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세계)] || '''신세계사이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신세계백화점)] ---- [include(틀:대한민국의 아울렛)] }}} || ||<-2> {{{+1 {{{#ffffff '''신세계사이먼'''}}}}}} [br] {{{#ffffff '''Shinsegae Simon'''}}} || || {{{#ffffff '''정식명칭'''}}} || 주식회사 신세계사이먼 || || {{{#ffffff '''영문명칭'''}}} || Shinsegae Simon Co., Ltd. || || {{{#ffffff '''설립일'''}}} || [[2005년]] [[6월 1일]] ([age(2005-06-01)]주년) || ||<|2> {{{#ffffff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20, 15층 ([[청담동]], 청담스퀘어) || ||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청담스퀘어, 너비=100%, 높이=224px)]}}} || || {{{#ffffff '''업종명'''}}} ||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 || || {{{#ffffff '''상장유무'''}}} || 비상장기업 || || {{{#ffffff '''기업규모'''}}} || '''대기업''' || || {{{#ffffff '''법인형태'''}}} || 외부감사법인 || || {{{#ffffff '''대표이사'''}}} || 김영섭[* 1965년생으로 [[장충고등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1992년에 입사하였다. 신세계 해외잡화담당 상무, 신세계 상품본부장 전무, 신세계디에프 상품본부장을 역임했다.] || || {{{#ffffff '''링크'''}}} || [[https://premiumoutlets.co.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세계(기업)|신세계]]와 미국의 사이먼프로퍼티그룹이 합작하여 설립한 유통업체로 [[신세계그룹]]의 [[아울렛]] 운영사이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은 1,753억 원, 영업 이익은 840억 원이다.[* [[백화점]]과는 다르게 신세계사이먼은 부동산 임대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임대 수익만을 정식 매출로 등록한다.] 現 대표이사는 김영섭이다. [[롯데아울렛|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현대아울렛|현대 프리미엄 아울렛]]과 함께 대한민국 3대 아울렛 업체로 꼽힌다. 여주점과 부산점의 경우, 대한민국 [[아울렛]] 최초로 '프리미엄 멤버스'라는 [[VIP]] 고객 제도를 도입했다. 2022년부터는 여주점과 부산점 외 파주점, 시흥점, 제주점까지 확대되었고 전국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에서 1년간 1,000만 원 이상 구매한 고객들이 선정 대상이며, 단일 지점에서 700만원 이상 구입한 고객은 소속점에 한정해서 프리미엄 라운지(1일 1회), 프리미엄 전용 주차 구역 등의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 2023년에는 신규 등급인 골드 등급을 신설했는데, 년간 아울렛 구매금액이 400만원 이상인 고객들이 선정 대당이다. 아울렛 골드등급 주요 혜택은 '''월 1회''' 프리미엄 라운지 이용히 가능하다. [[신세계백화점]]의 [[VIP]] 고객들 중에서 골드 등급 이상이면 신세계아울렛 전 지점에서 '프리미엄 멤버스' 등급과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선정되면 프리미엄 [[라운지]] 및 파킹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주점에서 판매하는 [[명품]]을 부산점에서도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지배구조 == [[2019년]] 7월 기준이다. ||
주주명 || 지분율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사이먼프로퍼티 || 50.0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신세계(기업)|신세계]] || 25.0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신세계인터내셔날]] || 25.00%|| == 점포 == 현재 [[여주시]], [[파주시]], [[부산광역시]], [[시흥시]], [[서귀포시]]에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 [[신세계사이먼 여주점|여주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세계사이먼 여주점)] === 파주점 === ||
<-2><:>
{{{#fff {{{+1 '''파주점'''}}} (201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세계 파주.jpg|width=100%]]}}} || || {{{#ffffff '''개점일'''}}} || [[2011년]] [[3월 18일]] || || {{{#ffffff '''영업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br][[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9시[* [[공휴일]] 포함] || || {{{#ffffff '''주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필승로 200 [br][include(틀:지도, 장소=파주 신세계 아울렛, 너비=100%, 높이=224px)] || || {{{#ffffff '''링크'''}}} || [[https://www.premiumoutlets.co.kr/paju/ko|홈페이지]] || 사실 이곳에는 [[롯데아울렛|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이 개점할 예정이었다. 당시 [[롯데쇼핑]]이 이 부지에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있었는데, 부지 소유주가 [[신세계그룹]]에 부지를 매각하면서 일방적으로 계약 협상을 파기해버렸다. 때문에 [[롯데쇼핑]]은 이례적으로 [[신세계그룹]]을 비난했으며, [[서울]]에서 더 가까운 부지에 [[롯데아울렛|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파주점]]을 개점하면서 [[신세계사이먼]] 파주점의 길목을 차단하는 전략을 쓰게 된다. 그리고 당시 유일한 [[프라다]]의 아울렛 매장 등 [[명품]] 브랜드 유치 실적이 더 앞섰던 [[롯데아울렛|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에게 고객을 빼앗기면서 매출이 많이 하락했었다. 하지만 [[신세계그룹]]이 신관을 증축 오픈하면서 매장을 확장했다. 이때 국내 첫 [[H&M]]의 아울렛 매장을 비롯하여 [[펜디]] 키즈 매장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입점했고, 덕분에 매출이 꽤나 회복되었다. 실제로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13%라는 높은 신장률을 기록하며''' 연 매출 3,556억 원을 올리며 전국 4위에 올랐다. || '''연도''' || '''순위''' || '''매출''' || '''신장률''' || || 2020 || 4위 || 3,556억 || 13% || || 2021 || || 3,895억 || || || 2022 || 7위 || 4,019억 || 3.2% || 현재 입점한 주요 명품 브랜드로는 [[마이클 코어스]], [[MCM(브랜드)|MCM]], [[코치(브랜드)|코치]], [[에르메네질도 제냐]], [[아르마니]], [[휴고 보스]], [[아테스토니]], [[듀퐁]], [[토리 버치]], [[막스 마라]] 등이 있다. 이외에도 [[에르메네질도 제냐]]를 비롯하여 [[Juun. J]], [[스톤 아일랜드]], [[투미]], [[폴 스미스]], [[A.P.C.]] 등 여러 [[디자이너]] 및 해외 [[컨템포러리]] 브랜드들이 입점했다. === 부산점 === ||
<-2><:>
{{{#fff {{{+1 '''부산점'''}}} (201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세계 부산.jpg|width=100%]]}}} || || {{{#ffffff '''개점일'''}}} || [[2013년]] [[8월 29일]] || || {{{#ffffff '''영업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br][[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9시[* [[공휴일]] 포함] || || {{{#ffffff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정관로]] 1133 [br][include(틀:지도, 장소=부산 신세계 아울렛, 너비=100%, 높이=224px)] || || {{{#ffffff '''연계교통'''}}} || [[동해선 광역전철]]: [[좌천역(동해선)|좌천역]] || || {{{#ffffff '''링크'''}}} || [[https://www.premiumoutlets.co.kr/busan/ko|홈페이지]] || [[2022년]] 기준 연 매출 2,916억 원을 올리며 3.0%신장을 기록, 전국 13위에 오르며 꾸준히 매출을 올리는 점포다. || '''연도''' || '''순위''' || '''매출''' || '''신장률''' || || 2020 || 11위 || 2,478억 || -0 5% || || 2021 || || 2,830억 || || || 2022 || 13위 || 2,916억 || 3.% || 개점 초기에는 [[부산]]의 첫 프리미엄 [[아울렛]]이었기 때문에, 꽤나 쏠쏠하게 매출을 올리는 점포였다. 하지만 [[롯데쇼핑]]이 부산 원도심에서 더 가까운 [[오시리아관광단지]]에 '''아시아 최대 규모로'''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을 [[롯데마트]], [[롯데몰]]과 함께 개점하면서 고객을 빼앗겨 매출이 감소했다. 이후 인근에 [[정관신도시]]와 [[일광신도시]] 등 [[신도시]]가 개발되고, [[동해선 광역전철]]의 개통으로 접근성이 개선되어 [[울산광역시]]나 [[양산시]]에서 찾아오는 고객들로 인해 매출이 약간 반등하였다. 주요 [[명품]] 패션 브랜드로는 [[몽클레르]], [[에르메네질도 제냐]], [[페라가모]], [[비비안 웨스트우드]], [[막스 마라]], [[에트로]], [[코치(브랜드)|코치]], [[아르마니]] 등이 있다. 원래는 [[구찌]]와 [[펜디]] 매장도 있었으나, 두 브랜드 모두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에 매장을 오픈하면서 퇴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2965282?sid=101|#]] 신세계사이먼은 2022년 8월 5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확장을 위해 1447억 원의 투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2015년 여주점, 2019년 파주점 이어 3번째로, 복합 쇼핑몰·프리미엄아울렛 대형화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 시흥점 === ||
<-2><:>
{{{#fff {{{+1 '''시흥점'''}}} (201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세계 시흥.jpg|width=100%]]}}} || || {{{#ffffff '''개점일'''}}} || [[2017년]] [[4월 6일]] || || {{{#ffffff '''영업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br][[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9시[* [[공휴일]] 포함] || || {{{#ffffff '''주소'''}}}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699 [br][include(틀:지도, 장소=시흥 신세계 아울렛, 너비=100%, 높이=224px)] || || {{{#ffffff '''연계교통'''}}} || 수도권 전철 4호선: [[오이도역]] ([[시흥 버스 23|23번]] 버스로 환승)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월곶역]] ([[시흥 버스 23|23번]], [[시흥 버스 63|63번]] 버스로 환승), 오이도역 시흥시 직행좌석버스: [[시흥 버스 3400]](서울 방면만 정차), [[시흥 버스 3500]](시흥 방면만 정차), [[시흥 버스 5200]](양방향 정차) || || {{{#ffffff '''링크'''}}} || [[https://www.premiumoutlets.co.kr/siheung/ko|홈페이지]] || 신세계 시흥 아울렛을 줄인 '신시아'라고도 불린다. [[2022년]] 연 매출 3,884억 원으로 8.7%의 신장률을 기록, 전국 8위에 올랐다. || '''연도''' || '''순위''' || '''매출''' || '''신장률''' || || 2020 || 7위 || 2,987억 || 3.3% || || 2021 || || 3,573억 || || || 2022 || 8위 || 3,884억 || 8.7%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의 [[롯데아울렛|프리미엄 아울렛이]] [[현대아울렛|과포화 상태에 이르며]] 상대적으로 [[명품]] 브랜드 유치 실적이 미미한 지점이다. 거기다 규모도 같은 수도권에 위치한 여주점, 파주점에 비해 작은 편이라 브랜드 추가 유치가 어렵다. 그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쇼핑몰]] 등 대형 상업 시설이 없는 [[배곧신도시]], [[월곶동]], [[정왕동]] 등 인근 지역의 거주민들의 수요를 끌어내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이외에도 [[인천광역시]]의 [[송도국제도시]], [[남동구]]의 [[고잔동(남동구)|고잔동]]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이곳으로 오기도 한다. 주요 [[명품]] 및 해외 패션 브랜드는 [[마이클 코어스]], [[투미]], [[페라가모]], [[아르마니]]가 있다. === 제주 프리미엄 전문점 === ||
<-2><:>
{{{#fff {{{+1 '''제주 프리미엄 전문점'''}}} (202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세계 제주.jpg|width=100%]]}}} || || {{{#ffffff '''개점일'''}}} || [[2021년]] [[10월 15일]] || || {{{#ffffff '''영업시간'''}}} ||[[월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9시[* [[공휴일]] 포함] || || {{{#ffffff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신화역사로 304번길 38 [br][include(틀:지도, 장소=제주 신세계 아울렛, 너비=100%, 높이=224px)] || || {{{#ffffff '''링크'''}}} || [[https://www.premiumoutlets.co.kr/jeju//ko|홈페이지]] || 제주 [[신화월드]]의 기존 제주 관광공사 [[면세점]]이 운영되던 자리에 입점했다. [[면세점]]을 제외하면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개점한 대기업의 [[쇼핑몰]]이다. 원래는 [[2021년]] [[7월]]에 개점할 예정이었지만, 지역 소상공인들의 반발로 개점 일자가 [[10월]]로 미루어졌다. 다른 신세계사이먼의 지점들과는 다르게, 지하 1층 ~ 지하 2층 규모로 생각보다 규모는 작은 곳이다. 주요 [[명품]] 브랜드로는 [[에르메네질도 제냐]], [[휴고 보스]], [[모스키노]], [[아르마니]] 등이 있었으나, 이후 추가 유치를 통해 [[몽클레르]], [[토즈(패션 브랜드)|토즈]], [[베르사체]], [[로에베]] 등의 명품 브랜드들을 추가 입점시켰다. == 개점이 확정되지 않은 점포 == === 경산점 === || {{{#ffffff '''주소'''}}} ||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지식산업지구]] [br][include(틀:지도, 장소=경산지식산업지구, 너비=100%, 높이=224px)] || 부지 면적 약 177,000㎡ (53,000평) 규모의 부지에 200여개의 국내외 유명 [[패션]] 및 [[잡화]] 브랜드들을 입점시켜 [[2023년]] 말에 개점할 예정이었다.[* 전체적인 규모는 [[신세계사이먼]] 파주점과 비슷하다.] 만약에 개점한다면 [[대구권]]의 첫 프리미엄 [[아울렛]]으로 약 2,000명 이상의 직간접적 고용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해당 부지가 산업지구로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부지의 용도 변경의 불허 방침을 내세웠다. [[김부겸]] 총리까지 나서서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는 "입주 업체에 대한 특혜 시비가 제기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시간이 흘러 정권이 바뀌면서 이대로 흐지부지 되는 모양을 보이고 있다. 다만 2022년 12월 경산시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6일간 경산지식산업지구 2단계 부지 내 5만 평 규모 '대규모 아울렛 유치 촉구를 위한 10만 서명운동'에 나선 결과 13만 6천 662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와 관련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대경경자청')은 경산지식산업지구에 창업·문화·유통기능을 추가한 복합단지로의 개발계획 변경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신청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세계(기업), version=553)] [[분류:신세계그룹]][[분류:대한민국의 아울렛]][[분류:2005년 기업]][[분류:서울특별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