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파일:シー・アーチャー.jpg]] || 한글판 명칭 ||<-4>'''시 아처'''|| || 일어판 명칭 ||<-4>'''シー・アーチャー'''|| || 영어판 명칭 ||<-4>'''Mermaid Arch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물]] || [[해룡족]] || 1200 || 200 || ||<-5>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레벨 3 이하의 몬스터를 장착 카드 취급으로서 이 카드에 1체만 장착할 수 있다. 이 효과로 몬스터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라간다. 이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 장착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자신 필드의 레벨 3 이하의 몬스터를 장착하는 [[기동효과]], 그로 인한 공격력 상승과 파괴 내성을 얻는 [[지속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해황(유희왕)|해황]]이 등장하기 이전에 부진했던 해룡족 몬스터 부활의 일환으로 등장한 [[심해의 디바]]를 위해 만들어진 듯한 카드 중 하나. 그래서인지 인어인데도 불구하고 해룡족이다. 자신도 레벨 3이라 같은 이름의 카드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 [[심해의 디바]]로 리크루트가 가능하여 그대로 심해의 디바를 흡수해서 자신을 강화할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싱크로 소환]]을 하기 마련이다. [[싱크로 소환]] 말고 이 효과를 사용하는 메리트라면 [[번개왕]], [[인벨즈 로치]] 등에 방해받지 않고 공격력 2000의 몬스터를 꺼낼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다만 해당 카드들도 심해의 디바 1장으로 대응이 가능한 카드를 꺼낼 수 있으니 메리트는 극소적이다. 공격력 2000+1번 뿐인 파괴 내성을 얻기 위해 [[심해의 디바]] 이외의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하는 것은 효율적이라 할 수 없다. 레벨 3 이하 몬스터라는 조건은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로 쉽게 쓸 수 있다. 굳이 후보를 꼽자면 전개하기 쉬운 [[토큰(유희왕)|토큰]] 정도가 있겠다. [[블랙 가든]]이 있다면 로즈 토큰을 장착하여 공격력이 1400이 되며, 2800 이하의 몬스터로 돌파하기 어려워진다. 자체 강화 수치는 장착 카드가 된 몬스터의 공격력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격력 800 이하의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브랜디스톡]]을 장착 카드로 삼은 경우엔 2000 이하의 공격력에 2회 공격도 가능. 하지만 이 카드와 [[드래그니티]]의 시너지는 거의 없으니 적당한 몬스터를 [[드래그니티|용 조종술]]로 장착시키는 쪽이 더 빠르다. 그 외에도 [[ZW|DZW-키메라 크로스]]도 장착하여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장착 카드를 대신 파괴하는 것은 코스트가 아닌 효과이므로 [[해황|해황의 중장병]]의 발동 트리거가 될 수 없다. 또한 [[유니온(유희왕)|유니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신을 파괴한 것으로 치지 않아 파괴를 트리거로 하는 효과를 막을 수 있다. [[V점프]] 2009년 4월호 부록 '유희왕 OCG 몬스터 종족 대전'에서 해룡족 항목의 설명에 따르면, '묘지의 몬스터를 장착해서 방패 대용으로 할 수 있다.'라고 한다. 장착할 수 있는 것은 필드의 몬스터지 묘지의 몬스터가 아니므로 이는 엄연히 오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어(유희왕), version=76)] [[분류:유희왕/OCG/해룡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