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신상학}}}[br]辛相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학.jpg|width=100%]]}}} || ||<|2> '''출생''' ||[[1913년]][* 영산·영월신씨대동보 6권 170쪽에는 1914년생으로 등재돼 있다.] || ||[[경상남도]] [[김해군]] || || '''사망''' ||[[1975년]] [[2월 24일]](향년 62세) || || '''본관''' ||[[영산 신씨|영산]](靈山)[* 초당공파(草堂公派) 32세 상(相) 항렬.] || || '''자''' ||강은(江隱)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영산 신씨|영산]](靈山), 자는 강은(江隱). == 생애 == [[1913년]]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現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가락동(부산)|가락동]])에서 아버지 신우홍(辛禹洪, 1887 ~ 1934. 8. 16)과 어머니 [[양천 허씨]] 허월련(許月蓮, 1887 ~ 1970. 6. 14)[* 허정(許定)의 딸이다.]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소학교]]를 졸업하고 상업에 종사하였다. [[8.15 광복]] 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상남도지부 간부, [[조선민족청년단]] 경상남도단부 부단장을 역임하는 등 3년간 청년운동에 종사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김해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미군정]]기 한국인에게 불하된 조선일모주식회사 [[이사장]]으로 [[1949년]] 5월에 취임하였다가 경영난으로 물러났다. 이후 조선모방회 사장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회]] 후보로 경상남도 [[밀양군]]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김형덕]]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72년]] 11월에는 [[10월 유신]]을 적극 지지하는 [[제헌동지회]] 성명서에 서명하고 동참하였다. 1975년 2월 24일 오후 6시에 [[부산시]](現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초량동|초량1동]] 994번지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2250032920703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2-25&officeId=00032&pageNo=7&printNo=9051&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남 김해군 갑) || [include(틀:무소속)] || '''10,399표 (28.58%)'''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밀양군 을) || [include(틀:국민회)] || 877표 (2.35%) || 낙선 (13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영산 신씨]][[분류:강서구(부산) 출신 인물]][[분류:1913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