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 FC/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 신재원.png|width=100%]]}}} || ||<-3> '''{{{#ffffff 성남 FC No. 15}}}''' || ||<-3> '''{{{#000000 {{{+2 신재원}}}[br]{{{-1 Shin Jae-Won}}}}}}''' || ||<|2> '''출생''' ||[[1998년]] [[9월 16일]] ([age(1998-09-16)]세) || ||[[경기도]] [[성남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83cm, 74kg || || '''포지션''' ||[[윙어]], [[라이트백]] || || '''소속 구단''' ||[[FC 서울]] (2019~2021) [br] → {{{-1 [[안산 그리너스 FC]] (2020 / ^^임대^^)}}}[br][[수원 FC]] (2022)[br][[성남 FC]] (2023~ ) || || '''국가대표''' ||4경기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 2014)^^ || ||<-2>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존 폴 칼리지]] {{{-2 (졸업)}}}[br][[학성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 (체육교육과 / 중퇴)}}} || || '''본관''' ||[[평산 신씨]][* 판사공파 37대손 '''재(載)◯''', 숙(璹)◯, 기(基)◯, 배(配)◯항렬이나 '재'의 한자가 다른 것으로 보아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 || '''가족''' ||아버지 '''[[신태용]]''', 어머니 차영주, 동생 [[신재혁(축구선수)|신재혁]][* 마찬가지로 축구 선수이며 [[보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학번으로 [[건국대학교]]에 입학했다가 2021년 7월에 형이 2020년에 임대 갔던 [[안산 그리너스]]에 입단하게 되었다. U-18 대표팀 소속으로 판다컵에 출전하기도 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前 대한민국 국가대표 감독 [[신태용]]의 장남이다. == 유소년 경력 == [[신태용]]이 [[브리즈번 로어 FC]]로 이적하던 시기에 [[호주]]에서 생활하며 호주 존 폴 칼리지[* 원래부터 [[김판근]]이 설립한 '판스포츠'와 협력 관계로 한국 출신의 축구 유학생들이 학업과 축구를 병행하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던 곳이였고 이후 신태용 감독이 총감독으로 있는 'TY 아카데미'가 판스포츠를 인수해서 협력 관계가 이어졌다. [[기성용]]이 대표적인 이곳 출신 선수이며 [[김주영]], [[오반석]] 등도 이곳을 거쳤다.]에서 축구를 배웠다. 고등학교 2학년때 귀국하여 울산의 축구명문인 [[학성고등학교]]에 들어갔다. 2학년이던 2015년 하반기 리그 권역 득점왕,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고 3학년이 된 2016년에는 리그 전, 후반기 득점왕과 무학기 득점왕까지 차지했다. 이런 활약으로 졸업 이후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로 진학했다. 고대 입학 직후 등번호 11번을 달고 1학년 때부터 주전 윙어로 활약하며 2017년 U리그 왕중왕전 우승에 기여했으며 2018년에는 팀 사정상 윙백을 병했음에도 U리그에서만 12경기 10골을 기록했다. 왕중왕전 결승전과 정기고연전에서 득점을 하는 등 큰 경기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2019 시즌을 앞두고 [[이승재(1998)|이승재]]와 함께 [[FC 서울]]에 자유선발로 입단하였다. 계약기간은 5년이다. == 클럽 경력 == === [[FC 서울]] === ==== [[FC 서울/2019년|2019 시즌]] ==== 시즌을 앞두고 리빌딩을 위한 영입을 거의 하지 않아서 골키퍼 빼고 전부 구멍이 난 상황이라 시즌 안에 데뷔는 할 듯 한데 쓰임새 예상이 어렵다. 가고시마 전지훈련 때의 배치를 보면 일단은 윙백이 유력해 보인다. 시즌전 인터뷰도 윙백을 보고 있는데 수비적인 부분이 익숙하지 않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01&aid=0010650593|#]] 최용수식 쓰리백은 5-3-2로 윙포워드를 안 쓴다. 측면 자원으로 쓰이려면 반드시 윙백을 소화할 수 있는 수비력을 갖춰야 한다. 등번호로는 7번[* 아버지인 [[신태용]] 감독의 현역 시절 등번호이다.]을 받았다. 6번을 부여받은 김주성과 함께 신인이 주전 선수들이 사용하는 번호를 부여받은 드문 사례. 6라운드 경남전을 앞둔 2019년 4월 4일 최용수 감독과 함께 기자회견장에 동행했다. 최용수 감독은 이 자리에서 신재원에 대해 신태용 같은 기술 축구라기보다는 차두리 같은 다소 투박한 기술과 피지컬을 이용한 축구에 능하다는 평을 남겼다. 특히 향후 3년간 성장이 기대된다는 이야기를 남기면서 최용수 감독이 상당한 기대를 품고 있는 듯한 모습도 내비쳤다. 해당 기자회견에서 신재원은 상당히 긴장한 모습을 보였으나 최용수 특유의 입담 덕에 어느 정도 긴장을 풀고 기자회견을 잘 소화했다.[[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139&aid=0002107252|#]] 4월 6일 경남전에 윤종규 대신 윙백으로 선발 출전했으나 프로 데뷔전에 긴장했는지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다가 62분 정원진과 교체되어 아쉬운 프로 데뷔전을 마쳤다.[[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77&aid=0000175205|#]] PK까지 허용하는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다행히 PK는 실축. 인터뷰에서 본인 능력의 25%도 보여 주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내비쳤고, 이후 경기에서는 실종자(...) 취급을 받고 있다. 유감스럽지만 프로에서 바로 두각을 드러낼 정도의 재능은 아니다. 프로 초년병 시기 공격수에서 윙백 전향한 선수들은 공수 균형 잡는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은데 신재원도 꽤 걸릴 것으로 보인다.[* 서울 선배 [[정승용]]은 최용수 감독의 권유로 공격수에서 윙백으로 전향하긴 했는데 서울에선 공수 밸런스 잡느라 출전 못하다 강원가서 터졌다. 반대로 아마시절 최진철 감독의 권유로 공격수에서 풀백 전향한 윤종규는 3년차에 주전 등극에 성공했다.] 최용수 감독은 3년 정도 길게 바라보며 차근차근 육성하겠다는 취지의 인터뷰를 했다. 훈련도중 박동진과의 볼 경합 상황에서 무릎인대 부상을 당해 6주가량 훈련을 못했으나 8월 초에 복귀하며 팀훈련에 합류했다. 9월 29일 상암에서 펼쳐진 상주와의 대결에서 간만에 교체출전했다. 83분 고광민과 교체되면서 오른쪽에 있던 고요한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 윙백 역할을 수행했으나 86분 상주가 역전골을 넣으면서 팀은 패배했다. 여전히 공수 밸런스를 못잡는 모습인데 실점 장면에서 신재원이 공격적으로 올라가있다보니 측면으로 공이 연결되었고 이를 막으려고 센터백이 끌려나오면서 뒷공간이 생겨버렸다. ==== [[안산 그리너스 FC/2020년|2020 시즌]] (임대) ==== [[파일:PS20030200095.jpg]] 그러던 와중에 2020년 3월 2일,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임대 이적이 발표됐다. 동계훈련은 FC서울에서 했고 다소 뒤늦게 임대로 떠날 팀을 알아 봤으나 U-16 대표팀 시절 코치였던 [[김길식]]인 안산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해 신재원을 부른 덕분에 순조롭게 이적할 수 있었다. 기간은 1년. 안산 주전 라이트백 [[황태현]]이 대구로 이적했기 때문에 주전으로 경험을 쌓을 절호의 기회다. 4월 24일, 자체 연습경기에서 윙백으로 출전해 멀티골을 터트리며 맹활약했다. K리그 2 1차전에서는 측면 수비수로 선발출장했고 2차전에서는 윙으로 교체출전하면서 기회를 얻고 있다. 7라운드 서울 이랜드전에서 4-4-2의 우측 미드필더로 선발 출장해 김륜도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했다. 하지만 경기 막판 부상을 입고 사드와 교체되었다. 13라운드까지 8경기 선발출전, 2경기 교체투입으로 많은 경험을 쌓으며 나름대로 무난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2020시즌 출전기록은 리그 14경기 출전 1도움에 FA컵 1경기 출전으로 도합 15경기 13선발 1도움을 기록했다. 시즌 초반에는 제법 기회를 얻었으나 공수에서 부족한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이며 중반부터 밀려났다. 2021시즌을 앞두고 서울로 복귀했다. 프리시즌 포지션을 보면 풀백으로 기용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의 데뷔 시즌 때도, 안산에서도 발만 빠르고 함량 미달이라는 평을 들었는데 풀백으로서 잘 정착할지는 미지수다. ==== [[FC 서울/2021년|2021 시즌]] ==== [[파일:신재원2021.png|width=400]] [[4월 14일]] [[서울 이랜드 FC]]와의 [[하나은행 FA컵]] 3라운드 경기에서 오른쪽 윙백으로 선발 출전하였다. 팀의 수비가 많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3백 카드를 꺼내들었으며, 이에 따라 윙백을 소화할 수 있는 신재원이 시즌 첫 출전하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경기 내내 그렇다할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였으며, 70분 근육 경련이 일어나 [[고광민]]과 교체되었다. [[4월 17일]] [[대구 FC]]와의 홈 경기에서 오른쪽 측면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하였다. [[김진야]]와 함께 좌우 측면을 맡으면서 수비적인 능력이 있는 윙어를 배치하여 상대의 3백에 대응하려 하였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후반 시작과 함께 [[권성윤]]과 교체되었다. 양한빈과 김원균 제외하면 서울 유스 라인업으로 출전시킨 [[4월 21일]]자 [[K리그1]] 11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전반 3분에 [[권성윤]]이 얻어낸 PK를 침착하게 성공시키며 서울에서의 데뷔골을 뽑아내었다. [[홍준호]]와 짝을 이뤄 투톱으로 출전하였는데 두 선수의 조합이 긍정적인 찬스를 꽤나 만들어내면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개인으로 봤을 때도 윙백이나 측면 미드필더로 출전할 때보다 훨씬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투톱이 더 맞는 옷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21시즌 서울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10경기 출전 1골. 12월 31일 아웃피셜을 본인 인스타로 알렸다 [[https://www.instagram.com/p/CYJfTjwF6l0/?utm_medium=copy_link|#]] 2022년 1월 3일 [[수원 FC]]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 [[수원 FC]] === 2022년 1월 13일, [[K리그1]]의 [[수원 FC]]에 공식 입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8&aid=0003020768|#]] ==== [[수원 FC/2022년|2022 시즌]] ==== 시즌 초반 교체를 통해서 좋은 모습을 보였고, 3월 13일 리그 5라운드 [[강원 FC]] 원정 경기에서 첫 선발 출장하였다. 이 경기에서 좋은 돌파와 많은 활동량으로 활약하였고 후반 83분에 [[김상원]]과 교체되었다. 이 경기에서 [[수원 FC]]는 2:0으로 승리하면서 5R만에 리그 첫 승을 신고하였다. 7라운드 [[성남 FC]]와의 홈경기에서 로스터 부족으로 인해 3백의 가운데 중앙으로 출전해 센터백으로 선발출장했다. 전반 막바지에 성남의 세트피스 상황에서 자책골을 집어넣는 굴욕을 겪었다(...). 10월 16일 치루어진 [[수원 더비]]에서 전반 21분 [[강준모]]와 교체되어 그라운드를 밟았으나, 하프타임에 라스와 다시 교체되어 나갔다. 2022시즌 수원 FC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8경기 출전. === [[성남 FC]] === 2023시즌 프로 생활 5년만에 '''[[신태용|아버지]]가 선수와 감독생활을 하며 전성기를 보내던''' [[성남 FC]]가 자유계약으로 공격수 신재원을 영입했다. [[이기형]] 감독은 신재원에 대해 "측면 수비와 공격에 모두 가담할 수 있는 선수다. 열심히 훈련해서 올시즌 팀의 하나 된 목표에 기여하면 좋겠다"라고 이야기했다. 신재원은 "성남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도록 불러주신 감독님께 감사드린다. 성남에서 오래도록 기억되는 선수가 되도록 열심히 하겠다.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라고 입단 소감을 전혔다. 공교롭게도 본인이 뛰던 안산에 동생 신재혁이 2021년 입단했고(시간 차로 같은 팀은 불발), 본인은 리그2로 내려간 성남에 합류하면서 2023년 첫 경기부터 형제 대결 가능성이 열렸다. ==== [[성남 FC/2023년|2023 시즌]] ==== 3월 1일 1라운드 [[안산 그리너스]]와의 홈경기에서 [[정한민]]과 교체되어 투입되었고 후반 막판 [[박상혁(축구선수)|박상혁]]의 크로스를 받아 데뷔골을 넣았다. 팀은 이골로 2 : 1 승리를 거두었다. 11월 11일 38라운드 [[서울 이랜드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 41분 자신의 헤더가 골대를 맞고 나온 것을 다시 슈팅으로 연결해 시즌 2호골을 기록했다. VAR 판독 끝에 득점 인정되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4년 [[최진철]] 감독이 이끌던 U-16 대표팀에 처음 소집됐고 2014 AFC U-16 챔피언십 최종명단에 포함되어 조별리그 말레이시아전에 출전했다. 만약 2015 U-17 월드컵 대표팀에 출전했다면 한국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부자가 U-17 월드컵에 출전한 사례가 됐겠지만 [* 신태용은 1987년 U-17 월드컵의 전신인 U-16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해서 4경기 2골을 기록했다.] U-16 챔피언십 이후 2015년 1월 소집에서 피로골절 부상을 당해 U-17 월드컵 출전은 좌절됐다. 2016년과 2017년 고교 및 대학무대에서 활약이 좋았기 때문에 자국에서 열리는 U-20 월드컵에 출전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았지만 공정한 선발을 위해 신태용이 신재원의 동의를 얻어 신재원을 후보에서 아예 제외했기 때문에 테스트 기회도 얻지 못했다. 이후 2018년에는 [[김학범호]]의 동계 훈련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울산에서 열린 [[벤투호]]와 김학범호의 연습 경기에도 출전했는데, 엄청난 스피드를 보여주었고, [[박정인(2000)|박정인]]의 2골을 도와서 승리에 기여해 A대표 형님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후 프로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연령별 대표 소집 기회는 다시 얻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아버지 신태용이 기술적이고 지능적인 스타일의 선수였던 것과 다르게 신재원은 기술은 다소 투박하지만 신체적인 능력이 좋은 선수다. 특히 스피드만큼은 유소년 때부터 아버지보다도 낫다는 평가가 있었다. 신체조건도 좋은 편이며 공격진에서 중앙과 측면을 가리지 않고 측면 수비까지도 소화 가능한 멀티플레이어라는 점도 큰 장점이다. 고교, 대학 시절에는 큰 경기에 강한 특징도 있었다. 다만 프로에 와서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되는 모습을 보이며 2022 시즌까지는 미완의 유망주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했다. == 여담 == * 동생과 같은 “재“자 돌림을 사용한다. * 아버지가 레전드인 구단인 성남에 오면서 도련님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성남 FC)] [[분류:1998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평산 신씨]][[분류:축구 선수 자녀]][[분류:학성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미드필더]][[분류:FC 서울/은퇴, 이적]][[분류:안산 그리너스 FC/은퇴, 이적]][[분류:수원 FC/은퇴, 이적]][[분류:성남 FC/현역]][[분류:윙어]][[분류:라이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