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신칸센 E3계 전동차/현황)] [include(틀:신칸센)]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3>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navy,#005daa '''신칸센 {{{+1 E3계 전동차}}}'''[br]{{{-1 新幹線}}} E3系 電車[br]{{{-1 Shinkansen}}} E3 Series}}}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E3_R1-E5_Coupling_in_omiya_20130320.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E3inShizukuishi.jpg|width=100%]]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JReastE3-1000_Omiya_20110416.jpg|width=100%]] || [[파일:external/blogimg.goo.ne.jp/11ebb2a2ad426b8ea7fa49780fd5e2ff.jpg|width=100%]] || ||<-3> {{{#navy,#0072BC 외부[br](왼쪽 위)0번대 R1(양산 선행)편성 / (오른쪽 위) 0번대 정식 양산 차량[br](왼쪽 아래)1000번대 / (오른쪽 아래)2000번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신칸센 입선용 [[특급형 전동차|전동차]]/[[고속철도|고속철도차량]]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량 수''' ||<-2> 6량(R편성), 7량(L편성) || || '''운행 노선''' ||<-2> [[파일:JRE-SKS.svg|width=16]] [[도호쿠 신칸센|{{{#006600 도호쿠 신칸센}}}]][* [[도쿄역|도쿄]]~[[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 구간][br][[파일:JRE-SKS.svg|width=16]] [[야마가타 신칸센|{{{#ff8000 야마가타 신칸센}}}]] || || '''운행 노선[br](과거)''' ||<-2> [[파일:JRE-SKS.svg|width=16]] [[도호쿠 신칸센|{{{#006600 도호쿠 신칸센}}}]][*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모리오카역|모리오카]] 구간][br][[파일:JRE-SKS.svg|width=16]] [[조에츠 신칸센|{{{#006600 조에츠 신칸센}}}]][br][[파일:JRE-SKS.svg|width=16]] [[아키타 신칸센|{{{#FF90BE 아키타 신칸센}}}]] || || '''도입시기''' ||<-2> 1995년~2010년 || || '''제작사''' ||<-2> [[도큐차량제조|[[파일:tokyucar.svg|width=130]]]][br][[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br][[종합차량제작소|[[파일:JTREC.svg|width=130]]]] || || '''소유 기관''' ||<|2><-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150]]]] || || '''운영 기관''' || || '''차량기지''' ||<-2>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br][[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br][[아키타 차량센터]] || ||<:><-3><#ddd,#212121>'''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3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편성 무게''' ||<-2> 258.6t || || '''전장''' ||<-2> 20,500㎜[* 선두차는 23,070㎜] || || '''전폭''' ||<-2> 2,950㎜ || || '''전고''' ||<-2> 4,080㎜ || || '''궤간''' ||<-2> 1,435㎜ || || '''차체''' ||<-2> 알루미늄 합금 || || '''대차''' ||<-2> DT207(R1편성 동력차)[br]DT207A(R편성 양산차량, L51~L53편성 동력차)[br]DT207B(L61~L72편성 동력차)[br]TR7005(R1편성 부수차)[br]TR7005A(양산차량 부수차) || || '''사용 전압''' ||<-2> 교류 20,000/25,000V 50Hz [[가공전차선]] || || '''신호 장비''' ||<-2> [[열차자동제어장치|ATC-2형]], DS-ATC, ATS-P || || '''제어 방식''' ||<-2> [[히타치 제작소|히타치]]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GTO(반도체)|GTO]][br]히타치제 VVVF-[[IGBT]] || || '''동력 장치''' ||<-2>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2>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28 : 85[br]= 대략 1 : 3.04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편성 출력''' ||<-2> 4,800kW(R편성), 6,000kW(L편성) || ||<|2> '''최고 속도''' || 영업 || 275㎞/h[br]240㎞/h[* [[신칸센 200계 전동차|200계]], [[신칸센 E4계 전동차|E4계]]와 중련 시][br]130㎞/h[* 재래선 구간] || || 설계 || 315㎞/h || || '''기동'''[br]'''가속도''' ||<-2> 1.6㎞/h/s || || '''전동차 비''' ||<-2> 4M 2T(R편성), 5M 2T(L편성) ||}}}}}} || [목차] [clearfix] == 개요 == [[JR 동일본]]에서 운행하고 있는 [[미니 신칸센]] 차량. 2022년 현재 운행 등급은 L편성 1000번대, 2000번대 7량 1편성으로 운용되는 [[츠바사(신칸센)|츠바사]]이며, 과거에는 0번대가 [[코마치(열차)|코마치]]와 야마비코, 나스노 등으로 운행되었다. == 차량 스펙 == [[미니 신칸센]]인 [[아키타 신칸센]]에 투입될 목적으로 개발되어, 0번대가 5량 1편성으로 1997년 데뷔하였다. 하지만, 수요가 예상보다 많았던 탓인지 1998년부터 부수차 1량을 추가 투입하여 6량 1편성으로 운용되었으며, 1999년 야마가타 신칸센의 연장에 따라 야마가타 신칸센에 7량 1편성의 1000번대가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2008년부터는 7량 1편성의 2000번대가 투입되어 야마가타 신칸센에서 운용되던 [[신칸센 400계 전동차|400계]]를 대체했다. 아키타 신칸센 차량과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의 사양이 조금 다른데, 아키타 신칸센용 0번대와 야마가타 신칸센 투입용 E3계 2000번대의 최고속도는 처음부터 275km/h로 제작되었으나, 야마가타 신칸센용으로 제작된 1000번대의 최고속도는 240km/h였다. 그러나 400계가 토호쿠 신칸센에서 퇴역하고 2012년부터 E2계와 병결하게 되면서, 1000번대의 주행장치를 개량하여 최고속도를 275km/h로 향상하였고, 그 후에는 1000번대·2000번대 모두 최고속도인 275km/h의 속도로 운행되고 있다. 한편 0번대의 양산선행편성(R1편성)과 이후 등장한 양산편성들 간의 디자인에도 차이가 있는데, 이는 헤드라이트로 구분할 수 있었다. 양산선행편성의 [[HID]] 헤드라이트가 운전석 가까이, 중간 부분에 위치해서 흡사 외눈박이처럼 보이는 반면[* 위 사진 중 왼쪽 0번대 사진이 바로 그 외눈박이 양산선행편성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403b46_0c70e07af7984b83a35deef2a62a5c6f.jpg/v1/fill/w_1900,h_1262,al_c,q_90,usm_0.66_1.00_0.01/403b46_0c70e07af7984b83a35deef2a62a5c6f.webp|잘 보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HID등 외에도 운전석 위에 할로젠 전조등이 켜져있는걸 볼 수 있다.]] [[https://art21.photozou.jp/pub/256/397256/photo/60357870_624.jpg|미등 역시 운전석 위쪽에 있다.]] ] 이후 양산차들은 위치를 조금 더 아래로 내리고 일반적으로 보는 2개의 헤드라이트를 장착하게 되었다. [[복합열차]] 운용을 위해 도쿄 쪽 방면 선두차에 자동병결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호쿠 신칸센의 차량([[신칸센 200계 전동차|200계]], [[신칸센 E2계 전동차|E2계]], [[신칸센 E4계 전동차|E4계]], [[신칸센 E5계 전동차|E5계]])과 정기적인 병결이 이뤄졌다. == 운용 == 초기에 도입되었던 아키타 신칸센 차량(R편성)은 JR 동일본이 아닌 제 3섹터인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JR 동일본에서 운행/정비를 하는 것으로 관리된다.[* R1-R16편성중 중간에 증결된 E328형 차량을 제외하고 5량만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가 보유하며 증결된 차량은 JR동일본이 소유한다.] 2010년도에는 임대계약이 만료됨과 동시에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 주식회사가 해체되었고 차량은 JR 동일본이 인수하였다. 0번대를 제외한 1000번대·2000번대는 처음부터 동일본 소유로 도입되었다. 0번대는 [[아키타 신칸센]]에서 R편성 6량 1편성으로 [[코마치(열차)|코마치]] 등급으로 운행되었으며, 이따금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와 [[나스노]]의 증결용 편성으로도 투입되었다. 0번대는 [[신칸센 E6계 전동차|E6계]]가 아키타 신칸센에 투입됨에 따라 2014년에 아키타 신칸센에서 퇴역하게 되었다. 아키타 신칸센에서 퇴역한 0번대 중 비교적 오래된 R1~R17편성은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폐차되었다. 한편 R18~R26편성은 2000~2005년에 제작된 차량들로서 아직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재활용되었다. * 가장 차령이 적은 R23~R26편성은 일부를 재조합, 7량편성으로 만든 후 야마가타 신칸센용 츠바사로 투입하게 되었다. 이 때 투입된 차량은 1000번대 츠바사의 편성번호를 부여받아 각각 L54편성(R24-25편성 재조합)과 L55편성(R23-26편성 재조합)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남게 된 차량은 폐차. * 그 다음으로 차령이 적은 R21~22편성은 코마치 로고가 제거되기는 하였지만 기존 도색 그대로 도호쿠 신칸센의 일부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 및 [[나스노]]로 운용되고 있다가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한 승객감소로 운행을 중단했다. 당시에는 E5계와 병결해서 다녔다. 그 뒤로 2021년에 폐차. * 일부 열차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R18편성을 2014년에 개조한 [[츠바사(신칸센)|토레이유 츠바사]](700번대로 구분)는 야마가타 신칸센 구간의 관광열차로서 차내에 [[족욕]]시설을 설치하고 오자시키 형태로 좌석을 개조하는 등 기존의 차량에서 완벽한 변신을 이루어 내었다. 2022년에 운용을 종료하고 폐차되었다. 이 차량의 폐차를 끝으로 0번대는 소멸되었다. * R19편성 역시 700번대로 개조되어 [[에치고유자와역|에치고유자와]]~[[니가타역(니가타)|니가타]] 구간의 예술신칸센인 "겐비신칸센"으로 운용하였다. 콘셉트는 달리는 미술관으로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에 따라 지선화되는 [[조에츠 신칸센]]의 진흥을 위한 것이며, 풀규격 신칸센에서의 최초의 조이풀 트레인이다. 2016년 2월 18일 JR 동일본 발표에 따르면 [[조에츠 신칸센]]의 임시열차('''토키''') 형태[* 주로 매주 주말마다 편성되어 있으며 일반 신칸센과 동급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JR패스를 비롯하여 여러 지역별 패스도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11호차를 제외한 전석 자유석으로 운영.]로 운행하며 [[4월 29일]]부터 골든위크 기간을 제외하고 토, 일요일에만 운행하며 2020년 12월 19일까지 운행했다. 그 뒤로 2021년에 폐차. * R20편성은 2013년에 정기 운용을 종료한 이후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에 방치되다가 2015년에 폐차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E3-1000_L54_Tsubasa_144_Kita-Yamagata_20150307.jpg]] 1000번대와 2000번대는 지금도 야마가타 신칸센에서 운용되고 있다. 2014년 4월 하순부터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로 운용되던 1000번대·2000번대 편성의 도색이 위와 같이 변경되며, 2018년 기준으로 완료되었다. 2024년에 [[신칸센 E8계 전동차]]로 대체될 예정. == 그 외 == * [youtube(bjod_QHBhl8)] 재래선에서 [[C11형 증기 기관차]]와 함께 달렸던 적이 있다. [[신칸센 E6계 전동차|E6계]] 역시 [[C61형 증기 기관차]]와 병주하는 이벤트를 가졌다. * 검측차량인 E926형의 베이스가 된 차량이기도 하다.[* 신칸센, 타자와코선, 오우 본선 전용.] * [[주식회사 관수금속|KATO]]에서 [[철도 모형]]화 되었다.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e3_komachi|0번대]],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e3_1000_tubasa|1000번대 구도색]],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e3_2000_old|2000번대 구도색]],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e3_2000|2000번대 신도색]], == 관련 문서 == [include(틀:Ken Okuyama Design의 철도차량)]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신칸센]] * [[JR 동일본]] * [[전동차]] [[분류:일본의 고속철도 차량]][[분류:전동차]][[분류:1995년 출시]][[분류:2010년 단종]][[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분류:도호쿠 신칸센]][[분류:조에츠 신칸센]][[분류:야마가타 신칸센]][[분류:아키타 신칸센]][[분류:헤이세이 시대]][[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