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과학기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47a0 10%, #cd313a 10%, #cd313a 19%, #0047a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2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br]新安可居礁 海洋科學基地[br]Sinan-Gageocho Ocean Research Statio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전경.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 ||[[2009년]] [[10월 13일]] ([age(2009-10-13)]주년) || || '''운영기관'''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 || '''규모''' ||높이 총 46m[* 수상 31m, 수중 15m], 면적 286㎡, 중량 총 640톤 || ||<|3> '''위치'''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 서쪽 47㎞, 황해 남부 해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 ||33° 56′ 31″ N, 124° 35′ 34″ E[* 정확히는 북위 33도 56분 34.23초 / 동경 124도 35분 30.96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3.941944%2C124.592778&zoom=8, 높이=224px, 너비=100%, 타입=satellite)]}}} || || '''링크''' ||[[http://www.khoa.go.kr/ors/station_intro2.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국립해양과학원 기지소개)^^ | [[http://www.khoa.go.kr/ors/live_stream_popup2.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실시간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UBwZ5sKYD0,start=1811)]}}} || ||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영상 | {{{-1 목포MBC 다큐멘터리 (20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상부.jpg|width=100%]]}}} || ||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상부의 모습''' ||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에서 서쪽으로 47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암초인 [[가거초]]에 설치된 과학기지. 대한민국의 3대 해양과학기지이며, 그 가운데 가장 작다. 2003년에 착공에 들어가 2009년에 완공되었다. 해양과학기지 중, 두번째로 지어졌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ews20.busan.com/20160711000068_0.jpg|width=100%]]}}} || ||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지 현황''' || * '''1927년 3월 29일''' * 일본군함 [[이세급 전함]] 2번함 일향호(日向號)가 암초에 부딪혀 침몰하면서 존재가 알려졌으며, 이후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침몰한 일향호의 이름을 따 일향초(日向礁)라고 명명 * '''2003년'''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착공 * '''2006년 12월 19일''' *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가거초|가거초(可居礁)]]라고 명명 * '''2009년 10월 13일'''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준공 * '''2010년 ~ 2011년'''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태풍피해 * 2010년 8월 - [[곤파스]] * 2011년 8월 - [[무이파]] * '''2014년'''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복구 완료 * '''2016년 1월 1일'''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운영기관 이관(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국립해양조사원) * 운영인지도 제고를 위한 명칭 변경(가거초 해양과학기지 →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 시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설치지점.jpg|width=100%]]}}} || ||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위치 및 기지설치지점''' || 가거초 해양과학기지는 총 46m 높이의 약 640톤의 철골 건조물이며, 최고 풍속 38.7m/s의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자 4인이 최장 15일을 거주할 수 있는 수용력을 지녔다. 총 면적 1,320㎡인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4분의 1 수준인 전체 면적 286㎡ 규모이지만, 각종 시설 면에서 향상된 시스템이 적용되어 과학기지로서의 기능은 이어도 과학기지보다 더 좋다. 다만, 2010년과 2011년에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입었고, 2014년에 복구가 완료되었다. * 준공: 2009년 * 예산: 총 110억원 * 구조물 * 높이: 총 46m(수상 31m, 수중 15m) * 중량: 총 640톤 * 면적: 286㎡ (4인 최장 15일 수용) * 수명: 기본 50년 * 시설: 수증 관측장비 운용시설, 발전기, 유류저장탱크, 주거 및 생활시설, 전기실, 중앙제어실, 태양광발전시설, 등명기, 해양·기상관측장비, 위성·통신장비 등 * 설계조건 * 구조물 수명: 50년 * 기준파고: 20.95m * 기준풍속: 38.7m/s (시간평균) * 기준조위: 2.948m * 해·조류: 2.832m/s == 주요 기능 == * 종합해양관측을 통한 대기 및 해양에 관한 연구 지원 * 기상 및 해양, 대기 환경 정보 실시간 제공 * 해양 및 기상예보 정확도 향상을 통한 재해 피해 저감 == 관련 문서 == * [[이어도]]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 [[국립해양조사원]]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거초, version=74, paragraph=1, title2=가거초, version2=74, paragraph2=2)] [[분류:해양학]][[분류:암초]][[분류:전라남도 소재 관공서]][[분류:신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