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 [[파일:부산-삼척-동해-강릉 시외버스.jpg|width=100%]] || || 포항무정차, 강릉 종착 || [목차] == 노선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강릉(포항, 삼척 미경유)}}}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홍제동([[강릉시외버스터미널]]) || ||<|2> 강릉행 || 첫차 || 07:40 ||<|2> 부산행 || 첫차 || || || 막차 || 12:00 || 막차 || || ||<-2> 운수사명 || [[금아여행]], [[아성고속]]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상세 노선 ||<-4>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문수IC|{{{#bbb 문수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남포항IC|{{{#bbb 남포항IC}}}]] - [[31번 국도|{{{#bbb 31번 국도}}}]]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IC|{{{#bbb 동해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강릉IC|{{{#bbb 강릉IC}}}]]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강릉(포항 미경유, 삼척 정차)}}}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홍제동([[강릉시외버스터미널]]) || ||<|2> 강릉행 || 첫차 || 15:20 ||<|2> 부산행 || 첫차 || || || 막차 || 16:08 || 막차 || || ||<-2> 운수사명 || [[금아여행]]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상세 노선 ||<-4>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문수IC|{{{#bbb 문수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남포항IC|{{{#bbb 남포항IC}}}]] - [[31번 국도|{{{#bbb 31번 국도}}}]]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삼척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IC|{{{#bbb 동해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강릉IC|{{{#bbb 강릉IC}}}]]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속초(포항 경유)}}}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명동([[속초시외버스터미널]]) || ||<|2> 속초행 || 첫차 || 06:58(강원여객 운행) ||<|2> 부산행 || 첫차 || || || 막차 || 23:30(심야, 금아여행 운행) || 막차 ||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금아여행]]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상세 노선 ||<-4>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노포IC|{{{#bbb 노포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경주IC|{{{#bbb 경주IC}}}]]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유강터널|{{{#bbb 유강터널}}}]] - [[포항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동해IC|{{{#bbb 동해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강릉IC|{{{#bbb 강릉IC}}}]]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IC|{{{#bbb 강릉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하조대IC|{{{#bbb 하조대IC}}}]]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낙산시외버스터미널]]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속초시외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속초(강릉 무정차)}}}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명동([[속초시외버스터미널]]) || ||<|2> 속초행 || 첫차 || 08:40 ||<|2> 부산행 || 첫차 || || || 막차 || || 막차 ||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운행횟수 || 1일 1회 || ||<-2> 상세 노선 ||<-4>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노포IC|{{{#bbb 노포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건천IC|{{{#bbb 건천IC}}}]] - [[20번 국도|{{{#bbb 20번 국도}}}]]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28번 국도|{{{#bbb 28번 국도}}}]]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근덕IC|{{{#bbb 근덕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강릉IC|{{{#bbb 강릉IC}}}]]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시외버스터미널]] - [[35번 국도|{{{#bbb 35번 국도}}}]] - [[강릉IC|{{{#bbb 강릉IC}}}]] - [[동해고속도로|{{{#bbb 동해고속도로}}}]] - [[하조대IC|{{{#bbb 하조대IC}}}]]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속초고속버스터미널]][*하차만 가능] - [[7번 국도|{{{#bbb 7번 국도}}}]] - [[속초시외버스터미널]] || == 개요 == 부산종합터미널에서 포항터미널과 울진, 삼척, 동해를 거쳐 강릉과 속초, 거진을 잇는 노선. == 역사 == == 특징 == * 포항부터 거진까지 동해안 주변을 따라서 가기 때문에 날씨가 매우 좋으면 동해안을 볼 수 있다. * 장거리 노선이라서 그런지 중간에 칠보산휴게소에서 쉬다 간다. * 과거에는 41, 45 인승 일반 차량이나 31인승 준우등 차량이 운행했으며, 금아여행 한정으로 스페셜 리무진이라 해서 우등석과 일반석이 절반씩 편성된 차량 등 다양한 차량들이 운행했으나 현재는 동해선 개통을 의식했는지 시외우등 할증 없이 전회 28인승 우등 차량을 투입해 운행중이다. * 거진발 07:40분 차량이 포항을 미경유하지만 심야노선일때 포항을 경유하기때문에 35번국도를 탄다음 경주ic에서 경부고속도로를 탄다.즉 남포항ic쪽으로 가지 않으니 주의. * [[버스 동호인]]들의 7번 국도 시외버스 시승은 보통 이 노선이다. 울산발 / 동대구발은 거의 목격되지 않는다. * 부산발 속초행 08:40분 차량은 강릉시외터미널만 경유한다. * 모든 속초행 노선은 완행, 무정차 가리지 않고 속초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하차만 가능하다. 강릉행 무정차를 이용할려면, 속초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하여 탑승하거나 시간 맞추어서 물치항 근처에서 탑승해야 한다. * 만약 서부산이나 해운대에서 출발하는 경우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 [[시외버스 해운대-포항]]을 타고 포항에서 내려 포항에서 동해안직행 버스로 갈아타는 것이 낫다. * 부산발 심야 차량은 기사한테 미리 말하면 양양, 낙산, 설악산입구, 속초고속터미널에 내릴 수 있다. * 하절기에 부산에서 출발하는 심야버스를 이용하여 [[속초고속버스터미널]]에 내리면, 바로 일출을 볼 수 있다. 터미널과 해변이 도보로 5분 거리에 불과하기 때문. 일출 외에도 단풍 시즌 [[설악산]] 등산객 수요, 적절한 시간대 등으로 심야버스의 인기가 꽤 높은 편이다.[* 이를 본 서부경남 주민들은 진주/통영발 원주, 영동고속도로 경유 동해안 북행노선 개설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진주보다 더 먼 전주, 광주광역시발 강원도행 노선이 잘 다니는 걸로 보아 거리가 먼 것은 표면적인 이유고, [[부산교통]] 등 관련 버스업체간 이해관계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서부경남 주민들이 강원도 동해안으로 가려고 하는 경우 서울이나 부산, 포항에서 환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부경남과 강원도 간 교류가 적은 건 부산과의 교류와 비교했을 때 인프라 유무가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사례로 볼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강릉시의 시외버스]][[분류:속초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