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칸센)] [include(틀:신칸센 E5&H5&E6계 전동차)]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2>
{{{#373a3c,#dddddd '''{{{+1 신칸센 E956형 전동차}}}'''[br]新幹線E956形電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956形 1号車.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호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956形 10号車.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0호차}}} || ||<-3> '''차량 정보''' || || '''{{{#373a3c,#dddddd 형식}}}''' || 시험차량 || || '''{{{#373a3c,#dddddd 편성}}}''' || 10량 1편성 || || '''{{{#373a3c,#dddddd 운영}}}''' || [[JR 동일본]] || || '''{{{#373a3c,#dddddd 운행}}}''' || [[도호쿠 신칸센]] || || '''{{{#373a3c,#dddddd 년도}}}''' || 2019년 || || '''{{{#373a3c,#dddddd 제작}}}''' || [[가와사키 중공업]](1~6호차)[br][[히타치 제작소|히타치]](7~10호차) || ||<-3> '''차량 제원''' || || '''{{{#373a3c,#dddddd 궤간}}}''' || [[표준궤|1,435mm]] || || '''{{{#373a3c,#dddddd 무게}}}''' || 편성 : 496t[br]축중 : 12.4t || || '''{{{#373a3c,#dddddd 차체}}}''' || 전폭 : 3,350 mm[br]높이 : 3,700 mm[br]길이 : 24,500 mm(객실) || || '''{{{#373a3c,#dddddd 사용전압}}}''' || 교류 25,000V 50Hz[br]([[가공전차선]]) || || '''{{{#373a3c,#dddddd 제어 방식}}}''' ||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SiC || || '''{{{#373a3c,#dddddd 모터}}}'''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373a3c,#dddddd 기어비}}}''' || 81/33 = 2.45 || || '''{{{#373a3c,#dddddd 출력}}}''' || 380kW(메인모터) || || '''{{{#373a3c,#dddddd 속도}}}''' || 영업최고속도 : 360㎞/h[br]설계최고속도 : 405㎞/h || || '''{{{#373a3c,#dddddd 가속도}}}''' || 1.71 km/h/s || || '''{{{#373a3c,#dddddd MT비}}}''' || 10M0T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bR4Pou2NHv4)] 신칸센 E956형(ALFA-X)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영업최고속도 360KPH를 목표로 개발중인 시험용 고속열차이다. == 소개 == JR 동일본이 2017년 7월 ALFA-X(알파X)라는 이름으로 차세대 고속열차 제작을 발표한지 2년만인 2019년 5월 9일 공식적으로 공개한 E956형는 추후 [[홋카이도 신칸센]] 투입과, 신칸센 E5·H5계 전동차를 대체하는 목적으로 현재 개발이 완료되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시험주행과 각종 테스트를 진행중에 있다. [[파일:ALFA-X.png]] 열차의 전두부 모양이 기존 E5계에 비해서 최소1m (1호차-가와사키 중공업) 최대 7m (10호차-히타치) 이상으로 늘어났고 양쪽의 전두부 모양도 각각 다른데, 이는 하나의 열차로 다양한 실험(터널풍)을 하기 위해서라고한다. 사실 신칸센 기술시험차의 양쪽 선두차 모양이 다른 것은 90년대부터 내려오는 전통이기도 하다. [[파일:E956형_팬터그래프1형.png|width=460]] [[파일:E956형_팬터그래프2형.png|width=460]] 팬터그래프 역시 두 종류를 설치하여 실험한다. 첫 번째 사진은 팬터그래프의 힌지에 덮개를 씌워 공기저항을 줄이고자 한 설계이고, 두 번째 사진은 마치 [[UAV]]처럼 설계하여 전체적인 공기저항과 소음 문제를 개선하려 한 설계이다. 양산형이 생산될 경우 형식명을 E9계로 배정받을 가능성은 낮은데, 일본 철도에서 형식명이나 번대가 9로 시작하는 차량은 시제차, 사업 및 연구용 차량이기 때문. 당장 본 문서에서 다루는 E956형도 연구용 차량이기에 형식명이 9로 시작한다. 애초에 9라는 숫자 자체가 시험차, 혹은 선행양산차를 나타내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당연히 열차번호가 부여된 차량들도 마찬가지로, 첫자리가 9로 시작해서 끝자리가 M으로 끝나는 열차들은 전부 다 시운전이나 임시열차이다. 예를들어, JR 신칸센 및 재래선의 열차 형식을 나열해봐도 9로 시작하는 번대는 전부 사업용 및 연구 개발, 측량 측정 등 영업용 차량이 아니다. 도카이도 신칸센 계열의 닥터 옐로우로 유명한 923형 및 그 앞의 911형, 912형, 921-922형, 931형 등과 동일본의 닥터 옐로우 격인 925형, E926형 등의 검사차량도 다 9로 시작한다. 또한 동일본의 신칸센 선행편성인 952형, E954형, E955형 등의 선행시험차, 도카이도 신칸센의 300계, 700계, N700계의 0편성(양선선행제작차) 부여번호도 0번대나 2000번대, 5000번대 등이 아닌 9001번을 배정받는 이유도 그러하며, 새로 도입된 N700S계 J0편성도 0번대 형식이 아닌 9000번대 형식으로 배정받는다. 재래선도 마찬가지다. 사업용 및 비영업용 차량은 전부 9로 시작하는 형식명을 배정받는다. 그리고 일본어에서 9는 한국에서 4처럼 꺼려지는 숫자인데, 괴롭다는 뜻의 '苦'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양기의 극한이라고 9를 잘 쓰는 것과 대조적.] 양산차의 형식명은 E10계나 E11계, 또는 E0계 중 하나이거나, 아예 새로운 접두어를 만들 가능성도 있다. [[https://youtu.be/iSmqlTFWeBI?si=RueMQSyoAQgsGu1m|로봇트로 변신한다]] 지진 등 비상상황 발생시 공기저항을 이용한 비상정지를 위한 장치가 객차 외부 천장에 있다. == 운행 == 2020년 10월 27일.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신아오모리 구간에서 취재진을 태우고 알파-X 시험 주행에 나섰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977097?sid=104|#]] == 외부 링크 == * [[https://www.jreast.co.jp/press/2018/20181003.pdf|신칸센의 시험 차량 ALFA-X 디자인 및 개발 상황에 대해]] - JR 동일본 [[분류:일본의 고속철도 차량]][[분류:도호쿠 신칸센]][[분류:2019년 출시]][[분류:JR 동일본]][[분류:틸팅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