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식물족]]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RegeneratingRose-JP-Anime-GX-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플릿 데먼 로즈, 일어판명칭=スプリット・D(デモン)・ローズ, 영어판명칭=Regenerating Rose, 레벨=7,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0, 수비력=1500, 효과1=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의 공격 표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은 데미지 계산시에만 그 몬스터의 공격력과 같아진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 위에 "데먼 로즈 토큰(식물족 / 어둠 / 레벨 3 / 공 1200 / 수 1200)"을 2장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53화에서 [[유벨]]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데먼 발삼 시드]]로 불러낸 토큰 2장으로 어드밴스 소환했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을 공격하려 했으나, 쥬다이가 [[융합 해제]]를 발동해 공격 표시의 프레임 윙맨을 치워버린 바람에 그대로 턴 종료. 다음 턴에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의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스파크 건|스파크 건]]에 의해 수비 표시가 되고 전투 파괴되었으며, 스플릿 데먼 로즈가 불러낸 데먼 로즈 토큰 2장은 유벨 본인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됐다. 여기선 상대의 공격 표시 몬스터와 전투할 때 데미지 스텝시에만 그 몬스터와 공격력이 같아지는 효과도 있었다. 이대로 나왔으면 상대의 강력한 몬스터와 동귀어진하면서 토큰 2장으로 후속타를 날릴 수 있는 유용한 카드가 됐을 것이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RegeneratingRose-PTDN-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플릿 데먼 로즈, 일어판명칭=スプリット・D(デモン)・ローズ, 영어판명칭=Regenerating Rose, 레벨=7,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 위에 "데몬 로즈 토큰"(식물족/어둠 속성/레벨 3/공격력 1200/수비력 1200)을 2장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전투 파괴시 토큰을 남기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최상급 몬스터면서 공격력이 0밖에 되지 않는다. 대신 덕분에 [[론 파이어 블로섬]] 뿐만 아니라 속성도 공유하는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로도 리크루트가 가능하며, 자폭특공이나 [[강제전이]] 등 컨트롤 변경을 통해 전투로 파괴한 뒤 토큰을 마련할 수 있다. 효과 면에서는 [[댄디라이언]]의 조정판이라 볼 수도 있다. 범용성은 한참 밀리지만 토큰의 범용성 자체는 이쪽이 더 나은 편이다. 다만 최상급 몬스터라 어드밴스 소환하면 효과 발동해봤자 카드 수는 거기서 거기이므로 다른 카드의 효과로 불러내서 파괴해야 한다. 토큰의 레벨이 3이라 싱크로 소재로 쓰기 쉽지만, 그런 목적이라면 [[극성수#극성수 탕그리스니|극성수 탕그리스니]]로도 충분하다. 이쪽 카드는 토큰의 공격력이 제법 된다는 메리트가 있는데, 공격 표시로도 생성할 수 있어서 만약 직접 공격이 성공한다면 적지만은 않은 데미지도 줄 수 있다. 토큰 생성이 곤란하다면 그냥 각종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재로 써버리는 방법도 있다.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로 소생되어 그대로 [[성태룡]]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할 수도 있고, 같은 식물족 / 어둠 속성인 [[이블 손]],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 등을 전개한 후 [[공진 장치]]를 이용해 랭크 7의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며, [[로즈 파라딘]]으로 빠르게 서치할 수 있으니 [[칠성의 보도]]나 [[어둠의 유혹]]으로 드로우 교환도 가능해진다. [[프레데터 플랜츠#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와 함께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의 융합 소재로 써볼 수도 있다. OCG상으로 식물족 '''최초의''' 최상급 몬스터이기도 하다. 이 카드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소환 제한있는 몬스터조차 최상급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후 [[춘희 티타니얼]]의 등장으로 유일한 식물족 최상급 자리에서는 내려왔다. 이름의 "데먼"은 일본판 원작에선 D로 바뀌어 있었다. 그리고 카드 표기를 보면 '''[[데몬(유희왕)|데몬]](デーモン)'''이 아니라 '''데먼(デモン)'''이다. 이는 이 카드가 불러내는 데먼 로즈 토큰도 마찬가지. 하지만 실물 카드는 대원이 처음에 잘못 번역해서 [[데먼 발삼 시드]]처럼 데'''몬'''으로 나왔다가,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의 발매를 앞두고 겨우 카드명 [[에라타]] 공지만 떴다. 아직 실제로 볼 수 있는 카드는 데'''몬'''이라고 나온 것뿐이니 쓰는 사람들이 알고 있어야 한다. ||수록 시리즈 || ||<(> 2007-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TDN-JP005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2-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TDN-EN005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3-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TDN-KR005 | '''[[환영의 어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데먼 로즈 토큰 === [[파일:RegeneratingRoseToken-MADU-EN-VG-artwork.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토큰=, 일반=, 한글판명칭=데먼 로즈 토큰, 일어판명칭=D(デモン)・ローズトークン, 영어판명칭=Regenerating Rose Token, 레벨=3,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 스플릿 데먼 로즈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 [[토큰(유희왕)|토큰]]. 토큰치고 비교적 능력치가 높은 편으로, 릴리스 요원이나 웬만한 전투에 이용해볼 수도 있다. [[폭주투군]]을 쓰면 공격력이 2200까지 올라가 전력으로 취급해볼 수 있겠다. === [[유벨(유희왕/카드군)#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