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외버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곳은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 또는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철도, 버스, 항공, 도선 등이 특정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직행)}}}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 종점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합천터미널) || ||<|2> 합천행 || 첫차 || 06:30 ||<|2> 대구서부행 || 첫차 || || || 막차 || 22:00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전여객]] ||<-2> 운행횟수 || --1일 8회-- || ||<-2> 상세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옥포JC|{{{#bbb 옥포J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 귀원(쌍림면) - 합가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지릿재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율곡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삼가(직행)}}}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 종점 ||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금리(삼가정류장) || ||<|2> 삼가행 || 첫차 || 08:20 ||<|2> 대구서부행 || 첫차 || || || 막차 || 17:45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전여객]]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상세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옥포JC|{{{#bbb 옥포J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 - 귀원(쌍림면) - 합가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지릿재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율곡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대양 - 쌍백 - 삼가정류장 || == 개요 == 대구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령, 귀원, 율곡을 거쳐 합천터미널과 삼가정류장을 잇는 노선이다. == 역사 == * 원래 15회 정도 운행했으나 점점 감회되어 10회로 감회되었다. * 2020년 2월 25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한시적으로 2회로 감차운행 하게 되었다. * 2020년 4월 20일부터 코로나19 종식때 까지 한시적으로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의 합천 경유 노선과 통합해 6회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이날을 기점으로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직통이 대거 감회되었다.] [[시외버스 대구서부-여수]]의 일부도 합천을 경유하게 되었다. 대구서부 - 사천, 삼천포 노선은 이미 일부 시간대에 합천을 경유중이었다. == 특징 == * 이 문서는 대구에서 합천까지 완행으로 가는 노선을 서술하며, 직통편은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및 시외버스 대구서부-삼천포, [[시외버스 대구서부-여수]] 참조.[* 대구서부 - 여수 노선은 이 노선이 운행하던 시절에는 합천을 미경유했다.] * 고령의 경우 [[고령터미널|고령시외버스정류장]]은 물론 축협에도 정차하며, 대구에서 대가야고분군으로 갈때 축협에 내려야한다[* 축협은 버스기사에게 '축협에 세워 주세요'라고 얘기하면 세워준다.][* 고령시외버스정류장과 대가야고분군은 멀다.]. 단, 표 발권은 축협으로는 발권을 못하고 고령 표로 발권을 해야한다. * 합가, 지릿재, 율곡에 정차하는 유일한 시외버스 노선이며, 합가는 합가1리(개실마을)에[* 합가교차로가 있는 합가2리에는 안 내려준다.][* 합가2리에 들어오는 [[고령 버스 고령-쌍림]]은 2019년 12월에야 개통했기 때문에 합가2리는 2019년 12월 까지 '''버스가 없던 동네'''였던 셈이다.], 지릿재는 지릿재터널입구에, 율곡은 율곡면소재지인 영전리가 아닌 옛 율진면의 중심지이자 제2의 중심지 율진리에 내려준다. 참고로 율진과 영전을 1번에 잇는 버스는 없으며 영전에서 대구로 갈 거면 그냥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으로 가자. * 대부분 합천까지 운행하나 1일 2회는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까지 연장운행한다. * 대구에서 합천까지 고령, 귀원, 합가, 지릿재, 율곡을 거치기 때문에 빠르게 가려면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대구서부-진주 계통 중 합천 경유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그 노선 이용시 45분 이면 대구와 합천을 오간다. 반면 이 노선 이용시에는 대구에서 합천까지 1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 참고로 합천 ~ 율진[* 시외버스 10회, 농어촌버스 4회]과 고령 ~ 합가는 농어촌버스[* 농어촌버스 3회며 농어촌버스는 첫차도 매우 늦다.] 보다 이 노선의 운행횟수가 더 많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이 노선을 통해 오갔다. 한편 수요 부족 + 인구 감소 + 41인승 대폐차라는 3회의 펀치를 맞으면서 이 노선이 운행중단이 장기화 되면서 주민불편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 차량은 모든 회차가 41인승 일반으로 운행했다. * 대구에서 [[고령터미널|고령]]까지는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성주행]], [[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함양|거창(완행)]],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해인사행]],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초계행]]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귀원까지는 해인사행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현재는 해당 노선과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완행]]은 운행이 중단되어 대구서부에서 고령까지 직행으로 가려면 성주행과 해인사행, 초계행을 타야 한다. * 지릿재 정류장의 경우 합천 방면 지릿재터널 출구, 고령 방면 지릿재터널 입구에 세워주기 때문에, 지릿재 옛길로 올라가려면 '합가'에서 내려야 한다.[* 율곡면 와리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쌍림면 합가리에서 접근하는 것이 요금도 더 싸고 구배도 덜하다.] 반대로 진주, 삼가, 합천 방면에서 오려면 '율곡'에서 내려야 한다. 단, 율곡에서 내릴 경우 좀 멀다. * 대구서부 ~ 삼가 노선의 경우 실제로는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가 목적지이며, 삼가에서 진주까지 대의, 송계, 안간, 진주남중, 진주개양을 경유한다. 단, 대구에서는 대의 ~ 진주 구간 발권은 불가능하고, 대구에서는 삼가까지, 진주에서는 고령까지만 발권이 가능하다. 진주야 직통 노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대의, 송계, 안간으로 가려면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에서 나눠끊어야 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