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철도 정보]],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신칸센]], [[JR 히가시니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3/E3inShizukuishi.JPG/600px-E3inShizukuishi.JPG]] 0번대 아키타 신칸센용 차량.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목차] == 개요 == [[JR 히가시니혼]]에서 운행하고 있는 [[미니 신칸센]] 차량. 2014년 현재 운행 등급은 토호쿠 신칸센에서 R편성 0번대로 E5계의 부속 편성으로 야마비코·하야테·나스노 등으로 운용되는 차량과 L편성 1000번대, 2000번대 7량 1편성으로 운용되는 [[츠바사]]. == 차량 스펙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a/E3_R1-E5_Coupling_in_omiya_20130320.jpg/1920px-E3_R1-E5_Coupling_in_omiya_20130320.jpg?width=300]]||[[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JReastE3-1000_Omiya_20110416.jpg/440px-JReastE3-1000_Omiya_20110416.jpg?width=300]]|| ||<:>E3계 0번대||<:>E3계 1000・2000번대|| [[미니 신칸센]]인 [[아키타 신칸센]]에 투입될 목적으로 개발되어, 0계가 5량 1편성으로 1997년 데뷔하였다.1998년부터 부수차 1량을 추가 투입하여 6량 1편성으로 운용되었으며, 1999년 야마가타 신칸센용으로 1000계가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2014년 현재는 [[야마가타 신칸센]]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2000계로 야마가타 신칸센에서 운용되던 [[신칸센 400계 전동차|400계]]를 대체했다. 아키타 신칸센 차량과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의 사양이 조금 다른 데, 아키타 신칸센용 0번대와 야마가타 신칸센 투입용 E3계 2000번대의 최고속도는 처음부터 275km/h로 제작되었으나, 야마가타 신칸센용으로 제작된 1000번대의 최고속도는 240km/h였다. 그러나 200계와 E4계가 토호쿠 신칸센에서 퇴역하고 나서 E2계와 병결하게 되면서, 1000번대의 주행장치를 개량하여 최고속도를 275km/h로 개량하였고, 그 후에는 1000번대·2000번대 모두 최고속도인 275km/h의 속도로 운행되고 있다. 한편 0번대의 양산선행편성(R1편성)과 이후 등장한 양산편성들 간의 디자인에도 차이가 있는데, 이는 헤드라이트로 구분할 수 있었다. 양산선행편성의 헤드라이트가 운전석 가까이, 중간 부분에 위치해서 흡사 외눈박이처럼 보이는 반면(위 사진 중 왼쪽 0번대 사진이 바로 그 외눈박이 양산선행편성이다) 이후 양산차들은 위치를 조금 더 아래로 내리고 일반적으로 보는 2개의 헤드라이트를 장착(위 사진중 우측)하게 되었다. == 운용 == 과거 [[아키타 신칸센]]에서 R편성 0번대 6량 1편성으로 [[코마치]] 등급으로 운행되고 있었으나 모두 [[신칸센 E6계 전동차|E6계]]로 교체되어 아키타 신칸센에서는 퇴역하게 되었다. 아키타 신칸센에서 퇴역한 0번대의 앞날에 관심이 쏠렸는데, R18~R26편성은 2000~2005년에 제작된 차량들로서 아직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었다. 이에 은퇴한 R편성 중 일부를 재조합, 7량편성으로 만든 후 야마가타 신칸센용 츠바사의 증비편성으로 투입하게 되었다. 이 때 투입된 차량은 1000번대 츠바사의 편성번호를 부여받아 각각 L54편성(R24-25편성 재조합)과 L55편성(R23-26편성 재조합)이 되었다. 또한 R21~23편성은 코마치 로고가 제거되기는 하였지만 기존 도색 그대로 도호쿠신칸센의 일부 야마비코/나스노로 운용되고 있다.(E5계 병결) 별도의 특별한 개조를 거친 차량들도 있는데 기존 R18편성을 개조한 토레이유(700번대로 구분)는 야마가타신칸센 구간의 관광열차로서 차내에 [[족욕]]시설을 설치하고 오자시키 형태로 좌석을 개조하는 등 기존의 차량에서 완벽한 변신을 이루어 내었다. 한편 이에 멈추지 않고 JR동일본에서는 또 하나의 R편성을 개조하여 [[에치고유자와역|에치고유자와]]~[[니가타역(니가타현)|니가타]] 구간의 예술신칸센인 "겐비신칸센" 운용계획을 발표하였다. 컨셉은 달리는 미술관으로 호쿠리쿠신칸센 개통에 따라 지선화되는 죠에츠신칸센의 진흥을 위한 것이며, 풀규격 신칸센에서의 최초의 죠이풀트레인이 되는 것이다. 2016년 2월 18일 JR 동일본 발표에 따르면 [[조에츠 신칸센]]의 임시열차('''토키''') 형태로 운행하며 [[4월 29일]]부터 골든위크 기간을 제외하고 토, 일요일에만 운행하며 7월부터 자유석도 발매할 예정이다. [[http://www.jreast.co.jp/genbi/|겐비신칸센 홈페이지]]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9/E3-1000_L54_Tsubasa_144_Kita-Yamagata_20150307.jpg/440px-E3-1000_L54_Tsubasa_144_Kita-Yamagata_20150307.jpg]] 2014년 4월 하순부터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로 운용되던 1000번대·2000번대 편성의 도색이 위와 같이 변경되며, 2016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초기에 도입되었던 아키타 신칸센 차량(R편성)은 JR 동일본이 아닌 제 3섹터인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JR 동일본에서 운행/정비를 하는 것으로 관리된다.[* R1-R16편성중 중간에 증비된 차량을 제외하고 5랑먄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가 보유하며 증비된 차량은 JR동일본이 소유한다.] 2010년도에는 임대계약이 만료됨과 동시에 아키타 신칸센 차량보유 주식회사가 해체되었고 차량은 JR동일본이 인수하였다. 0계를 제외한 1000번대·2000번대는 처음부터 동일본 소유로 도입되었다.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고속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