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혼합물]][[분류:군 용어]] [목차] == 개요 == {{{+1 Slime}}} 유동성이 있는 끈끈한 물질을 총칭하는 영어 단어. == 생물학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균류)] 미생물이 군집을 이루어 눈에 보일 정도로 큰 유동적인 유기체를 형성한 것. [[점균류]]라고도 한다. 주로 단세포 원생생물, 이끼, 조류(algae) 등이 슬라임을 만든다. 주로 번식기가 되면 뭉쳐서 슬라임을 형성하는 경우가 잦다. 달팽이의 점액 역시 슬라임이라고 부른다. 아래의 용례는 모두 이 생물군 명칭에서 파생된 명칭. == 힙합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슬라임 스타일)] 본래 'Street Life Intelligence and Money is Everything'의 준말이지만, [[영 떡]]이 자신의 캐치프레이즈로써 사용하면서 그의 영향을 많이 받은듯한 '튠을 사용하면서 멈블링하는' 랩 스타일을 지칭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한국에서는 [[Young Thugs Club]]의 [[Dawn Dox]](참고: [[https://youtu.be/PIXniH0tOz0?si=MwKdUoikktVq0fpx&t=119|쩐.다 (JJUN.DA)]], [[https://youtu.be/zoG6ZyTv-xo?si=arGSqSn6Gx59MO3P&t=102|방식]]), KA$HH(참고: 청바지 (Blue Jeans)) 등에게서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 == [[슬라임(가공의 생물)|가공의 생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슬라임(가공의 생물))] 1953년에 미국 호러 소설가 조셉 페인 브레넌이 지은 소설 슬라임(Slime)에 등장한 무정형 괴물이 시초이며, 모든 것을 잡아먹고 흡수하는 공포의 생물이다. 일본에서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이후 잡몹 계열로 굳어져 RPG 등에서 단골로 등장해 가장 약한 생물(creature)로서 초보용 적으로 자주 등장한다. 특유의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젤리같은 성질이 어떻게 써먹느냐에 따라 귀여움과 혐오감을 넘나들기 때문에 상당한 인지도가 있다. 이 영향을 받아 슬라임이 잡몹이란 인식이 국내에도 퍼졌다. 미국과 일본의 대우가 극명하게 차이나는 괴물이다. 일본 매체에서는 약하고 귀여운 이미지가 강하지만 미국 매체에선 공포스러운 모습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D&D]] 계열 게임에서도 나름대로 강하게 나오지만, 모든 것을 잡아먹고 흡수하는 원래 설정을 살린 슬라임들은 훨씬 더 무시무시하다. [[파일:mob_엘리니아_슬라임_stand.gif]] 한국도 일본의 영향을 받아 약하고 귀여운 몬스터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대표적으로 [[메이플스토리]]의 [[슬라임(메이플스토리)|슬라임]]이 있다. == [[슬라임(장난감)|장난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슬라임(장난감))] ==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SLIM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성준(프로게이머))] ==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슬라임랜처)] == [[마인크래프트]]의 몬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슬라임(마인크래프트))] == 기타 == * [[니켈로디언]]의 상징이다. * [[군대 은어]]로 [[유격]] 후의 [[유격 조교]]를 슬라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중문판 게임에서는 膠質怪(교질괴)나 史莱姆(slime의 음차, shilaimu)로 불린다. 이를테면 [[풍색환상]] 시리즈에서 膠質怪라는 이름을 달고 적대적 NPC로 등장한다. * [[Fall Guys]]의 생존 맵에 있는 분홍색 액체도 슬라임이라고 하며 슬라임에 빠지지 말라는 말도 나온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슬라임(가공의 생물), version=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