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지 관련 문서)] [[파일:Sitiveni Rabuka.png]] [[영어]], [[피지어]], [[피지 힌디어]]: Sitiveni Ligamamada Rabuka 1948년 9월 13일 ~ [목차] == 개요 == [[피지]]의 전직 [[독재자]]이자 현직 [[총리]][* 다만 [[1987년]] 1차 집권 당시에 [[1987년 피지 쿠데타|쿠데타]]라는 명백하게 비민주적인 수단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2022년]]에 재집권할 때는 [[총선]]에서 승리하여 민주적으로 집권했기에 지금 피지를 독재 국가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 생애 == 1948년 피지 바누아레부 섬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교장이 되기도 했다. 1974년 [[커먼웰스 게임]]에 참여해서 피지를 대표하는 선수가 되기도 했다. 동시에 1973년 [[뉴질랜드]] 육군 부대에 입대하기도 했으며, 1982년 [[레바논 내전]] 시기 [[레바논]]에서 평화유지 다국적군으로 참전했고 이후 1987년 [[이집트]] [[시나이 반도]]에도 참전하여 경력을 쌓기도 했다. [[1987년]] 피지에서 [[인도계 피지인]] 중심의 피지 노동당-[[국민연합당(피지)|국민연합당]] 연대가 선거에서 승리하자, 이에 불만을 가진 시티베니 람부카는 [[1987년 피지 쿠데타|쿠데타]]를 일으켜서 [[엘리자베스 2세|영국 여왕]] 중심의 정치 체제를 무너뜨리고 권위주의 공화제를 세운데다가 [[영연방]] 탈퇴했다. 군정 통치를 하다가 [[1992년]]부터 선거를 통해 집권하며 총리직을 유지했고, [[1999년]] 총선에서 인도계 피지인의 지지를 받는 피지 노동당이 승리하자 5월 19일에 물러났다가, [[2022년]] 총선에서 그가 이끄는 인민동맹이 승리하여 '''23년만에''' 총리직에 복귀했다. == 여담 == 1995년 8월 31일 한국을 방문하여 [[김영삼]] 전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12253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942166?sid=100|#]] 피지 원주민들 입장에서는 인도계 정권을 전복시켰다보니 반쯤 영웅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정작 람부카는 쿠데타를 일으킨 걸 후회한다고 언급하기도 했으며 2006년에는 쿠데타 일으킨 것에 대해 사과하기도 하며 무릎 수술을 받으려고 인도를 방문하기도 했었다. [[https://www.rnz.co.nz/international/pacific-news/161122/fiji's-svt-party-says-office-break-in-was-political|#]] [[분류:1948년 출생]][[분류:피지 총리]][[분류:오세아니아의 독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