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스터)] ---- ||
'''{{{#ffffff 스펜서 스트라이더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카일 라이트]][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스펜서 스트라이더[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2024년 수상자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탈삼진왕}}}''' || || [[코빈 번스]][br]([[밀워키 브루어스]]) || → || '''스펜서 스트라이더[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2024년 수상자 ||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65번}}}''' || || [[타이 타이스]][br](2021) || {{{+1 →}}} || '''스펜서 스트라이더[br](2021~2022)''' || {{{+1 →}}} || [[대니 영]][br](2023) || ||<-5> '''{{{#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99번}}}''' || || 결번 || {{{+1 →}}} || '''스펜서 스트라이더[br](2023~)'''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트라이더브레.jpg|width=100%]]}}} || ||<-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99''' || ||<-2> '''{{{+2 스펜서 스트라이더}}}[br]Spencer Strider''' || || '''본명''' ||스펜서 로버트 스트라이더[br]Spencer Robert Strider || ||<|2> '''출생''' ||[[1998년]] [[10월 28일]] ([age(1998-10-28)]세) ||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콜럼버스(도시)|콜럼버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녹스빌 크리스찬 아카데미 - [[클렘슨 대학교]] || || '''신체''' ||183cm / 88kg || || '''포지션''' ||[[선발 투수]][* 데뷔 당시엔 [[중간 계투]]였지만 2022년에 선발로 전향했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35라운드 (전체 1062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br][[2020 MLB 신인드래프트|2020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26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 '''소속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1~)''' || || '''계약''' ||2023 - 2028 / $75,000,000[*option club option $22,000,000 for 2029 with buyout $5,000,000] || || '''연봉''' ||2023 / $1,000,000 || || '''등장곡''' ||Bring It On Home - [[Led Zeppelin]] || || '''종교''' ||[[기독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 우완 [[선발 투수]]. ==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선수 경력]] == ||
<-4> '''통합 선수 경력: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 || ||<-4>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s-3.1|'''{{{#FFFFFF 2021년}}}''']] ||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s-3.2|'''{{{#FFFFFF 2022년}}}''']] ||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s-3.3|'''{{{#FFFFFF 2023년}}}''']] || [[스펜서 스트라이더/선수 경력#s-3.4|'''{{{#FFFFFF 2024년}}}''']] || == 피칭 스타일 == 평균 97~8마일, 최고 103마일의 포심 패스트볼[* 계약 당시만 해도 평속 95마일, 최고 99마일이었다. 하지만 마이너에서 구속을 끌어올렸다.]을 주무기로 그 외에 평균 86마일의 슬라이더와 89마일의 체인지업을 구사하는 우완 강속구 투수로 뛰어난 탈삼진 능력을 갖추고 있다. 포심 패스트볼 비중이 60% 이상으로 높은 편이고 구위도 상당한데 헛스윙률 31.9% 삼진율 36.4% 등 모든 지표에서 리그 탑급에 속한다. 익스텐션이 6.9피트로 상당히 넓은 편이며 6피트인 키의 86%에 해당된다. 평균적으로는 키의 70% 정도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체감 구속에서 다른 투수들에 비해 크게 이득을 볼 수 있다. 또한 익스텐션이 넓어지면서 발생하는 단점인 릴리즈포인트가 낮아지는 문제는 오히려 역으로 하이패스트볼을 구사함으로써 라이징패스트볼의 효과를 발생시켜 극복하였다. 제구력의 경우 엄청나게 뛰어난 편은 아니지만 주무기인 패스트볼을 적극적으로 존 안으로 집어넣어 볼넷을 억제하고 슬라이더[* 우타자 기준 바깥쪽 낮은 코스]와 체인지업[* 우타자 기준 몸쪽 낮은 코스]을 던지는 위치가 철저히 구분되어 있다. 다만 불안 요소가 있는데, 토미 존 수술 전력과 투수치고 작은 키. 183cm인 스트라이더의 키는 메이저리그 선발 투수치고는 매우 작은 편이고[* 일반인 중에서는 나름 장신이라고 할 수 있지만 투수의 경우 체구가 중요한 특성 상 피지컬적으로 매우 불리하다고 볼 수 있다.] 구속이 선발 투수치고는 너무 빠른 수준인지라 부상 위험이 매우 크고, 많은 이닝이팅은 사람들이 기대하지 않는 중인지라[* 물론 [[샌디 알칸타라]], [[저스틴 벌랜더]], [[랜디 존슨]], [[놀란 라이언]] 등 구속이 빨라도 이닝을 잘 먹는 사례는 일부 있지만 이들은 스트라이더보다 체격이 훨씬 더 크다.] 사실상 [[제이콥 디그롬]]과 비슷한 방식으로 운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마저도 디그롬은 키가 193cm로 메이저리그 선발투수 평균신장이다. 그러나 체중은 키에 비해서도 그리 많이 나가지 않는 스트라이더보다도 더 가볍다.] 또한 직구가 60% 슬라이더가 35% 체인지업이 5%로 사실상 투피치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밋밋하거나 몰려 실투로 이어지는 경우 쉽게 무너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나 이런 스타일은 포스트시즌 등의 단기전에서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는 중이다. == 수상 내역 == ||
'''{{{#FFFFFF 수상 내역}}}'''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다승 1위 (2023)'''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탈삼진 1위 (2023)''' || == 여담 == * [[프링글스]] 마스코트같은 [[콧수염]]이 트레이드마크인 선수로, 데뷔 초반부터 인상적인 성적을 보여주자 팬들이 따라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수염은 무려 고교야구 시절 팀원의 단합을 위해 다같이 기르기 시작한 것인데 대학에서는 물론 프로에서도 유지하고 있다. * 채식주의자인데, 그 중에서도 [[비건]]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고혈압 등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라며 채식 식단을 고수하는데, 1년 동안 어마어마한 이동거리를 부담하며 풀타임 기준 30경기를 넘게 등판해야 하는 살인적인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게 빅리그 선발 투수인 만큼 걱정의 목소리도 있으나 현재까지는 문제가 없어보이며, 후술되어있듯이 연어 한 마리씩을 주말마다 먹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채식주의자로 본인의 아침 식단도 공개되었는데, 베리, 그래놀라, 코코넛, 요거트, 과일 등으로 담겨진 한 사발과, 아보카도에 크림과 같이 담겨진 토스트 샌드위치를 먹는다고 한다. 다만 [[비건]]임에도 특이하게도 아예 야채와 과일만 먹는 건 아닌데, 주말에는 근력 보강을 위해 연어 한 마리씩을 먹는다고 한다. 위에 설명이 되어있듯 본인의 신념때문에 채식을 하는 것이 아닌 건강 관리를 위해 채식을 선택했다. * AOC, 민주당원인 뉴욕 15구 하원의원을 팔로우하는 것으로 보아 정치성향은 진보인 듯하다. * 과거 사진을 보았을 때 부모의 영향을 받아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팬이었으며, 그의 번호 99번도 영화 [[메이저 리그(영화)|메이저 리그]]에서 [[찰리 신]]이 99번을 단 것을 보고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 == 둘러보기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7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마이클 해리스 2세]][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스펜서 스트라이더[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마이클 해리스 2세]][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콜럼버스(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클렘슨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현역]][[분류:이탈리아계 미국인]][[분류:미국의 기독교 신자]][[분류:MLB 다승왕]][[분류:MLB 탈삼진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