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김해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부산-김해간 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skhic-ngp.png|width=100%]]}}}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지역)|장유1동]]과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직행형 시외버스이다.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서부↔김해장유}}} || || 기점 ||<-2>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2>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 (갑을장유병원) || ||<|2> 장유행 || 첫차 || 06:15 ||<|2> 사상행 || 첫차 || 06:30 || || 막차 || 21:45 || 막차 || 22:00 || ||<-2> 평일배차 || 5분~30분(68회) ||<-2> 일 공휴일배차 || 5분~30분(60회) || ||<-2> 운수사명 ||<-4>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2> 상세 노선 ||<-4>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장유농협) - [[장유시외버스터미널]] - ( → [[장유1동]]행정복지센터[* [[시외버스 부산서부-진영|장유, 진례, 진영행버스]] 한정이다. 사상행 버스는 여기서 승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산을 출발하여 장유를 거쳐 [[안동터미널|안동시]], 수도권으로 간다면 이용할 만 하지만 장유를 거쳐 부산으로 돌아오는 경우 이용이 불가능하다. 다만 안동에서 출발하는 경우 인가상 문제로 창원에서 타절하기 때문에 마산이나 창원에서 환승하면 된다.] → )코아상가 - 부영2차아파트 - 갑을장유병원 || ||<-6> {{{#ffffff 시외버스 심야 부산서부↔김해장유}}} || || 기점 ||<-2>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2>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 (갑을장유병원) || ||<|2> 장유행 || 첫차 || 22:40 ||<|2> 사상행 || 첫차 || 22:40 || || 막차 || 밑의 심야시간표 참고 || 막차 || 밑의 심야시간표 참고 || ||<-2> 배차시간 ||<-4> 사상발 3회 장유발 2회 || ||<-2> 운수사명 ||<-4>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2> 상세 노선 ||<-4>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장유농협) - [[장유시외버스터미널]] - ( → [[장유1동]]행정복지센터 → )코아상가 - 부영2차아파트 - 갑을장유병원 || == 역사 == || [[파일:Found_1289152_760569.jpg|width=100%]] || || [[김해여객]] 운행 시절 || [[장유(지역)|장유]][[신도시]] 개발 초기 당시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배차간격 1시간~1시간 30분으로 운행하던게 급격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자 순식간에 단축, 지금은 장유시내에서 시내버스보다 배차가 짧은 시외버스 노선이 되었다.[* 가장 배차가 짧은 시내 노선은 [[김해 버스 21]]이나 이 노선 배차는 16분~22분이다. 심지어 이 노선은 장유2,3동 지역으로는 안 가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승객이 시외버스 정류장들에 도보로 올 수 있는 장유1동 지역의 승객인데도 이 정도다.] 2016년 3월 15일, 사상에서 장유행 심야 버스가 1회 증회되었다.[* [[http://www.busantr.com/sub04/01.htm?wr_id=140|관련 공지사항]]] 이에 따라 심야버스를 한 번 놓치면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야 했던 불편함이 줄어들게 되었다. 2019년 3월 1일, 전국시외고속버스 요금 개정으로, 부산서부-장유 간 요금의 거리비례 부과가 시행되었다. 2개 정류소마다 100원씩 올라가는것으로 변경. 2021년 8월 26일부터 김해여객 파업으로 임시로 대체수송버스가 운행된다.[* 부산서부~장유농협 구간을 운행하고 출퇴근 15분, 평시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운임은 무료이고 선착순 탑승이다.] 9월 14일까지 임시 운행되며 이후에는 다시 정상 운행이 재개된다. 공배중인 [[시외버스 부산서부-진영]] 노선은 여전히 운행중단중.[* 진영은 [[밀성여객]]이 대체제로 있으나 거의 안알려져 있고 승차권 발권이 발권이 불가능하여 현금승차나 교통카드로 지불해야되며 승하차장소는 진영정류소가 아니고 진영공설운동장이니 주의 할것.] 2021년 10월 22일부터 운행업체가 [[김해여객]]에서 [[경남고속]]으로 바뀐다.([[http://www.busantr.com/sub04/01.htm?wr_id=336|운행업체 변경 안내]]/[[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04798&page=1|운행업체 변경 당일 모습]]) 모처럼만에 경남고속의 경남권 단거리 노선인데 임시운행성격이다. 2021년 11월 3일 부터 심야도 운행 재개 되었으며 심야 첫차가 사상발 22:05분으로 변경 되었다. 다만 경남고속으로 운행회사가 변경된 이후 한동안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실제로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은 카드 승차를 허용하고 있으나, 아직 설치되지 않은 차량도 꽤 있어 혼란을 막기 위해서인지 일률적으로 카드 승차가 불가능하다고 안내를 한 듯 하다. 향후 전면 카드 승차를 허용한다고 해도 뉴부산관광 소속 임시차량이 투입될 경우 교통카드 승차는 불가능할 수 있음에 유의할 것. 경남고속으로 인계된 이후에는 김해여객에서 고용승계된 승무원 위주로 운행하나[[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36009&page=1|#]], 까다로운 조건 하 엄선된 준베테랑 기사[* 경남고속의 임금과 복지 수준이 경상남도 시외버스 회사 중 가장 좋으며, 그만큼 상당한 기량도 요구하기 때문이다.]들이 수도권 노선으로 진출하기 전 견습 목적으로도 쓰일 것으로 보인다. 결국 김해여객의 면허가 취소되면서 이 노선도 2021년 11월 3주차 안으로 입찰에 들어간다고 한다.[[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77564|#]] 2022년 1월쯤 [[김해여객]] 파산 이후 입찰이 완료되어 인수를 하면 업체가 또 바뀔 예정인데, 그때까지는 경남고속에서 계속 맡을듯. 2022년 4월 13일부터 김해여객 노선 입찰 결과 낙찰된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에서[* 과거 김해여객의 지분을 가지고 있던 회사 중 하나였다.] 운행할 예정이며 이와 동시에 [[시외버스 부산서부-진영|진영행]]도 일 8회 운행이 재개된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2723|#]] 2022년 6월 1일부터 현금승차를 시범적으로 제한할 예정이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4386|#]] 수요부족으로 [[시외버스 부산서부-진영|진영행]]이 8회에서 6회로 감회되더니 결국 4회로 감회되었다. 대신 [[시외버스 부산서부-구기]] 노선의 진영 승하차를 공식적으로 허가했다. == 특징 == 시외버스가 시내버스처럼 운용되고 있는 특이한 노선이다.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도 비슷한 경우가 존재하는데 [[시외버스 700|700번]], [[시외버스 3000, 3030|3000, 3030번]]이 있으며, 전환시외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시외버스 서울경부-안성|서울 - 안성 노선]]이나 [[시외버스 서울경부-용인|서울 - 용인 노선(구.8115번)]]도 있다.] 단거리 시외버스 노선 답지 않게 투입되는 버스 수도 매우 많으며, 심야 노선도 부산과 김해 양 도시에서 가장 늦게까지 운행한다. 서구청에서 출발한 부산역 경유 김해방향 [[부산 버스 1004|심야1004]]번과 이 노선 막차가 서부터미널에서 연계된다. [[시외버스 김해-부산서부|김해시내-부산서부]]와 달리 제대로된 경쟁자가 없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EB카드제 교통카드 단말기가 달려 있었음에도 교통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했고, 가끔 안내방송을 트는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지금처럼 TTS 안내방송이 아닌 육성 안내방송이었다.] 2018년 1월 18일부터 경상남도 관할 대부분 시외버스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단말기로는 경기시외버스에 적용되는 신형 캐시비 시외단말기가 설치되었다.[* 하차시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하지 않으면 패널티요금 5천원이 다음 승차시 부과된다.] 단, 서부터미널에서는 현금 및 카드로 승차권을 구입하여 승차해야 했으나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이 노선의 운행거리가 얼마나 짧은지 감이 안 온다면 정자에서 강남까지 거리를 시외버스로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 해당 구간은 [[신분당선]]을 타면 '''17분''' 만에 가는 거리이다. 수도권에는 [[성남 버스 8109]], [[양주 버스 8906]], [[김포 버스 3000]], [[화성 버스 1002]], [[연천 버스 G2001]], [[인천 버스 70]], [[인천 버스 71]], [[인천 버스 303-1]], [[인천 버스 790]], [[인천 버스 800]], [[광역급행버스 M6450]] 같은 이 노선 보다 훨씬 긴 노선도 시내버스 면허로 잘만 운행되고 있다. 참고로 [[대구 버스 600|대구에는 이 노선 왕복거리보다 편도거리가 더 긴 시내버스가 있다.]] 그리고 장유IC-사상IC 구간은 수도권의 서울TG-반포IC나 잠실대교, 강일 IC-서종IC, 금천 IC-팔곡 JC 정도 거리밖에 안 된다. 이 노선이 아직도 시외버스로 운행되는 게 이상해 보일 수 있지만 전철노선이 없기 때문에 굳이 시외버스보다 훨씬 요금이 싼 시내버스로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부전-마산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시내버스로 전환될지도 모른다는 예상이 있었는데, 경상남도 버스업계 경영 효율화 및 합리적 재정지원 개선계획의 내용으로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경합 노선은 M버스 전환'''(마산, 창원, 장유 등)이라는 계획이 나오면서 2022년 상반기 기존노선들을 광역급행버스로 노선 전환을 할 계획이다.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37864|#]] 이에 따라 이 노선은 광역버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후 각 지자체에서 [[광역급행버스]] 수요조사 관련 문서를 제출했는데 이 중 김해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노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2694|#]] 일부시간은 김해외고(율하)마을로 1일 5회 들어가며 1일 4회는 진영으로 가고 1일 1회는 부곡까지 들어간다. 이전에는 고액권 지폐로도 승차가 가능했으나 최근에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노상 정류장에서의 고액권 승차는 원려하고있다.[* 가끔 버스 카드단말기가 고장이 나서 현금으로만 승차가 가능한 버스가 있었다. 비상시를 대비해 현금 2,300원을 챙겨두자] 장유 쪽 기종점인 갑을장유병원 쪽에서는 이 노선에 고정투입되는 [[김해여객]] 시외버스가 서 있는 모습을 거의 항상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신흥여객이 서있는 모습을 보게 되나-- == 시각표 및 운임 == 원래 심야를 제외한 시간표를 공개하지 않았었는데 파업이 끝나고 다시 정상화하면서 시간표가 공개되었다. 장유를 경유해 진례, 진영까지 가는 버스는 운행이 재개되지 않아 이전보다 운행횟수가 줄어든 모습이다. [[https://its.gimhae.go.kr/commu/notice/list|#]] 이후 약간 증회되어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36380|#]] 이후 신흥여객이 운영하게 되면서 시간표가 조금 변경되었가[[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3539|#]] 2022년 6월 21일에 탄력 배차및 증회 하게 되어 시간표가 변경 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5656|#]] === 시각표(심야) === ||<-4> 김해장유-부산서부 심야버스 시간표 || || '''회차''' || '''사상발''' || '''장유발''' || '''비고''' || || 1 || 22:40 || 22:40 ||<|8> [*교통카드 신흥 여객 변경후 현금승차 불가능으로 교통카드로만 가능.] || || 2 || 23:20 || 23:20 || || 3 || 24:00 || --23:35-- || || 4 || --23:35-- || --24:05-- || || 5 || --23:50-- || --23:50-- || || 6 || --00:30-- || --00:30-- || || 7 || --01:10-- || --01:10-- || || 8 || ~~01:50~~ || - || ||<-4> 상기 시각표는 2022년 6월 21일 기준임.[* 코로나 19로 인한 감회 운행.] || === 운임표 === ||<-8> 시외버스 요금표 (2019년 3월 1일 기준) || || '''부산서부''' || '''↔''' || 갑을장유병원 || 부영2차아파트 || 코아상가 || 장유1동행정복지센터[*A 장유방면 한정 정차] || 장유농협 || ||<|3> '''주간''' || 성인 || 2,300 || 2,300 || 2,200 || 2,200 || 2,100 || ||청소년 || 1,800 || 1,800 || 1,700 || 1,700 || 1,600 || ||어린이 || 1,200 || 1,200 || 1,100 || 1,100 || 1,000 || ||<|3> '''심야''' || 성인 || 2,500 || 2,500 || 2,400 || 2,400 || 2,300 || ||청소년 || 2,000 || 2,000 || 1,900 || 1,900 || 1,800 || ||어린이 || 1,300 || 1,300 || 1,200 || 1,200 || 1,200 || == 장유에서 부산가는 다른 교통수단 환승방법 == 서부터미널에서 [[부산 버스 1005]]번을 타고 사구마을에 내린 뒤 길을 건너서 [[김해 버스 220]]번으로 갈아타거나, 하단역에서 저 노선을 타면 장유로 갈 수 있고 [[동남권 통합 요금]]이 적용된다. 하지만 두 노선 모두 [[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답이 없는 배차간격]]에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이라 소요시간도 시외버스보다 훨씬 길며 시외버스 노선의 주 수요처인 장유1동 지역에는 제대로 안들어간다. 때문에 노선이 지나가지 않는 장유3동(율하신도시)쪽 주민들이 아닌 이상은 별로 주목받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1005번으로 환승할 경우에는 '''반드시 길을 건너야 한다'''는 점과 요금도 몇백원밖에 차이나지 않는 점 때문에 더더욱 주목을 받지 못한다.[* 광역환승시 환승요금 500원이 별도 부과되어 요금이 거의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 저 방법의 메리트는 시내버스의 요금이 저렴한 것보다는 환승할인이 적용되는 것이 더 크다. 시외버스 하차 후에는 대부분 시내버스나 부산 2호선으로 환승하는데 시외버스는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아 요금을 더 내기 때문이다. 다만 시내버스가 환승할인이라는 메리트가 있더라도 시외버스가 시내버스보다 소요시간과 배차간격이 훨씬 짧은데다가 장유1동 주민들의 경우는 도보권에 시외버스가 다니니 지하철 요금 더 내는 정도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고 시외버스를 타는 경우가 많다.] 단, 최종목적지 및 출발지가 사상 및 서면, 동래, 금정 등이 아니라 하단, 남포동, [[부산역]] 일대인 경우 율하신도시 주민이라면 220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220번은 사상이 아닌 하단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특히 1005번, 220번 모두 [[막차]]가 빠르게 끊겨버려서 막차가 끊긴 이후에는 무조건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부산시내와 장유를 오갈수 있게 된다. 사상 쪽으로 가는 경우 [[김해 버스 21]] 등 김해시내로 가는 버스를 이용한 다음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해 [[사상역]]에 내리는 방법도 있다. 소요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그래도 220번 - 1005번 루트보다는 배차도 짧고 늦게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김해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