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2> '''{{{+1 辛紹先[br]신소선}}}''' || || '''작위''' ||평서후(平舒侯) || || '''성''' ||신(辛) || || '''이름''' ||소선(紹先) || || '''생몰''' ||? ~ 489년 || || '''부친''' ||신연(辛淵)[* 당나라 때 편찬된 [[북사]]에서는 [[고조(당)|고조 이연]]을 피휘하여 신심(辛深)으로 나온다.] || || '''본관''' ||농서군(隴西郡) 적도현(狄道縣)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북조시대]] [[북위]]의 관료로 농서군(隴西郡) 적도현(狄道縣) 출신. == 생애 == 5대조인 신이(辛怡)는 [[서진]]에서 유주자사(幽州刺史)를 지냈다. 부친인 신연(辛淵)은 [[서량]]에서 효기장군(驍騎將軍)을 지냈고 [[이흠]]으로부터도 후한 대우를 받았다. 439년, [[북위]]의 [[태무제]]가 북량을 평정한 뒤 신소선은 진양(晉陽)으로 옮겨 살았다. 총명하고 식견과 도량이 있었으며, 유명근(游明根), 노도세(盧度世), 이승(李承) 등과 매우 친하게 지냈다. 또한 효성도 지극해서 신연이 죽은 뒤 3년 동안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고 3년 동안 머리를 빗거나 목욕을 하지 않아서 머리카락이 다 빠졌기에 항상 남루한 차림새를 했다. 신소선은 뒤에 중서박사(中書博士)에서 신부령(神部令)으로 전임되었다. 한편 [[송(남조)|유송]]의 장수 [[설안도]]가 귀순한 뒤 조정에서는 새로 귀순한 이들을 달래고자 신소선을 하비태수(下邳太守)로 임명하고 영삭장군(寧朔將軍)을 더했다. 신소선은 하비에 부임한 뒤 분명한 판단을 구하지 않고 대강만 잡았으며, 백성들에게는 침공에 방비하라고만 조언했다. 이후 진현달, [[고제(남제)|소도성]], [[소순지]]가 북위를 침공할 때 소도성이 소순지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소선에 대해서는 경솔하게 침공하지 말고 의당 신중하게 행동해야 하오. 결국 소도성 등은 하비를 지나지 않고 곧장 여량(呂梁)에 주둔하였다. 신소선은 이후 489년에 사망하여 관군장군(冠軍將軍), 병주자사(幷州刺史), 진양공(晉陽公)으로 추증되고 혜(惠)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48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