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헤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090107438033420_1.jpg|width=100%]]}}} || || [[제니(BLACKPINK)|제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0111.jpg|width=100%]]}}} || || 2020년 즈음 유행하고 있는 남자 시스루 뱅[* 사진 속 인물은 [[차은우]]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See-Through Bangs}}} [[앞머리]] [[헤어스타일]]의 한 종류이다. 앞머리 사이사이로 이마가 보일 정도로 숱을 듬성듬성 적게 내린 앞머리. 그런 이유 때문에 이마가 머리카락을 '통해서 보이기' 때문에 [[시스루]]라는 이름이 붙었다.[* 시스루라는 말은 비쳐보이는 의상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송혜교]], [[이연희]] 등의 여자 연예인들이 시도해 호응을 얻으면서 2012년부터 유행한 스타일이다. 잘 자르면 풀뱅보다는 시원해 보이고 앞머리를 내리지 않는 것보다는 어려 보여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 특히 앞머리의 숱이 적어서 옆으로 넘기기 좋은데, 한쪽으로 넘기면 [[여신앞머리|마치 앞머리가 없는 것 같은]] 연출도 가능하다. 하지만 잘못 자르면 빈티나거나 [[탈모]]로 오해받을 수 있다. 앞머리를 쉽게 넘길 수 있어서 진입장벽이 낮고, 얼굴형에 상관없이 어울린다는 글이 많이 올라오지만 이마 라인을 그대로 드러내기 때문에 긴 얼굴형의 소유자들은 시스루뱅을 하면 얼굴이 더 길어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소녀시대]]의 [[티파니 영|티파니]]가 있다. 안 어울리는 사람들은 눈물을 머금고 넘기고 다니는 헤어스타일. 숱을 적게 내서 자른 후 마무리가 중요한데, [[가위]]를 수직으로 세워 잘라줘야 시스루뱅을 예쁘게 연출할 수 있다. 옆머리 숱을 많이 내서 얼굴을 더 작아 보이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앞머리 자체를 자르기 무서워서 못 자른다면 [[앞머리]] [[가발]]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루 뱅 앞머리 가발은 풀뱅 앞머리 가발보다 통풍이 잘 되는 편이다. 아래 예시에는 여자 밖에 없으나 시스루 뱅을 하는 남자들도 있다. 여자들처럼 확 앞머리를 비게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아주 조금만 쳐서 살짝 가볍게 하는 정도. == 이 속성을 지닌 인물 == === 실존 인물 === 단순히 시스루뱅을 하고 활동한 적이 있는 연예인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기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재할 경우 어느 시기에 어떤 활동으로 시스루뱅을 했는지 기재하기 바람. * 2010년대에 시스루 뱅을 시도했던 대부분의 [[걸그룹]] 멤버들 * [[BLACKPINK]] * [[로제(BLACKPINK)|로제]]: [[마지막처럼]] * [[제니(BLACKPINK)|제니]]: [[THE ALBUM]] * [[TWICE]] * [[나연]]: [[CHEER UP]], [[LIKEY]], [[Feel Special]] * [[사나(TWICE)|사나]]: [[LIKEY]] * [[미나(TWICE)|미나]]: [[What is Love?(TWICE 노래)|What is Love?]], [[Summer Nights]], [[YES or YES]], [[FANCY YOU#FANCY|FANCY]]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김소원(배우)|소원]]: [[여름여름해 (Sunny Summer)|여름여름해]], [[Apple(노래)|Apple]] * [[예린]]: [[너 그리고 나 (NAVILLERA)|너 그리고 나]], [[FINGERTIP]], [[귀를 기울이면 (LOVE WHISPER)|귀를 기울이면]], [[여름비 (SUMMER RAIN)|여름비]], [[밤 (Time for the moon night)|밤]], [[해야 (Sunrise)|해야]], [[열대야 (Fever)|열대야]], [[교차로 (Crossroads)|교차로]], [[Apple(노래)|Apple]] * [[은하(VIVIZ)|은하]]: [[FINGERTIP]], [[귀를 기울이면 (LOVE WHISPER)|귀를 기울이면]], [[여름비 (SUMMER RAIN)|여름비]], [[밤 (Time for the moon night)|밤]], [[여름여름해 (Sunny Summer)|여름여름해]], [[해야 (Sunrise)|해야]], [[교차로 (Crossroads)|교차로]], [[BOP BOP!]] * [[유주]]: [[FINGERTIP]], [[귀를 기울이면 (LOVE WHISPER)|귀를 기울이면]], [[여름비 (SUMMER RAIN)|여름비]], [[밤 (Time for the moon night)|밤]], [[여름여름해 (Sunny Summer)|여름여름해]], [[해야 (Sunrise)|해야]], [[열대야 (Fever)|열대야]], [[교차로 (Crossroads)|교차로]], [[Apple(노래)|Apple]] * [[신비(VIVIZ)|신비]]: [[밤 (Time for the moon night)|밤]], [[여름여름해 (Sunny Summer)|여름여름해]], [[해야 (Sunrise)|해야]], [[교차로 (Crossroads)|교차로]], [[Apple(노래)|Apple]], [[BOP BOP!]] * [[엄지(VIVIZ)|엄지]]: [[너 그리고 나 (NAVILLERA)|너 그리고 나]], [[교차로 (Crossroads)|교차로]] * [[Red Velvet]]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Bad Boy(Red Velvet)|Bad Boy]], [[음파음파]] * [[슬기(Red Velvet)|슬기]]: [[Russian Roulette]], [[Rookie(Red Velvet)|Rookie]], [[The Velvet]], [[Bad Boy(Red Velvet)|Bad Boy]], [[음파음파]] * [[웬디(Red Velvet)|웬디]]: [[Ice Cream Cake]], [[The Red]], [[Russian Roulette]], [[Rookie(Red Velvet)|Rookie]], [[Perfect Velvet]], [[Summer Magic]], [[음파음파]] * [[조이(Red Velvet)|조이]]: [[Russian Roulette]], [[RBB]] * [[예리]]: [[Rookie(Red Velvet)|Rookie]], [[음파음파]] * [[아이오아이]]: '''[[최유정]]''', [[김세정]], [[청하|김청하]], [[전소미]], [[김소혜]] * [[IVE]]: [[안유진]], [[레이(IVE)|레이]] * [[IZ*ONE]]: '''[[조유리]]''', [[김채원(LE SSERAFIM)|김채원]], [[최예나]], [[야부키 나코]], [[미야와키 사쿠라]] * '''[[츄(가수)|츄]]''' * [[모모랜드]] - [[제인(1997)|제인]]: Show me - I'm so hot * [[걸스데이]] - [[방민아|민아]]: [[여자 대통령]] * [[DIA(아이돌)|DIA]] * [[정채연]]: [[Love Generation]], [[PRESENT(DIA)|PRESENT]], [[NEWTRO]] * [[씨스타]] - [[김다솜|다솜]]: [[Give It To Me]] * [[소녀시대]] * [[태연]]: [[Mr.Mr.]], [[Holler]], [[Rain(태연)|Rain]], [[11:11]], [[My Voice#Fine|Fine]] * [[서현]]: [[I GOT A BOY]] * [[카라]] * [[구하라]]: [[Pandora(카라 노래)|Pandora]] * [[강지영]]: [[숙녀가 못 돼]] * [[시크릿(아이돌)|시크릿]] * [[한선화]]: Poison * [[송지은]]: 예쁜 나이 25살 * [[STAYC]] *[[수민(STAYC)|수민]]: [[STEREOTYPE]] *[[시은|시은]]: [[WE NEED LOVE]] * 1980년대 한국과 일본 여성 아이돌 가수 * [[이성경]]: 2016,2018,2020년도 짝수 년도마다 앞머리를 잘랐다. 하지만, 2019년 10월 차기작 준비로 인해서 앞머리를 잘랐다.[* 2016년도가 본인이 배우로서 첫 앞머리를 자른 해.] * [[박신혜]]: 절친인 [[이성경]]과 반대로 2015년부터 홀수 년도마다 앞머리를 잘랐으나 짝수 년도인 2016년, 2018년도에 앞머리를 잘라서 이 룰이 깨졌고 짝수 년도인 2020년에는 앞머리를 자르지 않았다. * [[NewJeans]] * [[해린]] === 가상 인물 === 서브컬쳐 캐릭터들은 삼지창 앞머리는 물론 풀뱅의 경우에도 이마가 살짝살짝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등재하기 전에도 다시 한 번 생각해야 한다. '''시스루 뱅은 기본적으로 [[일자 앞머리|뱅 헤어]]의 형상을 따라간다.''' 앞머리를 눈썹까지, 혹은 그보다 약간 더 길게 내려 단정하게 정리한 [[일자 앞머리|일자 앞머리(뱅 헤어)]][* [[타오(노블레스)|서브컬쳐속 뱅 헤어의 예시]]]를 기준으로 이마가 '''상대적으로 많이''' 비치도록 틈을 냈기에 시스루(비치는)+뱅(뱅 헤어)이다. '''단순히 앞머리 사이로 이마가 보인다고 해서 시스루뱅이 될 수 없다.''' 만약 기준이 애매하다면, 앞머리의 실루엣이 전체적으로 어떤 모양새인지를 유심히 살펴보며 뱅헤어를 바탕으로 하고있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삼으면 좋다. 그래도 어떤 느낌인지 감이 오지 않는다면 하단에 기재된 뷰티풀 군바리의 캐릭터들이 확실한 예제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기재되어 있던 [[아리스가와 오토메]], [[하치쿠지 마요이]], [[랄 하우즈]] 등의 캐릭터는 시스루뱅보다는 [[처피뱅]] 쪽에 더 가깝기 때문에 본 항목에는 맞지 않는다. [[오기노 치히로]] 등의 캐릭터의 경우, 시기상 시스루뱅을 고려하고 디자인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섬세한 작화 연출을 위해 머리칼을 세밀하게 나눠 그렸다고 보는 쪽이 타당하다. 무엇보다도 모양 자체가 뱅 헤어라고 보기가 어렵다. 앞머리가 단정하게 정리되어있지 않기 때문. 굳이 분류를 하자면 일본만화식 삐죽머리라고 보는게 맞다.[* 사실 일본쪽 서브컬쳐 속에서 정말로 시스루뱅이라 부를 만한 헤어스타일은 찾아보기 힘들고,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일본에선 2010년대 이후 한국에 비해 늦게 유행했기 때문이며 하단에 간추려진 몇 안되는 일본 캐릭터들은 우연히 오늘날 시스루뱅이라 부르는 머리모양의 조건에 어느 정도 부합했을 뿐이고 그마저도 정말로 시스루뱅이라 부르기 애매한 부분이 있다. 시스루뱅은 국내 웹툰, 국내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원화에서 쉽고 확실하게 찾아볼 수 있다. 국내에서 유행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인 머리모양이기 때문.] * [[그남자 그여자의 사정]] - [[미야자와 유키노]] * [[뷰티풀 군바리]] - [[류다희]], [[주희린]], [[고효원]], [[김미윤]], [[한겨울(뷰티풀 군바리)|한겨울]] * [[공복의 저녁식사]] - [[공복의 저녁식사/등장인물#s-1.1|공복희]] * [[던전 앤 파이터]] - 네메시스 * [[메이드 인 어비스]] - [[나나치]] * [[여자친구(웹툰)|여자친구]] - [[최한나(여자친구)|최한나]] * [[여중생A]] - [[장미래]] * [[연애혁명]] - [[왕자림]] * [[짱구는 못말려]] - [[오오하라 나나코]], [[마츠자카 우메]] * [[디지몬 시리즈]] * [[디지몬 테이머즈]] - [[황주연]] * [[사이드킥(웹툰)|사이드킥]] - [[태오(사이드킥)|태오]]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채소연(슬램덩크)|채소연]] * [[아이카츠!]] - [[호시미야 링고]] * [[이야기 시리즈]] - [[센고쿠 나데코]][* 얘는 원작과 애니의 묘사가 다르다. 항목 참조] * [[청춘 블라썸]] - [[조규리]], [[김다현(청춘 블라썸)|김다현]], [[박은채]], [[진가을]], [[김우리(청춘 블라썸)|김우리]], [[김주희(청춘 블라썸)|김주희]] * [[클레이모어(만화)|클레이모어]] - [[클레어(클레이모어)|클레어]], [[진(클레이모어)|진]] * [[MILGRAM]] - [[카시키 유노]][* 정확히는 반깐머리다.] [[분류:헤어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