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 인도 공화국 특명전권대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주인도대사|{{{#ffffff 제16대 주 인도 공화국 특명전권대사}}}]][br]{{{#ffffff {{{+1 신봉길}}}[br]申鳳吉 | Shin Bong-k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봉길.jpg|width=100%]]}}} || ||<|2> '''출생''' ||[[1955년]] [[8월 25일]] ([age(1955-08-25)]세) || ||[[의성군|경상북도 의성군]]|| || '''본관''' ||[[아주 신씨]]|| || '''현직'''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 ||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외교학]] / [[학사]])}}}[br][[북한대학원대학교]] {{{-2 (북한학 / [[석사]] · [[박사]])}}} || || '''약력''' ||제16대 [[주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br][[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객원교수[br][[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br][[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한중일 협력 사무국 (TCS)]] 사무총장[br]제12대 주 요르단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br][[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br][[외교통상부]] 공보관 (대변인)[br]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 특보[br]주 샌프란시스코 영사관 부총영사[br]제12회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외무고시]] 합격[br]서울대학교 대학신문 학생 편집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인도대사]]를 지낸 전직 [[외교관]] 출신으로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중이다. == 생애 == 1955년 [[의성군|경북 의성군]] 금성면에서 태어났다. [[대구중학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제12회 외무고시(1978)에 합격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주유엔대표부]]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중국]], [[일본]], [[인도]], [[미얀마]] 등 아시아권에서 오래 근무했다. 주중공사, 주요르단대사, [[주인도대사|주인도 특임대사]]를 지냈다. 2004년 이라크 [[김선일(1970)|김선일]] 사건 당시 [[외교통상부]] 공보관 (대변인)으로서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기도 했다. 북한 경수로원전지원기획단 특보로 2002년 북한을 여섯번 방문한 경험은 남북한 통합과 통일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한중일 협력 사무국 (TCS)]] 초대 사무총장,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IFANS) 소장 등 다양한 경험을 거치면서 동북아문제에 깊이 천착했다. 공직 재직 중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과 [[한림대학교]]에서 한반도국제정치론, 중국외교론, 북한개론 등을 강의했다. '한중일협력의 진화'(2015), '시간이 멈춘 땅 미얀마'(1992) 등의 저서가 있다. 대학재학시절 학교 신문인 '대학신문'의 학생편집장을 지낸 것이 자랑스럽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자외교관(scholar diplomat)으로서의 삶을 꿈꾸고 있다.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북한대학원대학]] 석좌교수로서 [[중앙일보]]에 정기적으로 칼럼 ( '한반도 평화워치')을 기고하고 있다. == 여담 == ##편집지침상 문단명으로는 '트리비아' 등보다 '여담', '기타' 사용을 우선합니다.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 [[분류:주인도대사]][[분류:대한민국의 외교관]][[분류:1955년 출생]][[분류:의성군 출신 인물]][[분류:아주 신씨]][[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신]][[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