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5년 창당된 정당, rd1=신한민주당)]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F8E018)" '''[[민주당계 정당|{{{#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중당(1965년)|민중당]]||<:>{{{+1 →}}}||<:>'''{{{#FFF 신한당}}}'''||<:>{{{+1 →}}}||<:>[[신민당(1967년)|신민당]]|| ||<-2><:>[[파일:신한당글자.png|height=70]]|| ||<-2><:>{{{#FFF '''신한당'''}}}|| ||<:>'''공식명칭'''||신한당 (新韓黨)|| ||<:>'''창당'''||[[1966년]] [[5월 30일]] ,,([[민중당(1965년)|민중당]]에서 분당),,|| ||<:>'''해산'''||[[1967년]] [[2월 7일]][br],,([[민중당(1965년)|민중당]]과 신설합당, [[신민당(1967년)|신민당]] 창당),,|| ||<:>'''선행조직'''||[include(틀:민중당(1965년))] ,,([[한일기본조약]] 비준에 반대해서 분당),,||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98054; border: 1px #098054;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초록색 {{{-2 (#098054)}}}}}}}}}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6년에 창당되었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성향의 민주당계 정당이다. == 상세 == 1965년 [[민주공화당]] 국회의원만으로 [[한일기본조약]] 비준이 통과되었다. 그러자 통합야당인 [[민중당(1965년)|민중당]] 내에서 강경파인 [[윤보선]]계는 이에 대한 책임으로 국회의원직의 사퇴와 당의 해체를 완강히 주장하였다. 반면, [[박순천]] 대표최고위원을 중심으로 한 당 주류 온건파는 대정부투쟁과 헌정 질서 범위 안에서의 원내 투쟁으로 맞섰다. 참고로 한일기본조약 비준에 대한 강경파와 온건파는 이전 [[민주당(1955년)|민주당]]의 구파, 신파와는 별개였다. 이를테면 신한당 소속 정치인 중 [[윤보선]]은 [[민정당]] 구파, [[정일형]]은 [[민주당(1963년)|민주당]] 신파였고, 반면 [[김영삼]]은 민정당 구파, [[김대중]]은 민주당 신파였으나 둘 다 민중당에 남아 있었다. 이러한 대립이 계속된 가운데, [[윤보선]] 외 7명의 국회의원은 소속 지구당에 탈당계를 제출하여 [[대한민국 헌법]] 규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의원직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리고 전 민중당 강경파였던 [[윤보선]], [[김도연(1894)|김도연]], [[정일형]] 등과 정화동지회 의장단이 중심이 되어 1966년 5월 신한당을 창당하였다. 창당대회에서 단일 지도 체제를 골자로 하는 당헌을 채택하고 [[윤보선]]을 총재로 추대하는 한편, 1967년 실시된 [[제6대 대통령 선거]]의 후보로 공천, 지명하였다. 또한 선명야당의 기치를 내걸었다. 그 뒤 신한당은 [[민중당(1965년)|민중당]]과의 반목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신한당의 총재 [[윤보선]]과 민중당 대통령 후보 [[유진오]] 사이에 야당 대통령 후보 단일화와 야당 통합의 가능성이 협의되었다. 1967년 2월 신한당은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합당되었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신한당 총재)] == 관련 문서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제1공화국-제4공화국))]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국민자유주의 정당]][[분류:반공주의 정당]][[분류:보수자유주의 정당]][[분류:1966년 정당]][[분류:1967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