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비아파트 시리즈 작품 일람)] ||<-2>
{{{+1 '''신비아파트 극장판 차원도깨비와 7개의 세계 '''}}} (2022)[br]Shinbi's Haunted House: The Dimension Ghost and the Seven Worl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개의세계메인포스터.png|width=100%]]}}} || ||<-2> {{{#000000,#e5e5e5 {{{#!wiki style="m argin: 0px -10px" {{{#!folding 작품 상세정보 ▼ [[파일:신앞7개의세계티저.png|width=100%]]{{{#000000 티저 포스터}}}}}}}}}}}} || || '''{{{#000000,#dddddd 장르}}}''' ||[[애니메이션]], [[판타지]], [[모험]], [[가족]] || || '''{{{#000000,#dddddd 책임 프로듀서}}}''' ||이종혁 || || '''{{{#000000,#dddddd 프로듀서}}}''' ||김지현, 곽지원, 노유라, 고영완 || || '''{{{#000000,#dddddd 감독}}}''' ||[[변영규]] || || '''{{{#000000,#dddddd 각본}}}''' ||도경민, 고영완 || || '''{{{#000000,#dddddd 주연}}}''' ||[[김영은(성우)|김영은]], [[김채하]], [[신용우]], [[조현정(성우)|조현정]], [[양정화]], [[강새봄]] || || '''{{{#000000,#dddddd 음악}}}''' ||강민국((주)ELE) || || '''{{{#000000,#e5e5e5 엔딩곡}}}''' ||[[J.Fla]] - [[https://youtu.be/ulIPQ2R0prY|차원을 넘어]] || || '''{{{#000000,#dddddd 기획 / 제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파일:CJ ENM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스튜디오 바주카]] || || '''{{{#000000,#dddddd 제작사}}}''' ||[[http://studioeek.com/|스튜디오 이크]][* 제작사 [[https://t.co/il4d7yBbZ4?amp=1|유튜브]] | [[https://t.co/zgjlnNoGMf?amp=1|페이스북]] | [[https://twitter.com/studio_eek|트위터]]] | [[레드독컬처하우스]] || || '''{{{#000000,#dddddd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파일:CJ ENM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000000,#dddddd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14일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103분(1시간 43분)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dddddd 상영 등급}}}]]'''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5]] {{{#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에 개봉한 한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세 번째 [[극장판]]. == 개봉 전 정보 == * 2019년 10월 초 [[https://www.youtube.com/watch?v=owW2KvSJMxQ|2021년에 극장판 3기를 개봉할 것 이라고 발표했다.]] * 2020년 10월 6일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2107544436|이종혁 PD 인터뷰에서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어둠의 퇴마사|TVA 4기 파트 1]] 종영 후 개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2020년 11월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korea_ani&no=79020|토이매거진에서]]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어둠의 퇴마사|TVA 4기]], [[신비아파트 특별판: 빛의 뱀파이어와 어둠의 아이|OVA]]와 함께 2021년 공개 예정이라는 사실이 나왔다. * 2021년 1월 16일,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780073|신비아파트 극장판이 2021년에 런칭한다고]] 나왔다. * 2021년 2월 1일, 2021년 하반기 개봉 목표로 극장판을 작업한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 2021년 10월 29일, 공식앱 이메일이 극장판은 올해(2021년) 개봉 예정에 없다고 답변했다. [[파일:신비아파트극장판연기.png]] * 2021년 11월 8일, 극장판 개봉이 2022년 어린이날로 밀렸다고 한다. * 2022년 3월 6일, [[https://m.dcinside.com/board/korea_ani/87756?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A%B7%B9%EC%9E%A5%ED%8C%90|다시 개봉이 2022년 여름방학 혹은 겨울방학 시즌으로 밀렸다.]] * 2022년 3월 19일, 오미크론 변이 문제 때문에 [[https://m.dcinside.com/board/korea_ani/87923|개봉이 2022년 연말로 밀린 게 사실상 확정되었다.]] * 2022년 7월 27일, 약 2초 가량의 [[https://www.instagram.com/p/CgfxnzIpNlC/?igshid=YmMyMTA2M2Y=|티저 영상의 일부]]가 공개되었다. * 2022년 7월 28일,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TVA 4기]]의 최종화 본방송 종료 후 티저 예고편이 재생되었다. 30일 최종화 오전 10시 54분 티저 예고편이 다시 방영되었다. 이후 공식 채널에는 8월 4일 [[https://youtu.be/PEJxwrnMb5o|업로드]]되었다. * 2022년 10월 21일, [[영상물등급위원회]]에 신청된 심의 정보와 제목이 유출되었다. 제목은 '''신비아파트 극장판 차원도깨비와 7개의 세계'''. [[https://twitter.com/only_lion_/status/1583388819109253121?t=vY8w1Zjnnu1IEbacvkYKcg&s=19|#]] * 2022년 11월 4일, 영등위에 신청된 예고편 심의 정보가 확인됐다. [[https://m.dcinside.com/board/korea_ani/91225?headid=&recommend=&s_type=name&serval=%EB%82%98%ED%96%89|#]] * 2022년 11월 10일, 메인 예고편과 티저 포스터가 공개됐다. * 2022년 11월 16일, 메인 포스터와 개봉일, 상영 시간, 관람 등급이 공개됐다. * 2022년 11월 21일, 스틸컷 12장이 공개되었다. * 2022년 11월 24일, 극장판 세계관을 설명하는 PV가 올라왔다. * 2022년 11월 30일, 모험 스틸컷 7장이 공개되었다. * 2022년 12월 1일, 캐릭터 PV가 올라왔다. * 2022년 12월 3일 오전 9시 [[투니버스]]에서 10분 미리보기 미니무비를 방영한다. 이후 4일 낮 12시 20분, 5일 19시 50분에 재방송 예정. * 2022년 12월 5일, [[CGV]] [[카카오쇼핑]]에서 [[https://shoppinglive.kakao.com/live/5718|극장판 티켓 관련 판매 라이브]]를 열었는데 '''여기서 핵심 스포일러가 대부분 공개되었다.''' 영상의 35분부터 43분까지 나온다. * 2022년 12월 7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최초 시사회가 열렸다. * 2022년 12월 8일 캐릭터별 포스터가 공개됐다. * 2022년 12월 10일과 11일에 메가박스에서 유료 시사회를 연다. * 2022년 12월 12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코스튬 시사회를 열었다. === 예고편 === || [youtube(PEJxwrnMb5o)] || || '''티저 PV (1)''' || || [youtube(JITQrfRTk4o)] || || '''티저 PV (2)''' || || [youtube(1OR9LkfOxv8)] || || '''메인 PV''' || || [youtube(/hgys2vZd_MM)] || || '''세계관 설명 PV''' || || [youtube(xAVNifZyLak)] || || '''[[민쩌미]] 콜라보 PV''' || || [youtube(SDinwwfw_30)] || || '''차원이 다른 캐릭터 영상 PV''' || == 시놉시스 == > '''“열려라! 차원의 문!”''' > > 평화롭던 7개의 평행 세계가 새로운 악당 ‘[[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어나더]]’의 등장으로 위험에 처했다.  > 차원도깨비 ‘[[키비(신비아파트 시리즈)|키비]]’는 평행 세계의 질서를 거스르는 [[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어나더]]를 막기 위해  > ‘[[구하리|하리]]’와 ‘[[신비(신비아파트 시리즈)|신비]]’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 ‘[[키비(신비아파트 시리즈)|키비]]’로 인해 또 다른 7개의 세계가 존재하고 > 그곳에는 자신과 똑같은 외모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구하리|하리]]’. > 갑자기 사라진 동생 '[[구두리|두리]]'와 '[[금비(신비아파트 시리즈)|금비]]'도 '[[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어나더]]'의 세계에 떨어졌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 > 동생을 찾기 위해! 평행세계를 구하기 위해! > [[구하리|하리]]는 마지막 희망의 열쇠가 있는 제 7세계로 모험을 떠난다! == 등장인물 == === 주역 === [[파일:차원도깨비하리.png|width=400]] * 현재(제 6세계)의 [[구하리]] * 각 세계의 [[구하리|구하리]][* 티저 포스터에서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대로 제 5세계-제 2세계-제 1세계-제 7세계-제 4세계-제 3세계.] * [[제 1세계의 구하리]][* 티저에 이 세계 구하리만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마지막에 중요한 역할을 맡아줄 인물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 [[제 2세계의 구하리]] * [[제 3세계의 구하리]] * [[제 4세계의 구하리]] * [[제 5세계의 구하리]] * '''[[제 7세계의 구하리]]''' [[파일:차원도깨비두리.png|width=400]] * 현재(제 6세계)의 [[구두리]] * 각 세계의 구두리 * [[제 1세계의 구두리]] * [[제 2세계의 구두리]] * [[제 3세계의 구두리]] * [[제 4세계의 구두리]] * [[제 5세계의 구두리]] * '''[[제 7세계의 구두리]]''' [[파일:차원도깨비강림.png|width=400]] * 현재(제 6세계)의 [[최강림]] [[파일:제7세계강림.png]] * '''[[제 7세계의 최강림]]'''[* 다른 세계의 최강림은 메인, 티저에 나오지 않은 점을 보아 제 6세계 강림을 제외한 제 7세계 최강림 1명만 등장할 것으로 추정.] 허당끼 넘치는 7세계 하리의 사랑꾼 남자친구. 경호원 아르바이트 중인 [[퇴마사(신비아파트 시리즈)|퇴마사]]로 자신감 넘치고 가벼운 성격이다. [[창공의 퇴마검]]을 분리하여 [[이도류]]를 쓴다. 성격이 마치 [[쿠로바 카이토|이 캐릭터]]와 닮았다.[* 더빙판 성우도 같다. 일각에서는 패션이 [[마츠다 진페이|이 캐릭터]]가 생각난다고 한다. 참고로 이 캐릭터의 성우는 [[귀도 현]]을 맡고 있다.] MBTI는 ENFP. [[파일:차원도깨비신비.png|width=400]] * 현재(제 6세계)의 [[신비(신비아파트 시리즈)|신비]] [[파일:제7세계신비.png]] * '''[[제 7세계의 신비]]''' SB그룹 자제들인 하리와 두리를 모시는 집사 도깨비. 예의 바른 말투를 쓴다. [[파일:차원도깨비금비.png|width=400]] * 현재(제 6세계)의 [[금비(신비아파트 시리즈)|금비]] [[파일:고대 세계의 금비.jpg]] * '''[[제 1세계의 금비]],''' 예언을 읽는 능력을 가진 도깨비. 과거 제 1세계의 하리, 두리, 어나더의 동료였다. [[파일:차원도깨비키비.png|width=400]] * [[키비(신비아파트 시리즈)|키비]] * [[코비(신비아파트 시리즈)|코비]] * 각 세계의 [[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어나더]] * [[제 2세계의 어나더]] * [[제 3세계의 어나더]] * [[제 4세계의 어나더]] [[파일:의문남자1.png]] * '''[[제 5세계의 어나더]]''' 프롤로그에서 [[대쉬(신비아파트 시리즈)|대쉬]]에게 납치된다. * '''현재(제 6세계)의 어나더''' 하리와 두리의 단골 분식집인 '남다른분식집' 주인 아저씨. 제 1세계 어나더의 명령을 받은 데드윙과 대쉬에게 납치되어 제 1세계 신전으로 끌려 가는데, 이에 수상쩍음을 느낀 두리와 금비가 그들을 따라가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파일:의문의남자2.png]] * '''[[제 7세계의 어나더]]''' 제 7세계의 인기 연예인으로 이명은 '''프린스 어나더'''. 제 7세계 리온을 고용한 사람이기도 하다. 7개의 세계의 어나더들 중 유일하게 제 1세계 어나더에게 납치되지 않았으며, 하리 일행은 그를 데드윙과 대쉬로부터 지켜야 한다. MBTI는 ESFP. * '''[[제 7세계의 리온 레이몬드]]''' 최연소 [[퇴마사(신비아파트 시리즈)|퇴마사]]이자 제 7세계의 어나더(프린스 어나더)의 경호원. 7세계 하리, 신비와 아는 사이로 6세계 리온과는 달리 차갑고 진지한 성격이다. MBTI는 ISTP. === 단역 === * || '''제 7세계의 [[이가은(신비아파트 시리즈)|이가은]]''' || 프린스 팬클럽 회장이다. * '''제 7세계의 [[김현우(신비아파트 시리즈)|김현우]]''' 프린스 팬카페 부회장이다. * '''제 7세계의 [[구인남]]''' 재벌회장이다. === 귀신 === || [[파일: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jpg|width=300]] || || '''제 1세계의 [[어나더(신비아파트 시리즈)|어나더]]''' || || [[파일:데드윙(신비아파트 시리즈).jpg|width=300]] || || '''[[데드윙(신비아파트 시리즈)|데드윙]]''' || || [[파일:20220731_121850.jpg|width=300]] || || '''[[대쉬(신비아파트 시리즈)|대쉬]]''' || * '''액괴 귀신''' 초반부 강림과 싸우는 귀신. 특수능력:죽어도 다시 부활할수있다 필살기:손으로 쭉쭉 늘어날수있다 * '''의문의 존재''' [[파일:뼈다귀 귀신.png]] 어나더의 신전에서 대쉬와 데드윙을 돕는 귀신. [[키비(신비아파트 시리즈)|키비]]와 마찬가지로 차원의 문을 열 수 있다. 그리고 지팡이로 차원문 같은 열러서 돌같은것을 떨어지게 할수있다 {{{#!folding 스포일러 어나더에 의해 세뇌된 [[키비(신비아파트 시리즈)|키비]]의 남동생 [[코비(신비아파트 시리즈)|코비]]였다.}}} *||'''[[인면조(신비아파트 시리즈)|인면조]]'''|| [[파일:반인반조 귀신.png]] 데드윙과 대쉬의 부하들. 데드윙의 깃털로부터 탄생한다. ==== 소환 귀신 ==== || [[파일:엄마도_그리웠던_엄마의_품_feat._꽃길_55_0028682.jpg|width=300]] || || '''[[마고할망]][* 7세계 하리가 소환한다.]''' || || [[파일:입질쟁이의_공격에_리온이가.._0008212.jpg|width=300]] || || '''[[입질쟁이]][* 7세계 두리가 소환한다.]''' || ==== 합체 귀신 ==== || [[파일:F79E7B70-EDC1-4823-B838-107EFBF2E1EB.png|width=300]] || || '''[[자간시]]''' || == OST == || [youtube(oAsttpVpQyQ)] || || '''가수 인터뷰''' || || [youtube(ulIPQ2R0prY)] || || '''뮤직비디오''' || || [youtube(w_x5kCw44hQ)] || || '''Full. ver''' || || 자 이제 차원을 넘어 또 다른 우릴 만나자 (let’s find a way) 너무 낯설은 공간들 우린 용기를 내야 해 다시 함께 달려가자 Wherever we are Ah - Wherever we are Ah - 끝없는 모험들 속에 지쳐 쓰러져도 내 곁에 너만 함께있다면 어둠이 너와 나의 길을 갈라놓아도 난 너를 위해 차원을 넘어 찾아갈거야 두근두근 새로운 문이 열릴 때 성큼성큼 한 걸음 더 다가갈게 (다가가줄게) 우리의 꿈을 모아서 (수많은 시련 속에) 항상 너의 곁을 지켜줄게 어둠을 비춰줄게 너는 나의 소중한 빛 Ah Follow me follow me just follow me Follow me follow me just follow me Follow me follow me just follow me 소중해 사랑해 끝없는 모험들 속에 지쳐 쓰러져도 내 곁에 너만 함께있다면 어둠이 너와 나의 길을 갈라놓아도 난 너를 위해 차원을 넘어 찾아갈거야 (yeah-) 두렵지 않아 ha- 어둠이 너와 나의 길을 갈라놓아도 난 너를 위해 차원을 넘어 찾아갈거야 (yeah-) Let’s run again - 우리 어디에 있든 함께 떠나자 (yeah) || * '''차원을 넘어''' - [[J.Fla]] * 작사: 강민형, 박서현 (Psycho Tension), 휘건 * 작곡: 강민국, 박서현 (Psycho Tension) * 편곡: 강민국, 국동호, Mollo (Psycho Tension) === 삽입곡 === * '''CASH''' - * 작사, 작곡, 편곡: 이상진 프린스가 콘서트장에서 부르는 노래. 하리 일행과 데드윙, 대쉬의 해안도로 추격씬 배경 음악으로 깔렸다. == 설정 == * '''기본 설정'''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비아파트 시리즈/설정)] * '''차원도깨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깨비(신비아파트 시리즈), 앵커=차원도깨비)] * '''세계수, 세계수의 정원''' 이 우주에는 총 7개의 평행세계가 있고, 세계의 중심에 세계수가 있다. 세계수의 정원을 지키는 것은 [[도깨비(신비아파트 시리즈)#차원도깨비|차원도깨비]]. 평행세계의 질서가 어지럽혀 지면, 세계수가 말라 죽고 평행세계는 위험해진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hgys2vZd_MM|참고영상]]]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8XaGx,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6654,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23799, expert=6.00, audience=9.05, user=9.04)]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5377, user=8.3)] [include(틀:평가/CGV, code=86670, egg=99)]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9300, user=9.8)]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095200, user=9.6)]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1051393-7,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RogeEbet.com,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크런치롤,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 개봉 전 === 정식 제목이 공개됐을 때 팬덤 내에서는 극장판 3기에서 메인으로 나올 거라고 예상됐던 [[물도깨비]][*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바로 전작]]에서 언급됐으며, 공식 홍보 기사에서도 '''앞으로 나올 도깨비 중 하나라고''' 힌트를 던졌다.]가 아닌 생뚱맞은 다른 도깨비(차원도깨비)가 나오는 것에 불만을 품는 의견이 있다. [[멀티버스|다중차원]] 등 세계관 스케일이 커지는 것에 대한 기대가 있는 한편, 무리하게 세계관 스케일을 키우다가 이야기를 제대로 풀지 못해 평가가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작중 내내 제기되었던 [[최강림/평가 및 논란#s-3|주연 퇴마사 캐릭터들의]] [[리온 레이몬드#s-7|편애, 비중 논란]] 및 [[구하리/평가 및 논란#s-2|주인공 하리와]] [[구두리/평가 및 논란#s-2|두리의 활약과 비중, 서사가 부족하다는 논란]]을 의식했는지, 극장판의 주제를 아예 '''하리&두리 남매의 가족애로 잡은 것'''은 매우 호평 받고 있다. 또한 예고편에서 하리&두리 남매와 최종 보스 어나더의 인연 떡밥이 뿌려지고 있고, 막판에선 하리&두리가 자간시를 소환해 어나더와 '''직접''' 맞서는데, '''이러면 어나더는 시리즈 중 최초로 하리&두리와 서사적으로 깊이 엮이며 이들 남매가 단독으로 쓰러뜨릴 최종 보스가 되는 거여서''' 더욱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하리 단독으로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TVA 4기]] 파트 1의 최종 보스 [[은혼귀]]를 성불시킨 전적이 있고, 두리도 은혼귀 성불의 단서 은혼초를 찾는 데에 큰 도움을 줬다.] === 개봉 후 === ||[youtube(ueltgYL-ywc)]|| 주인공 하리와 두리 남매의 활약, 적절한 비중 분배, 주제의식, 루즈한 전개 없는 감동적인 스토리 등의 이유로 '''역대 신비아파트 극장판 중 가장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아쉬운 점을 찾자면 장면 전환이 빠른 편이라 여운이 남을 시간이 다소 적었다는 점과 추격씬 배경 음악으로 깔리는 프린스의 노래 음향이 작아서 잘 안 들렸다는 점[* 향후 음원 공개를 해줬으면 하는 반응이 많다.], 그리고 많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방치되고 있는 [[최강림/복장 논란|강림 퇴마복]] 정도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37,670명 || 37,670명 || 미집계 || 387,636,135원 || 387,636,135원 || ||<|7> 1주차 ||2022-12-14. 1일차(수) || 8,166명 ||<|7> 150,452명 || 4위 || 80,562,429원 ||<|7> 1,437,022,383원 || ||2022-12-15. 2일차(목) || 5,077명 || 4위 || 46,311,815원 || ||2022-12-16. 3일차(금) || 7,301명 || 4위 || 68,836,596원 || ||2022-12-17. 4일차(토) || 59,835명 || 3위 || 575,644,294원 || ||2022-12-18. 5일차(일) || 60,294명 || 3위 || 580,234,098원 || ||2022-12-19. 6일차(월) || 4,473명 || 4위 || 39,330,395원 || ||2022-12-20. 7일차(화) || 5,306명 || 4위 || 46,102,756원 || ||<|7> 2주차 ||2022-12-21. 8일차(수) || 3,097명 ||<|7> 123,444명 || 6위 || 25,954,998원 ||<|7> 1,179,276,616원 || ||2022-12-22. 9일차(목) || 2,271명 || 7위 || 18,691,696원 || ||2022-12-23. 10일차(금) || 3,847명 || 7위 || 35,307,998원 || ||2022-12-24. 11일차(토) || 47,255명 || 3위 || 458,727,907원 || ||2022-12-25. 12일차(일) || 52,790명 || 4위 || 513,618,573원 || ||2022-12-26. 13일차(월) || 6,506명 || 5위 || 58,654,150 원 || ||2022-12-27. 14일차(화) || 7,678명 || 6위 || 68,321,294원 || ||<|7> 3주차 ||2022-12-28. 15일차(수) || 6,167명 ||<|7> 76,744명 || 6위 || 53,149,693원 ||<|7> 703,516,009원 || ||2022-12-29. 16일차(목) || 8,433명 || 6위 || 73,691,520원 || ||2022-12-30. 17일차(금) || 10,662명 || 6위 || 98,446,721원 || ||2022-12-31. 18일차(토) || 19,955명 || 6위 || 188,096,008원 || ||2023-01-01. 19일차(일) || 17,049명 || 6위 || 162,441,529원 || ||2023-01-02. 20일차(월) || 7,332명 || 6위 || 64,552,288원 || ||2023-01-03. 21일차(화) || 7,146명 || 6위 || 63,138,250원 || ||<|7> 4주차 ||2023-01-04. 22일차(수) || 2,984명 ||<|7> 25,786명 || 8위 || 27,353,297원 ||<|7> 247,331,391원 || ||2023-01-05. 23일차(목) || 2,687명 || 8위 || 24,345,900원 || ||2023-01-06. 24일차(금) || 3,220명 || 8위 || 30,377,197원 || ||2023-01-07. 25일차(토) || 6,309명 || 8위 || 62,661,710원 || ||2023-01-08. 26일차(일) || 7,322명 || 7위 || 71,916,691원 || ||2023-01-09. 27일차(월) || 1,670명 || 9위 || 15,755,598원 || ||2023-01-10. 28일차(화) || 1,594명 || 9위 || 14,920,998원 || ||<|7> 5주차 ||2022-01-11. 29일차(수) || 920명 ||<|7> -명 || 13위 || 8,319,100원 ||<|7> -원 || ||2022-01-12. 30일차(목) || 1,032명 || 10위 || 9,006,600원 || ||2022-01-13. 31일차(금) || 1,022명 || 10위 || 10,081,896원 || ||2022-01-14. 32일차(토) || 3,980명 || 8위 || 32,221,692원 || ||2022-01-15. 33일차(일) || 4,319명 || 8위 || 42,132,596원 || ||2022-01-16. 34일차(월) || 816명 || 9위 || 7,526,100원 || ||2022-01-17. 35일차(화) || 884명 || 9위 || 8,166,100원 || ||<|7> 6주차 ||2022-01-18. 36일차(수) || 146명 ||<|7> -명 || 22위 || 1,382,099원 ||<|7> -원 || ||2022-01-19. 37일차(목) || 233명 || 17위 || 2,114,400원 || ||2022-01-20. 38일차(금) || -명 || -위 || -원 || ||2022-01-21. 39일차(토) || -명 || -위 || -원 || ||2022-01-22. 40일차(일) || -명 || -위 || -원 || ||2022-01-23. 41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1-24. 42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414,096명, 누적매출액 3,954,782,534원'''[* ~ 2023/01/10일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같은 날에 [[아바타: 물의 길]]이 개봉을 하고, 개봉 2주차에는 [[CJ ENM 영화사업본부|같은 배급사]]의 작품이자 [[윤제균]] 감독 작품인 [[영웅(2022)|영웅]]이 개봉을 하며 이 두 영화가 [[스크린 독점]]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영관 확보에 난항이 예상된다. 일단 CJ 측에서는 타겟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흥행력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듯. [[https://naver.me/5zovymUn|#]] == 기타 == === 개봉 전 === * TVA 4기가 2021년 9월 방영에 첫 방영을 했는데, 2021년 기준으로 극장판 3기가 TVA 4기 파트 1 종영 이후 개봉이 될 예정이어서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처럼 2021년 12월에 개봉할 확률이 컸다. * 파일럿부터 TVA 3기까지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쭉 개근하던[* 극장판 2기, 특별편 제외] [[칵테일 미디어]]가 TVA 4기, 특별판 제작에서 제외되어 극장판 제작 때문에 바쁜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 극장판 2기에 이어 [[레드독컬처하우스]]가 제작에 참여했다.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23화와 24화에서 [[그림리퍼(신비아파트 시리즈)|그림리퍼]]가 등장했다. 이를 보아 극장판 3기는 TVA 4기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4기 그림리퍼 편을 통해 [[귀도퇴마사]]의 이야기를 종결시키고, TVA 5기로 넘어가는 이야기의 시간대(4편과 5편 사이)를 다룰 듯 하다. 강림이 봉인의 칼날 기술, 이도류 신기술을 써서 4편과 5편 사이 배경이 맞는 듯. * 2021년 연말에서 2022년 하반기로 개봉이 연기된 이유에 대해서, TVA 4기 첫 방영이 7월에서 8월, 다시 9월 16일로 밀리고 두 차례 결방까지 하면서 마지막 화 방영일도 12월 16일로 밀려 버렸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원래 계획대로 12월에 개봉한다고 했으면 최소한 빨리 개봉해도 요르문간드 때처럼 12월 하순이 유력한데 이러면 이미 개봉 전에 예고편, 스틸컷 등으로 어느 정도 줄거리는 공개된다. 하지만 본작이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극장판 1기]]처럼 TVA 4기 파트 1, 2를 잇는 내용으로 간다면 파트 1 방영 기간 중 스토리 공개는 자칫하다간 중대한 스포일러 유출이 될 수 있었다. 그래서 유출을 피하기 위해 개봉을 미룬 거라는 말. 게다가 [[신비아파트 특별판: 빛의 뱀파이어와 어둠의 아이|특별판]]의 여름 공개 예정이 지연되고 12월 22일 공개로 확정된 일도 극장판 개봉 지연에 영향을 미친 듯 하다. TV시리즈 종영, 특별판 공개, 극장판 개봉을 한 달도 안되는 짧은 기간[* 겨우 '''2주'''밖에 안된다.]에 실현하기에는 시청자들이 따라가려다 지칠 수 있으니... * [[https://youtu.be/PEJxwrnMb5o|공개된 티저 예고편]]에서 [[대한민국]]이 아닌 다른 곳으로 보이는 모습이 보여[* 엄청난 크기의 설원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절벽으로만 봐도 한국이 아니라는 사실은 명백하며, 러시아(시베리아), 스위스(알프스), 인도나 네팔(히말라야)이 가장 유력하다. 하지만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이를 의식하여 가능성이 거의 없을 테지만, 만약 러시아를 배경으로 해도 그로 인해 러시아가 배경이라는 이유로 작품성과 별개로 평가가 떨어질 것이다.] 하리네 가족이 이번에는 해외에 여행을 갔다가 하리와 두리가 늑대인간으로 추정되는 귀신과 만난다는 추측이 있다. 이후 메인 예고편에서 다른 세계(차원)의 하리 남매라는 것이 확정되었다. * 2022년 10월 21일, 제목이 공개되면서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처럼 [[다중우주]]을 다룬다는 것이 확정됐다. * [[신비아파트 시리즈]] 최초로 OST에 오케스트라를 활용할 거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3107535|#]] === 개봉 후 === * 쿠키영상으로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ZERO]] 티저가 20초 정도 공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 version=337)] [[분류:신비아파트 시리즈/특별편 및 극장판]][[분류:한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2년 한국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