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평산 신씨]][[분류:평산군 출신 인물]][[분류:1890년 출생]][[분류:194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 성명 ||신세균(申世均) || || 본관 ||[[평산 신씨]] || || 생몰 ||[[1890년]] [[4월 26일]] ~ [[1948년]] [[9월 8일]] || || [[출생지]]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생금리[* 인근의 광평리·덕촌리·운봉리·응촌리와 함께 [[평산 신씨]] 집성촌이다.] || || 사망지 ||[[황해도]] [[평산군]]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신세균은 1890년 4월 26일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생금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2일 세곡면 누천리 장날을 이용하여 최헌영(崔憲永)·이대성(李大成)·이원영(李元永)·[[민홍식]]·신상균(申祥均)·[[신선균]] 등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했다. 시위대열이 헌병분견소 앞을 지날 때, 일본 헌병이 출동하여 강제로 해산시키려 하자, 분노한 시위군중은 분견소의 유리창을 부수고, 분견소장의 얼굴을 구타하였다. 그러나 일제 헌병대의 발포로 많은 사상자를 내고 후퇴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10월 2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평산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48년 9월 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신세균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