화학 에너지탄]]을 상대로 더 강력한 방호력을 제공한다. 스틸브루는 치프틴 전차 후기형 차량들의 포탑에 추가되었으며, 장갑 모듈이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볼트]]로 고정된 다음에, 마지막으로 겉에 철판을 용접하여 볼트 사이를 비롯한 틈을 메워서 방수와 NBC 방호 처리를 하였다. 이후 실험에서 스틸브루 장갑이 구형 철갑탄과 [[대전차고폭탄]]을 상대로는 훌륭한 방어력을 제공했지만 [[T-72]]의 신형 125mm 날탄을 상대로는 여전히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125mm 날탄을 상대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께를 30% 더 늘려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는 영국군이 더 강한 복합장갑인 [[초밤장갑]]을 장착한 [[챌린저 1]]을 도입하면서 스틸브루 아머는 치프틴 전차에 장착되는 것을 끝으로 개발이 중단되었고, 이후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분류:장갑(무기)]][[분류:영국의 발명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