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FF0000 20%, #FF0000 80%, #DD0000)" {{{#ffffff '''슬라비사 요카노비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000,#cccccc '''클럽'''}}} || || [[틀:왓포드 FC 감독(1대~50대)|[[파일:왓포드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BEE22; font-size: 0.9em" [[틀:왓포드 FC 감독(1대~50대)|{{{#000000 '''왓포드'''}}}]]}}}[br]{{{-2 39대}}} || [[틀:풀럼 FC 감독|[[파일:풀럼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풀럼 FC 감독|{{{#ffffff '''풀럼'''}}}]]}}}[br]{{{-2 46대}}} || [[틀:셰필드 유나이티드 FC 감독|[[파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bb0000; font-size: 0.9em" [[틀:셰필드 유나이티드 FC 감독|{{{#ffffff '''셰필드 U'''}}}]]}}}[br]{{{-2 36대}}} || [[틀:FC 디나모 모스크바 감독|[[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4a6; font-size: 0.9em" [[틀:FC 디나모 모스크바 감독|{{{#ffffff '''디나모 모스크바'''}}}]]}}}[br]{{{-2 63대}}}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세르비아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13662_crop_big.png|width=100%]]}}} || ||<-2> {{{#000000 ''' 이름 ''' }}} || {{{+1 '''슬라비샤 요카노비치'''}}}[br]'''Slaviša Jokanović''' || ||<|2><-2> {{{#000000 ''' 출생 ''' }}} ||[[1968년]] [[8월 16일]] ([age(1968-08-16)]세)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SFR]]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세르비아 SR]][br][[보이보디나 자치주|보이보디나주]] 노비사드시 || ||<-2> {{{#000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크기=20)] || ||<-2> {{{#000000 ''' 신체 ''' }}} ||[[키(신체)|키]] 191cm || ||<-2> {{{#000000 ''' 직업 '''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 ''' 소속 ''' }}} || {{{#000000 ''' 선수 ''' }}} ||FK 노비사드 (1985~1986 / ^^유스^^)[br]FK 노비사드 (1986~1988)[br][[FK 보이보디나]] (1988~1990)[br][[FK 파르티잔]] (1990~1993)[br][[레알 오비에도]] (1993~1995)[br][[CD 테네리페]] (1995~1999)[br][[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99~2000)[br][[첼시 FC]] (2000~2002)[br]시우다드 데 무르시아 (2003~2004) || || {{{#000000 ''' 감독 ''' }}} ||[[FK 파르티잔]] (2007~2009)[br][[무앙통 유나이티드 FC]] (2012~2013)[br][[PFC 레프스키 소피아]] (2013)[br][[에르쿨레스 CF]] (2014)[br][[왓포드 FC]] (2014~2015)[br][[마카비 텔아비브 FC]] (2015)[br]'''[[풀럼 FC]] (2015~2018)'''[br][[알 가라파 SC]] (2019~2021)[br][[셰필드 유나이티드 FC]] (2021) [br] [[FC 디나모 모스크바]] (2022~2023) || ||<-2> {{{#000000 ''' 국가대표 ''' }}} ||64경기 10골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 1991~2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르비아]]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 선수 경력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노비 사드라는 곳에서 태어난 요카노비치는 동네 축구팀인 FK 노비 사드의 유스팀에서 축구를 배웠고, 프로 데뷔는 FK 보이보디나에서 했다. 데뷔 시즌 요카노비치는 24경기에 나와 4골을 기록하며 보이보디나의 88-89 시즌 리그 우승에 한 축을 담당했고, 1년 뒤인 1990년에 자국의 명문팀인 [[FK 파르티잔]]으로 이적했다. 그는 이적한 지 세 시즌째 되던 92-93 시즌에 리그에서 13골을 기록하며 해외 팀들의 주목을 받았고, 스페인의 [[레알 오비에도]]와 [[CD 테네리페]]를 거쳐 당시 스페인의 신흥강호였던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에 입단하게 된다. 데포르티보에서 요카노비치는 도나투, [[마우로 실바|마우루 시우바]]와 미드필드 페어를 이뤄 리그를 평정, 데포르티보의 첫 프리메라 리가 우승에 큰 공을 세웠다. 프리메라 리가 우승 직후 [[첼시 FC]]로 이적한 요카노비치는 2년 후 팀에서 방출당했고, 방출 직후 입단한 스페인 세군다 디비시온 소속 시우다드 데 무르시아에서 3달 동안 뛴 후 축구 선수 은퇴를 하게된다. == 국가대표 경력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6경기,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1.1|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58경기를 뛰었으며 1998 프랑스 월드컵과 유로 2000에도 유고 소속으로 출전한 경험이 있다. 한국과의 인연도 있는데, 1997년 [[코리아컵]]에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으로 뽑혀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1-1 동점을 만드는 페널티킥을 넣은 적이 있다. == 감독 경력 == 요카노비치는 선수 은퇴 후 쭉 [[마드리드]]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았는데 2007년, 자신이 뛰었던 팀인 [[FK 파르티잔]]이 감독직을 제의해오자[* 당시 파르티잔의 감독이 시즌 중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게 되어 감독직이 빈 상태였다.] 가족들을 스페인에 두고 세르비아로 건너오게 된다. 급하게 감독을 맡았지만, 파르티잔의 리그와 컵우승을 이끌었고 그 다음해에도 리그와 컵우승을 달성하며 파르티잔의 파죽지세를 이끌었지만 급료 문제 때문에 2009년 5월에 감독직을 사임하고 마드리드로 돌아갔다. 태국과 불가리아, 스페인에서 잠깐씩 지도자 생활을 하며 경험을 쌓은 요카노비치는 2014년 10월에 [[EFL 챔피언십]] 소속 [[왓포드 FC]]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당시 왓포드는 시즌 개막 후 5주만에 감독을 세 명이나 갈아치울 정도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지만 요카노비치는 팀을 잘 수습하여 챔피언십 2위로 왓포드의 프리미어 리그 승격을 이끌었다. 그러나 왓포드에서도 재계약을 맺는데 실패하여 [[키케 플로레스]]에게 감독 자리를 넘겨주고 물러났다. 왓포드 감독에서 물러난 후 바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의 감독으로 취임했는데 여기에서 요카노비치는 텔아비브를 11년만에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 리그에 진출시켰고, 취임 6개월만에 강등권 탈출을 위해 좋은 감독을 찾던 [[풀럼 FC]]와 계약을 맺고 시즌 중에 텔아비브를 떠났다. === [[풀럼 FC]] === 2015년 12월 27일부로 풀럼의 감독이 되었다. 요카노비치는 첫 시즌에 강등 위기에 처했던 풀럼을 잔류 시키는데 성공했고, 두 번째 시즌인 16-17 시즌엔 팀을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17-18 시즌엔 리그 3위를 거둬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드디어 4시즌만에 팀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시켰다. 하지만 18-19시즌 1400억 이상을 쓰고[* 물론 풀럼 구단주인 샤히드 칸이 정말 답이 없는 구단주이긴 하지만...] 1승만을 거둬 매우 좋지 못한 행보를 걷고있으며 현재 17위로 강등권에 쳐져있다. 결국 리그 12라운드 리버풀 원정에서 패배한 후 11월 14일에 [[풀럼 FC]]의 감독직에서 전격 경질되었다. 후임은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이 둘은 첼시에서 [[클라우디오 라니에리|감독]]과 선수로 뛴 적이 있으며, 라니에리의 첼시에서 첫 영입이 요카노비치이다.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2021년 5월 27일 [[셰필드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 이미 [[풀럼 FC]] 감독 시절 프리미어리그 승격을 이뤄낸 적이 있는 만큼 구단이 거는 기대가 큰 걸 확인할 수 있다.] 출발이 매우 좋지 않다. 부임하자마자 4경기에서 WBA에 4-0 대패를 당하는 등 1무3패에 그치며 강등권인 23위로 처져있다. 2021년 11월 25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는 요카노비치를 경질 시켰다.후임은 [[폴 해킹버텀]]을 선임했으며 2025-26시즌까지 계약했다. === [[FC 디나모 모스크바]] === 2022-23 시즌을 앞두고 [[젤리코 부바치]] 단장의 눈에 띄여 [[FC 디나모 모스크바]]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데뷔전인 로스토프와의 경기에선 1대1 무승부를 거두었다. 2023년 5월 19일, [[FC 디나모 모스크바]]를 떠났다.[[https://fcdm.ru/news/fk-dynamo-i-slavisa-iokanovic-dogovorilis-o-prekrashhenii-sotrudnicestva/|#]]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디나모 모스크바 감독)] [[분류:1968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유고슬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세르비아의 축구선수]][[분류:세르비아의 축구감독]][[분류:FK 보이보디나/은퇴, 이적]][[분류:FK 파르티잔/은퇴, 이적]][[분류:레알 오비에도/은퇴, 이적]][[분류:CD 테네리페/은퇴, 이적]][[분류: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은퇴, 이적]][[분류:첼시 FC/은퇴, 이적]][[분류:FK 파르티잔/역대 감독]][[분류:무앙통 유나이티드 FC/역대 감독]][[분류:에르쿨레스 CF/역대 감독]][[분류:왓포드 FC/역대 감독]][[분류:마카비 텔아비브 FC/역대 감독]][[분류:풀럼 FC/역대 감독]][[분류:알 가라파 SC/역대 감독]][[분류:셰필드 유나이티드 FC/역대 감독]][[분류:FC 디나모 모스크바/역대 감독]][[분류:유고슬라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분류:노비사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