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가사키현의 시정촌)] ||<-6><#990033>|| ||<-6> {{{#000 '''{{{+2 [ruby(島, ruby=しま)][ruby(原, ruby=ばら)][ruby(市, ruby=し)]}}}'''[br]시마바라시 | Shimabara City}}} || ||<-6>||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마바라시 시기.sv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 || ||<-3> '''{{{#ffffff 시기(市旗)}}}''' ||<-3> '''{{{#ffffff 문장(紋章)}}}'''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島原市, 너비=100%, 높이=100%)]}}} || ||<-2> '''국가''' ||<-4> [[일본]] || ||<-2><:>'''지방'''||<-4> [[규슈]] || ||<-2><:>'''도도부현'''||<-4> [[나가사키현]] || ||<-2><:> '''면적''' ||<-4> 82.97km² || ||<-2><:> '''인구''' ||<-4> 42,401명[* 추계인구 2021년 8월 1일 기준] || ||<-2><:> '''시장(市長)''' ||<-4> [include(틀:무소속 표시)] 후루카와 류자부로(古川 隆三郎) || ||<-6><:> {{{#ffffff '''상징'''}}} || ||<-2><:> '''시화''' ||<-4> 매화(ウメ) || ||<-2><:> '''시목''' ||<-4> 녹나무(くすの木) || ||<-6><:>[[https://www.city.shimabara.lg.jp/page3082.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현재 사이트 오류]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나가사키현]] 남동부인 [[시마바라반도]]에 위치한 일본의 도시. == 역사 == [[시마바라의 난]] 당시 많은 주민들이 반란에 참여하고 일부는 진압군 쪽에 가세하였다. 상당한 격전이 이루어졌으며 반란군 측은 이탈한 인원을 제외하곤 전멸했기에 이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영주였던 아리마 나오즈미의 전봉[* 쫒겨난 것이 아니라 본인 요청에 의한 것이다. 전 영주이자 아버지였던 아리마 하루노부가 키리시탄 및 서양 세력과 얽혀 처형된 이후, 영지 대부분을 차지한 키리시탄 영민,가신들에 대한 악감정이 크게 작용했다. 이게 얼마나 심했냐면 '''예수회 사료에 1613년 나오즈미가 세례명을 받은 자신의 두 이복동생들을 8세와 6세일 때 살해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시마바라의 난에서는 토벌군으로 참전, 과거 자신의 영민과 가신이었던 반군들을 마음껏 썰고 다닌다(...).] 이후, 새로 들어온 마츠쿠라 가문의 마츠쿠라 시게마사는 지역 규모 및 생산력에 맞지 않는 [[시마바라 성|거성]]을 지어버렸다.[* 당시 시마바라 번은 4만 석이었는데 이조차도 현실 상황보다 과했다고 한다. 그런데 시마바라 성의 규모는 10만 석(...)] 또한 영민을 가혹하게 착취, 고문했는데, 이는 기독교 탄압과 함께 [[시마바라의 난]]의 주 원인이 되었다. 결국 시마바라의 난으로 인해, 반란에 동참한 다수의 영민들이 전멸하였으며 이후 잔존 신자들을 소탕하고 포교를 막기 위해 [[후미에]]를 실시하고 개종한 사람들의 후손들을 수 대에 걸쳐 감시하며 연좌제를 적용해 주민들 스스로도 서로를 감시하게 하였다. 한편, 마츠쿠라 카츠이에는 잘못된 통치로 반란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1638년에 [[가이에키]] 당한다.[* 에도 시대 다이묘들 중 유일하게 할복이 아닌 참수로 가이에키당했다. [[보신 전쟁|이게]] 일어나기 전까지는 최대 규모의 반란이었으니 화가 난 막부가 그럴 만 하다.] 이후 새로 부임한 고리키 다다후사는 인구수가 급격하게 줄어든 문제[* 작은 영지에서 주민 다수가 반란군, 일부는 진압군으로서 참가해, 반란군 쪽에서만 3만 여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나왔고 이후 크리스찬의 색출과 처분까지 이루어졌다. 물론 이는 아마쿠사에서 봉기한 이들을 합친 숫자임을 감안해야 하지만 변두리 도서 지역에게 있어서는 궤멸적인 피해이다. 특히 미나미시마바라 쪽은 거의 다 반란에 가담했고 최후의 농성지였으니 반란 후의 상황은...]를 해결하기 위해 타지의 농민들을 대거 이주시킨다.[* 실제로, 시마바라의 명물인 시마바라 소면은 이 당시 히로시마에서 온 이주민들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뒤를 이은 고리키 다카나가는 실정을 저지르다가 그 또한 1668년에 [[가이에키]] 당한다. 이후 [[마츠다이라|마츠다이라 가문]]이 1669년부터 1749년까지 5대 동안 통치하며, 도다 가문이 1749년~1774년까지 잠깐 맡았다가 다시 마츠다이라 가문이 돌아와 1774년부터 1871년까지 8대 동안 통치한다. 도쿠가와 방계 가문이 이런 변방 소영지를 맡게 된 이유는, 워낙 큰 걸 저지른 지역이고 카쿠레키리시탄의 완전 소탕에 실패했다 보니 불안한 막부에서 마츠다이라 가문에게 맡기고 싶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같이 봉기한 아마쿠사 지역은 이후 폐번치현 때까지 막부 직할령으로 바뀌었다.] 게다가 전 영주의 실정 때문에 농민들이 들고 일어선 곳에서 새 영주가 또 실정을 하니 도저히 봐줄 수 없었을 것이다. [[폐번치현]] 초기 잠깐 동안 시마바라 현이 만들어진 적 있었지만 다시 [[나가사키 현]]에 편입되었다. 1940년 시마초, 안나카무라, 스기타니무라 등이 합병해 시마바라시가 되었다. 1956년 미에무라, 2006년 아리아케초를 편입했다. 시마바라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운젠 화산이다. 1792년 대분화로 인해 15,000여 명이 사망한 이후 한동안 조용하였는데, 20세기 말 다시 대분화가 일어났다. 1990년부터 분화를 시작해 1996년까지 계속됐던 화산활동으로 인해 시마바라시와 미나미시마바라시는 큰 타격을 받았다.[* 지역의 철도 교통을 담당하던 시마바라 철도 또한 이것이 직격타가 되어 손님 감소에 허덕이다, 2008년 전체 노선의 절반 가까이 되는 치치부가우라역~카즈사역 구간을 폐선시켜 버리고 2009년 버스 회사인 [[나가사키 자동차]]에 인수되고 만다.] 당시 화쇄류에 매몰된 주택들 중 일부가 현재 기념관 및 보존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보다 이전인 17세기에는 운젠의 끓는 물을 키리시탄 고문에 쓰다가 [[시마바라의 난|정말 큰 난리가 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운젠 지옥과 오바마 온천 등 화산의 산물들이 지역 관광 산업의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니 화산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묘하지 않을 수 없다(...). == 지리 == [[시마바라반도]]에 위치하며, 인접한 운젠시와 마찬가지로 시의 대부분은 [[운젠산]]이다. 바다의 가까운 부분은 평야지대이며 시가지가 발달되었다. 서쪽으로 [[운젠시]], 남쪽으로 [[미나미시마바라시]]와 접하고 있다. 시 남부에 [[https://maps.app.goo.gl/soVtSAD8czxGipUb8|수무천]](水無川)이라는 하천이 있다. 이름 그대로 물이 흐르지 않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1990년대의 운젠 분화 이후 분화 재발 시 [[화쇄류]], 토석류 등에 대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곳이기 때문이다. 산에서부터 아리아케해까지 이어지는 상당히 큰 규모를 자랑하며 마을을 갈라놓았다. == 관광 == [[시마바라 성]]을 중심으로 무사저택, 시마바라 용수관, 시메이소가 유명하다. 물의 도시라는 별명이 있는데, 도시 곳곳에 크고 작은 수로와 족욕탕이 형성되어 있다. 깨끗한 수질을 자랑하며 잉어를 여럿 풀어놓아 헤엄치는 모습을 쉽게 구경할 수 있다. 시 남부에는 운젠 재해기념관이 있다. [[운젠 분화]] 당시 화산재에 매몰된 지역 일부를 당시 그대로 보존해놓았다.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음식으로는 구조니가 있다. 일본식 국물의 찹쌀떡국으로 장어, 어묵, 연근 등 건더기가 풍성하게 들어간다. 기원은 [[시마바라의 난]] 당시 농성하던 반군 쪽이 만들어먹은 것이라고 한다. 일본식 전통 떡국인 [[오조니]]와 흡사하나 건더기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어차피 시내에 식당이라 할 곳도 그닥 없어서 성 근처의 구조니 가게에서 다들 모이게 되어 있다.~~ 그 밖에 유명한 건 시마바라 소면이 있다. == 교통 == === 철도 교통 === [[시마바라 철도]]의 [[시마바라 철도선]]이 지나며, [[아리아케유에역]]부터 현 종점인 [[시마바라항역]]까지 시마바라시에 속한다. 과거에는 [[미나미시마바라시]]의 카즈사역까지 80km에 달하는 노선이었지만 인구 감소, 운젠 분화, 버스로의 수요 이탈 등 여러 이유로 2008년 폐선했으며 이 중 시마바라시 구간도 일부 포함됐다. === 도로 교통 === [[일본 57번 국도|57번 국도]], 251번 국도가 지난다. 후쿠오카현 하카타 버스터미널~시마바라, 나가사키 공항~이사하야~시마바라반도 간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 해상 교통 === [[오무타시]]의 미이케 항~시마바라 항 간 고속선과 [[구마모토시]] 구마모토 항~시마바라시 시마바라항 간 구마모토 오션애로우 페리, 큐쇼 페리가 운행 중이다. 오션애로우는 약 30분, 큐쇼 페리는 1시간이 소요되고 가격도 오션애로우 쪽이 더 비싼데, [[SUNQ 패스]]는 오션애로우 페리만 탑승할 수 있어 이득이다. == 자매도시 == [[제주특별자치도]] : 정확히는 시마바라반도와 제주특별자치도라는 두 세계지질공원 간 자매결연이다. == 기타 == 시마바라반도의 세 행정구역 중 인구가 가장 많지만 사실상 도토리 키재기다.[* 추계인구 2021년 7월 기준 시마바라시 42,449명 / 미나미시마바라시 41,423명 / 운젠시 40,751명] [[분류:나가사키현의 시]][[분류:1940년 설치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