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림축산식품부장관)]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7대 농림부 장관}}}]][br]{{{#FFFFFF {{{+1 신중목}}}[br]愼重穆 | Shin Joong-mo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중목.jpg|width=100%]]}}} || ||<|2> '''출생''' ||[[1902년]] [[7월 1일]]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http://geochang.grandculture.net/geochang/toc/GC06300809|#]]] || ||<|2> '''사망''' ||[[1982년]] [[12월 31일]] (향년 80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본관''' ||[[거창 신씨]][* 통례공파(通禮公派) 34세 중(重) 항렬.] || || '''호''' ||소강(素岡) || ||<|2> '''재임기간''' ||제7대 농림부 장관 || ||[[1952년]] [[8월 29일]] ~ [[1953년]] [[9월 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신석재, [[어머니]] 남평 문씨 || || '''형제자매''' ||2남 2녀 중 장남 || || '''학력''' ||[[와세다대학]] {{{-2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 / 수료)}}}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 || '''경력''' ||[[경상남도]] 창원군·[[거창군|거창군수]][br][[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br][[대한독립촉성국민회]] 거창군 지부장[br][[제2대 국회의원]] (거창군)[br]제7대 농림부 장관[br]민주농민당 창당준비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 생애 == 1902년 7월 1일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에서 아버지 회은(檜隱) 신석재(愼奭縡, 1873. 4. 25 ~ 1949. 2. 11)[* 이명 신순재(愼舜縡).]와 어머니 [[남평 문씨]](1875 ~ 1959. 11. 6)[* 문한권(文漢權)의 딸이다.]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에 교외생으로 등록한 뒤 독학으로 수료하였다.[[http://db.history.go.kr/id/im_107_20509|#]] 1923년부터 1926년까지 거창군, 1927년부터 1931년까지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1932년 거창군 등지에서 지방공무원인 속(屬)으로 근무했으며, 이후 1941년 [[http://db.history.go.kr/id/hs_001_1941_11_08_0690|거창제주]](居昌製酒) 이사, [[http://db.history.go.kr/id/hs_001_1941_11_10_1360|거창인쇄]](居昌印刷) 이사, [[http://db.history.go.kr/id/hs_001_1941_11_08_3380|거창약주]](居昌藥酒) [[지배인]] 등으로서 기업 경영에 참여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거창[[군수]], [[창원시|창원군]]수를 역임하였다. [[8.15 광복]] 이후 1946년 10월 31일 남조선 과도입법의회 경상남도 대의원에 [[무소속]]으로 [[http://db.history.go.kr/id/dh_003_1946_10_31_0170|선출되었고]],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 입당해 거창군 지부장 및 경상남도본부 부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같은 당적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표현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국민회 표현태 후보에 설욕하고 당선되었다. 1951년 [[거창 양민 학살사건]]의 진상을 밝히다가 [[국군기무사령부|육군 특무대]]의 협박을 받기도 했으며 1952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2년 8월 29일부터 1953년 9월 9일까지 1년간 [[https://www.mafra.go.kr/home/5310/subview.do?enc=Zm5jdDF8QEB8JTJGcHJvZmwlMkZob21lJTJGMTAlMkZhcnRjbExpc3QuZG8lM0ZzcmNoQ29sdW1uJTNEJTI2cGFnZSUzRDYlMjZzcmNoV3JkJTNEJTI2|제7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농림부 장관]] 및 [[국무위원]]을 역임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국민당]] [[신도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고, 이듬해인 1955년 자유당을 탈당하였다. 이후 한국농민회 최고위원으로 활동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서한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으며 1960년 7월 11일 제2대 [[농협중앙회]] [[회장]]에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600712000045|당선되어]] 활동했다. 1963년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에 몸담았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병권(1918)|민병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0년 신민당을 탈당하고 [[국민당(1971년)|국민당]] 창당에 참여했고, 정무위원을 역임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서범석(1902)|서범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1년 [[민주농민당]]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과 충무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다가 1982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100239111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1&officeId=00023&pageNo=11&printNo=18998&publishType=00010|별세하였다]]. 유해는 거창군 남상면 선산에 안장되었다. == 기타 == [[파일:external/thumb.zumst.com/9272189c34ab4ebda5732b92bbb1e7f1.jpg]] 현재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대현리에 있는 [[거창 양민 학살사건|거창사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856&docId=2031823&categoryId=42856|추모 공원]]에는 신중목의 공적비가 건립돼 있다.[[http://www.newsis.com/country/view.htm?cID=10812&ar_id=NISX20160410_0014012741|건립식을 기념한 추도회 기사]]. 사진 좌측 직사각형 비석이 '신중목 국회의원 공적비'이다. 우측은 문병현 거창사건 희생자 유족회장의 공로비.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5,743표 (35.14%) || 낙선 (2위)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 [include(틀:무소속)] || '''23,561표 (52.21%)''' || '''당선 (1위)''' || '''초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 [include(틀:자유당)] || 9,366표 (20.63%) || 낙선 (2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 [include(틀:무소속)] || 6,471표 (14.36%) || 낙선 (4위)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함양군)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6,177표 (27.86%) || 낙선 (2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성북구 을]]) || [include(틀:국민당(1971년))] || 1,677표 (1.63%) || 낙선 (3위) || || || 1978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서울 도봉구) || [include(틀:무소속)] || - || 낙선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상남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1902년 출생]][[분류:1982년 사망]][[분류:거창군 출신 인물]][[분류:거창 신씨]][[분류:농림부 장관]][[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이승만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