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튜너]] [[유희왕]]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4>'''스팀 싱크론'''|| || 일어판 명칭 ||<-4>'''スチーム・シンクロン'''|| || 영어판 명칭 ||<-4>'''Steam Synchron'''|| ||<-5>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기계족]] || 600 || 800 || ||<-5>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때 패에서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할 경우 상대 턴에도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아크 크레이들 편|아크 크레이들 편]] 149화에서 [[후도 유세이]]가 [[Z-one]]과의 듀얼 중 사용. Z-one의 턴에 함정 카드 역전의 명찰의 효과로 드로우한 후 [[워리어(유희왕)#스카우팅 워리어|스카우팅 워리어]]가 특수 소환되면서 효과로 자신도 뒤이어 특수 소환되었다. 이후 함께 [[고대 요정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전용 싱크로 몬스터가 없는 싱크론이며, 특이하게도 물 속성 기계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증기 기관차가 내뿜는 증기로 그 속성을 잡은 듯하다. 싱크로 튜너도 아닌 주제에 왠지 모르게 [[액셀 싱크로 소환]]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그 이유는 애니메이션에서의 액셀 싱크로가 상대 턴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슈팅 스타 드래곤]]을 포함한 액셀 싱크로 몬스터가 그 효과를 내장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이 OCG화되면서 싱크로 튜너에게 그 효과가 주어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튜너'는 5D's에서 이 녀석이 최초이자 유일한 튜너다. OCG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추정되었으나 듀얼리스트 에디션 4에서 추가 카드로 수록 확정. === [[유희왕/OCG|OCG]] === [[파일:スチーム・シンク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스팀 싱크론, 일어판 명칭=スチーム・シンクロン, 영어판 명칭=Steam Synchron, 레벨=3, 속성=물, 종족=기계족, 공격력=600, 수비력=800, 효과1=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싱크로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한다.)] [[액셀 싱크로 소환|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할 수 있는 [[유발즉시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효과 몬스터. OCG화되면서 원작의 특수 소환 효과는 삭제되었다. 물 속성 관련 서포트를 받을 수 있고, 공격력 부분에서도 [[회색곰 마더]]로 필드에 불러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엔 배틀 페이즈에 내놓게 된 것이므로 특징인 액셀 싱크로를 실행하기엔 애매하다. 또한, [[리미트 리버스]]로도 불러올 수 있다. 문제는 한 턴만에 싱크로 몬스터를 마구잡이로 뽑아낼 수 있는 요즘 환경과, 다른 싱크론 몬스터를 쓰면 자신 턴에 빠른 싱크로를 부를 수 있는 마당에 덱에 넣기가 조금은 망설여지는 카드이기도 하다. 그나마 활용해본다면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계열의 카드로 상대 턴에 특수 소환해서 [[수신 발칸]]으로 재활용 + 상대 턴 견제하는 정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싱크론, version=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