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신칸센 E8계 전동차/현황)] [include(틀:신칸센)]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navy,#7f7fff '''신칸센 {{{+1 E8계 전동차}}}'''[br]{{{-1 新幹線}}} E8系 電車[br]{{{-1 Shinkansen}}} E8 Series}}} ||}}} || ||<-3> [[파일:E8系.jpg|width=100%]]|| ||<-3> {{{#navy,#7f7fff 외부}}} || ||<-3> {{{#white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신칸센]] 입선용 [[고속열차|고속철도차량]]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편성 량수''' ||<-2> 7량 1개 편성 || || '''운행 노선''' ||<-2> [[파일:JRE-SKS.svg|width=16]] [[도호쿠 신칸센|{{{#006600 도호쿠 신칸센}}}]][br][[파일:JRE-SKS.svg|width=16]] [[야마가타 신칸센|{{{#ff8000 야마가타 신칸센}}}]] || || '''도입 년도''' ||<-2> 2023년 ~ 도입중 || || '''제작사''' ||<-2> [[가와사키 차량]] || || '''소유 기관''' ||<|2><-2> [[JR 동일본|]] || || '''운영 기관''' || || '''차량기지''' ||<-2> || ||<-3> {{{#white '''차량 제원'''}}}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2> 선두차 - ㎜[br]중간차 25,000㎜ || || '''전폭''' ||<-2> 2,945㎜ || || '''전고''' ||<-2> 3,650㎜ || || '''궤간''' ||<-2> 1,435㎜ || || '''차체''' ||<-2> 알루미늄 합금 || || '''급전 방식''' ||<-2> 교류 20,000/25,000V 50Hz [[가공전차선]] || || '''신호 장비''' ||<-2> [[열차자동제어장치|DS-ATC]], ATS-P || || '''제어 방식''' ||<-2> [[VVVF]]-[[IGBT]] || || '''동력 장치''' ||<-2> [[교류(전기)|교류]] [[교류전동기#s-3.2.1|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기어비''' ||<-2> - : - (대략 - : -)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편성 출력''' ||<-2> kW || ||<|2> '''최고 속도''' || 영업 || 300㎞/h[br]130㎞/h[* [[야마가타선|재래선]] 구간] || || 설계 || 360㎞/h || || '''기동'''[br]'''가속도''' ||<-2> 1.6㎞/h/s || || '''전동차 비''' ||<-2> 5M 2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칸센 E8계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신칸센 E3계 전동차|E3계]]를 대체할 목적으로 2024년 [[야마가타 신칸센]]에서 운행을 시작할 [[미니 신칸센]] 열차이다. == 소개 == 2020년 3월 3일 [[JR 동일본]]의 보도 자료에서 도입이 발표된 열차로 2022년 9월에 첫 차량을 완성한 뒤 2024년 봄[* 2024년 2분기로 추정된다.]에 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총 500억 엔을 들여 7량 1편성, 총 17편성(119량)[* 운행중인 E3계 중에서 토레이유 츠바사로 운행했던 R18편성과 겐비신칸센으로 운행했던 R19편성을 제외하면 정확히 일치하는 편성 수이다.][* 1편성(7량)당 29억 엔으로 [[신칸센 700계 전동차|700계]](16량)가 36억 엔이다. [[KTX-산천]](10량) 이 335억 원 수준인건 감안하면 비싼 것도 싼 것도 아닌 적당한 수준이다.]을 제작할 예정으로 E3계를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모가미 강(最上川)의 역사에 공통되는 신칸센이 가져온 '풍토와 사람의 교류'를 촉진하는 차량으로서 "풍부한 풍토와 마음을 엮는 열차"를 디자인 컨셉으로 제작했다고 하며, 디자인은 [[신칸센 E6계 전동차]]를 디자인한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감수했다. 차체와 스펙은 E6계에 기반해 있으나 [[틸팅열차|틸팅 기능]]이 제외되었고, 선두부 길이를 13m에서 9m로 조금 줄인 대신 최고시속을 320km/h에서 300km/h로 낮췄다. 320km/h 주행 가능한 구간이 [[우츠노미야역|우츠노미야]] -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로 160km 정도밖에[* 정확히는 163.3km.] 안 되고, E6계의 차체와 스펙을 그대로 살리면 기존 E3계보다 편성당 정원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어[* 정원을 그대로 유지하려면 1편성 길이를 더 길게 해야 하는데, 이러면 E5계와 병결할 때 도호쿠 신칸센 승강장 길이를 넘어버린다. 그리고 도호쿠 신칸센은 [[도쿄역|도쿄]]-[[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구간의 선로 용량 초과로 인해 증편도 어렵다.] 정원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도록 선두부 길이를 줄이고, 그에 따른 공기저항 증대를 고려해 최고시속을 낮추는 방향으로 타협한 것이다. 그래도 E3계의 최고시속 275km/h보다는 빠르며, 열차 도입과 함께 츠바사의 최고시속도 300km/h로 상승할 예정이다. [[신칸센 E5계 전동차|E5계]]로 운행되는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와 병결이 예정되어 있다. 편의시설로는 모든 객실에 대형 수하물 보관소와 전원 콘센트, 그리고 무료 와이파이 설비를 설치했고, 기존 객실 내부에만 있던 CCTV를 객실 통로에도 설치했으며, [[배리어프리]] 정책의 일환으로 휠체어 공간을 추가적으로 마련했다. 2023년 2월 24일 실차 사진이 공개되고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https://tetsudo-shimbun.com/article/topic/entry-3457.html|#]] == 외부 링크 == * [[https://www.jreast.co.jp/press/2019/20200303_ho01.pdf|야마가타 신칸센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게 합니다 PDF]] - JR 동일본 == 관련 문서 == [include(틀:Ken Okuyama Design의 철도차량)] [[분류:출시 예정 철도차량]][[분류:일본의 고속철도 차량]][[분류:전동차]][[분류:2022년 공개]][[분류:2024년 출시]][[분류:야마가타 신칸센]][[분류:도호쿠 신칸센]][[분류:레이와 시대]][[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