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주 국왕)] || '''[[시호]]''' ||신정왕(愼靚王) || || '''[[성씨|성]]''' ||[[희]](姬) || || '''[[휘]]''' ||정(定) || || '''아버지''' ||[[현왕(주)|현왕]] || || '''생몰 기간''' ||기원전 ???년 ~ 기원전 315년 || || '''재위 기간''' ||기원전 320년 ~ 기원전 315년 || [목차] == 개요 == [[주나라]]의 제36대 [[왕]]. [[현왕(주)|현왕]]의 아들, [[난왕]]의 아버지. 이 당시에 [[소진(전국시대)|소진]](蘇秦)과 [[장의]](張儀)가 활약하였다. == 치세 == 신정왕 3년(기원전 318년), [[진(통일왕조)|진(秦)나라]]가 날로 강성해지니, [[위(전국시대)|위나라]], [[한(전국시대)|한나라]], [[조(전국시대)|조나라]],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 [[연(춘추전국시대)|연나라]],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는 [[소진(전국시대)|소진]]의 '''합종책'''에 따라 진(秦)나라를 견제했다. 이때 초나라는 종약장으로 추대되어 진나라를 쳤다. 그러나 함곡관에서 시위만 했다. 그 까닭은 각자의 이해 관계때문이었다. 신정왕 5년(기원전 316년), 진나라가 삼진(三晉)을 수어 땅에서 쳐서 8만명의 수급을 얻는 등의 사건이 일어나자 5개국은 다시 합종하였다. 같은 해 진나라에서는 [[사마착]](司馬錯)을 보내 촉왕에게 뇌물을 주어, 파촉 땅의 길을 열게 유도한 뒤 차지했다. 이 사건으로 진나라는 전국 7웅 중 가장 강해져, [[밸붕|밸런스가 붕괴]]되었다. 신정왕 6년(기원전 315년), 그가 세상을 떠나고 그 아들인 희연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주나라의 마지막 왕인 [[난왕]]이다. [[분류:주 국왕]] [[분류:기원전 315년 사망]][[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