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식스토 로드리게즈}}}[br]Sixto Diaz Rodriguez'''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washingtonpost.com/146575486.jpg|width=100%]]}}} || ||<|2> '''출생''' ||[[1942년]] [[7월 10일]] || ||[[미국]]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 || || '''사망''' ||[[2023년]] [[8월 8일]] (향년 8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가수 || || '''데뷔''' ||[[197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슈가맨으로 유명한 [[미국]]의 가수이다. == 생애 == 1942년 7월 10일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의 [[히스패닉]] 가정에서 여섯 번째로 태어났다. 이름이 식스토인 이유도 그 때문. [[웨인 주립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한 뒤에 임금 노동자로 생활하면서 술집에서 노래를 하던 그를 모타운 산하의 서섹스 레코드에서 발굴하여[* 부다 레코드를 만든 업계 큰 손 클레런스 아벤트가 설립한 레이블. 소속 가수들이 나름 쟁쟁했고 이 중 빌 위더스가 히트를 치긴 했지만, 별로 빛을 보지 못한 채 해산했다.] 가수로 데뷔한다. [[파일:external/sugarman.org/rodriguez_march_1970.jpg|width=200]] 많은 기대를 받은 그의 앨범은 당대의 유명 프로듀서에 의해 제작되면서 1집 [[Cold Fact]](1970)와 2집 [[Coming from Reality]](1971)를 발매했다. 하지만 1집 Cold Fact의 미국 내 매상 매수는 단 여섯장에 그쳤는데, 그마저도 3~4장은 가족과 프로듀서가 산 것이다.[* <서칭 포 슈가맨>에서 서섹스 레코드 사장이 말했다. 후술하겠지만 사장은 남아공 레코드사가 지불한 로열티의 행방을 묻자 급발진하며 증거 있냐고 되묻는 등 뭔가 켕기는 구석이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 단 여섯장만 팔렸다고 한 말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음반을 제작한 프로듀서는 결과에 안타까워 했다. 노래는 완벽했는데, 무엇이 부족한 것인지 알 수 없었다고. 결국 로드리게즈는 음반사와의 계약이 해지되었고 그렇게 잊힌 가수가 되면서 사라지는 듯 했다. === 남아공에서의 인기 === [[파일:Rodrigu_ColdFac_CoverAr_3000DPI300RGB1000262133_1000x.jpg|width=500]] 몇 안되는 [[Cold Fact]] 앨범 구매자 중 한 명인 미국인 여성이 남아공에 남자친구를 만나러 갈 때 가져가면서, 남아공에 그의 노래가 전파된다. 당시 [[아파르트헤이트]]로 세계로부터 고립되어 내외부적으로 암울한 상황인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공]]에서 Sugar Man의 가사는 큰 반향을 일으켜 시대를 이겨내는 민중들의 주제가가 된다. 남아공에서는 [[롤링 스톤즈]]를 능가하는 폭발적 인기와 더불어 로드리게즈란 가수에 대한 호기심도 커져갔는데, 워낙 알려진 것이 없었기에 공연 중 무대 위에서 권총 자살을 했다는 둥, 분신자살을 했다는 둥 소문만 무성히 퍼져나갔다. === 영화 서칭 포 슈가맨 === [youtube(R2NYBf9sFLo)] [youtube(oloIOFvqr68)] 이후 몇 십년의 시간이 흐르자 그는 실체가 없는 전설 속 인물이 되어 모두가 당연히 세상을 떠난 인물이라 생각했다. [[지미 핸드릭스]]가 고인인 게 당연하듯이 로드리게즈가 세상을 떠난 것이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비슷한 경우로는 영화 [[시네마 천국]]의 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가 있다. 주세페는 21세기 들어서도 현역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마이클 베이]]보다 고작 열 살 정도 더 많고 [[스티븐 스필버그]]보다 열 살 더 젊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이 여정은 '그는 어디있는가?'가 아니라 '그는 어떻게 죽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했다. 두 명의 열성팬인 중고 음악상 스테판 시거맨과 음악 평론가 크레이그 바솔로뮤가 의기투합해 로드리게즈의 흔적을 찾아나서기로 하는데 단서가 거의 없어 매우 고생했다.[* 바솔로뮤는 이제 여기서 그만 두는 게 좋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들에게 남은 유일한 단서는 로드리게즈가 쓴 노래 가사인데, 노래 'Inner City Blues'의 가사 "Meta girl from '''Dearborn''' Early six o'clock this morning"에서 '디어본'이라는 지명이 반전의 계기가 되었다. 디어본은 [[디트로이트]] 내의 지명인데, 이것이 꼬리의 꼬리를 물어 [[Cold Fact]] 앨범의 프로듀서 마이크 티어도어로 이어진다.[* 디어본 → 디트로이트 → 모타운의 고향 → [[마빈 게이]], [[스티비 원더]] → 마이크 티어도어.] 바솔로뮤는 티어도어에게 전화를 걸어 (로드리게즈에 관한 수많은 질문들과 함께) 그가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해 묻자 돌아온 답변은 당연히 "...로드리게즈 잘 살아있는데?" 이에 죽은 사람을 찾기 위한 여정은 결국 산 사람을 발견함으로 끝났으며 바솔로뮤는 이 여정을 '로드리게즈를 발견! 죽은 가수를 찾은 지 3년'이라는 기사로 마무리한다. 하지만 이는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었다. 기사는 인터넷을 통해 대서양을 건너 로드리게즈의 장녀 에바에게 우연히 전해졌고, 시거맨, 바솔로뮤에게 로드리게즈의 연락이 직접 닿게 된 것이다. 이후 로드리게즈는 살아있는 전설로 남아공을 방문, 1998년 3월 8일 콘서트를 열어 새로운 가수 인생을 시작한다. 위의 과정을 그린 음악 다큐멘터리 영화가 바로 서칭 포 슈가맨(Searching for Sugar Man)이다. 스웨덴, 영국 합작 영화로 말릭 벤젤룰[* 2014년 5월 13일에 세상을 떠났다.]이 각본과 연출을 모두 맡았다. 평단에서의 반응은 매우 호의적으로, 2012년에 각종 상을 휩쓸고 2013년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장편 다큐멘터리상]]까지 수상했다. 로드리게즈는 이를 계기로 2013년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에도 참석했다. 2023년 8월 로드리게즈의 사망 후, 한국에서 2023년 10월 11일 개봉 11주년을 맞아 재개봉했다. JTBC 음악 예능 프로그램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슈가맨]] 또한 이 영화에서 모티브와 이름을 따온 것이다. === 호주에서의 인기 === 사실 로드리게즈는 [[1970년대]] 말(1979년 경 라이브 앨범을 유튜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호주에서도 남아공에서와 비슷한 과정을 거쳐 잠시 인기를 얻었다. 호주 역시 [[백호주의]] 등으로 당시 굉장히 보수적인 환경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Holger Brockman이라는 호주의 라디오 DJ가 시드니에서 그의 노래 Sugar Man을 자주 틀었다고 하며, 이후 투어도 두 번이나 했으며 첫 공연은 무려 1만 5천석 규모로 진행했다고 한다. 호주 투어 당시 10대인 두 딸과 함께 여행하는 마음으로 갔는데, 로커 [[로드 스튜어트]] 급의 대우를 받았으며 호주의 음악 마니아들 사이에선 [[브루스 스프링스틴]]이나 [[빌리 조엘]]과 함께 필청해야 할 가수로 여겨졌다고 한다. 영화 '서칭 포 슈가맨'을 보면 로드리게즈가 굉장히 담담하게 남아공 공연을 치르는 것도 이러한 이전의 일화와 연관이 있어 보인다. 지금도 로드리게즈는 인생에서 가장 성공했다고 느낀 순간으로 남아공이 아닌[* 남아공 투어 첫 공연은 약 2만 석이었다고 한다.] 호주 공연을 꼽는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작품이 호주에서의 그의 위상을 생략한 것과 관련해 만들어진 신화라고 평가 절하하였다.[* 다만 이 다큐멘터리의 주 무대인 남아공에서는 말 그대로 신화나 다름없었다. 정부의 검열 때문에 로드리게즈가 호주에서 성공했다는 것을 아무도 몰랐기 때문.] === 이후 활동 === 호주와 남아공에서의 인기로 로드리게즈가 벌어들인 돈은 어마어마한 수준이라 정기적인 콘서트 수입만으로도 자체 충당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실 뮤지션 수입 중에서 공연이 차지하는 비중은 음반 이상이다. [[소닉 유스]]가 음반은 대단히 많이 팔리지 않음에도 오랫동안 활동할 수 있었던 것도 공연 수익이 받쳐준 덕분이다.] 거기에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유럽권에서도 로드리게즈의 인기가 올라갔고, 로드리게즈를 다룬 다큐멘터리 '서칭 포 슈가맨'이 오스카 수상을 하면서 로드리게즈의 가치는 그야말로 천정부지에 이르게 되었다. 로드리게즈가 북미권에서 작게 한 콘서트들만 봐도 몇천석 규모에 공연비도 많이 받았다고 하며 2013년에 진행한 남아공 투어만으로 70만 달러를 벌었다고 한다. [[http://www.rollingstone.com/music/news/rodriguez-10-things-you-dont-know-about-the-searching-for-sugar-man-star-20130328|#]]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두 번째 앨범 [[Coming from Reality]](1971)의 커버 사진을 찍은 디트로이트 시내의 빈민가에 자리잡은 허름한 집에서 컴퓨터나 TV도 없이 살았는데 [[https://www.google.com/maps/place/4820+Avery+St,+Detroit,+MI+48208+%EB%AF%B8%EA%B5%AD/@42.3507323,-83.0826379,17z/data=!3m1!4b1!4m5!3m4!1s0x8824cd57bf66f3e3:0xca371ac20c15a870!8m2!3d42.3507284!4d-83.0804492|4820 Avery St, Detroit, MI 48208]] 로드리게즈의 말로는 입을 것, 먹을 것, 잘 곳 있으면 더 필요한 것이 없다고 발언했다. 수입 대다수를 성공하기 전에 신세진 친구들이나 가족들에게 줬는데, 자신을 위해 쓰라고 해도 핸드폰 하나 안 샀다고 한다. 다큐멘터리가 오스카에서 수상할 당시, 수상을 한 것도 모르고 자다 딸에게 전화를 받고 일어나서야 알았다고 할 정도다. 생전 로드리게즈의 공연 일정이 빡빡해, 오랜 육체 노동과 건강 악화에 노화로 가족들이 많이 걱정한다고 한다. === 사망 === [[2023년]] 2월부터 앓은 [[뇌졸중]]으로 인해 [[8월 8일]] 향년 81세로 사망했다. == 음반 == * 1집 [[Cold Fact]] (1970) * 2집 [[Coming from Reality]] (1971) 정규 앨범은 단 두 장으로 남아공에는 LP와 CD 등을 거쳐 40년간 국민 가요로 꾸준히 팔렸다. 그의 앨범은 수십만장 이상이 팔렸다고는 하나[* 100만장 이상으로 보기도 한다.] 판매량은 단지 추정만 될 뿐이다. 이는 음반 대부분이 불법 복사본이기 때문으로 로드리게즈는 음반 판매로 인한 어떠한 금전적 이득도 볼 수 없었다. 거기다 남아공 내의 몇몇 메이저 레코드사가 로열티를 지불하고 정식 음반을 발매했는데, 당시 서섹스 레코드 사장 클라렌스 아벤트는 로열티를 지불받았음을 부정했다.[* 영화 '서칭 포 슈가맨'에서 클라렌스 아벤트와 인터뷰하는 장면이 있는데, 로열티의 행방에 대해 묻자마자 엄청나게 정색하는 아벤트를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영국 판권은 라이트 인 더 애틱이라는 재발매 전문 레이블에 있으며, 2008~09년에 재발매했다. 2집의 실패로 물거품이 된 3집 작업을 끝내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 여담 == 2018년 투어를 마지막으로 음악 활동을 그만 뒀으며, 오랫동안 앓은 [[녹내장]]으로 인해 거의 시력을 잃었다고 한다. [[https://www.lemonde.fr/en/m-le-mag/article/2022/08/29/sitting-down-with-sixto-rodriguez-a-musician-with-a-bittersweet-life_5995106_117.html|관련 기사]] 의외로 로드리게즈처럼 한 두 장 앨범을 낸 뒤 실패해 사라졌다 재발굴되는 뮤지션들이 많다. [[주디 씰]]이나 바시티 버넌이 대표적. 다만 이 둘은 비교적 조용하게[* 주디 씰은 은퇴 후 사망했고, 바시티 버넌은 로드리게즈 같은 인기를 누린 가수는 아니었다.] 평단과 후배 뮤지션에게 재발굴된 반면 로드리게즈는 워낙 극적인데다 이를 다룬 다큐멘터리가 히트해 유명해진 케이스다. [[분류:미국 남가수]][[분류:1942년 출생]][[분류:1970년 데뷔]][[분류:2023년 사망]][[분류:디트로이트 출신 인물]][[분류:뇌졸중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