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위너스 리그, top2=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include(틀:위너스 리그)] [[파일:위너스리그 09-10.jpg]] [목차] == 개요 == * 우승: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준우승: [[MBC GAME HERO]] * 결승전 장소 및 날짜: 경기도 광명 실내체육관, 2010년 4월 3일 * 사용 맵: [[매치포인트(스타크래프트)|매치포인트]](Match Point), [[로드러너(스타크래프트)|로드러너]](Roadrunner), [[문글레이브|네오 문글레이브]](Neo Moon Glaive),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용오름(스타크래프트)|신 용오름]],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특이사항 ==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가 위너스 리그에서 유일무이하게 2번 연속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을 기록(對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eSTRO]]). * 前 시즌 챔피언 CJ의 몰락 * 당시 신예였던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이 위너스 리그 준플레이오프에서 유일무이하게 올킬을 기록. * kt 롤스터 창단 11년만에 첫 팀단위 리그 우승 * 결승전 MVP : [[이영호]](상금 : 200만원) * 우승팀 상금 : 1,000만원 [[http://www.youtube.com/watch?v=eu8A4Zh6cM0|온게임넷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SetOTXueBR4|MBC GAME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오프닝 링크]][* 오프닝에 나온 수치들은 08-09 위너스 리그의 기록들이다.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을 포함해서 총 36번의 3킬과 17번의 올킬 그리고 2번의 역올킬이 있었다.] == 순위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1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 10 ||<:> 1 ||<:> +16 || ||<:> 2 ||<:> [[MBC GAME HERO]] ||<:> 8 ||<:> 3 ||<:> +14 || ||<:> 3 ||<:> [[STX SouL]] ||<:> 7 ||<:> 4 ||<:> +8 || ||<:> 4 ||<:> [[웅진 스타즈]] ||<:> 7 ||<:> 4 ||<:> +5 || ||<:> 5 ||<:> [[삼성전자 칸]] ||<:> 6 ||<:> 5 ||<:> -1 || ||<:> 6 ||<:> [[하이트 스파키즈]] ||<:> 5 ||<:> 6 ||<:> +3 || ||<:> 7 ||<:> [[화승 오즈]] ||<:> 5 ||<:> 6 ||<:> +2 || ||<:> 8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 5 ||<:> 6 ||<:> -3 || ||<|2><:> 9 ||<:> [[위메이드 폭스]] ||<:> 4 ||<:> 7 ||<:> -6 || ||<:> [[eSTRO]] ||<:> 4 ||<:> 7 ||<:> -6 || ||<:> 11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 3 ||<:> 8 ||<:> -10 || ||<:> 12 ||<:> [[공군 ACE]] ||<:> 2 ||<:> 9 ||<:> -22 || (노란색: 결승 직행, 초록색: 플레이오프 직행, 파란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자세한 대진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대진표#s-3.3|항목]] 참조. == 상세 == ||<-5><:> 준플레이오프(2010.3.20) || ||<:> [[정종현]] T||<:> 패 ||<:> [[투혼(스타크래프트)#s-2|투혼]] ||<:> '''{{{#blue 승}}}''' ||<|2><:> [[김구현]] P || ||<|4><:> 김민철 Z ||<|4><:> '''{{{#red 올킬}}}''' ||<:> [[로드러너(스타크래프트)|로드러너]] ||<:> 패 || ||<:> [[문글레이브|네오 문글레이브]] ||<:> 패 ||<:>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Z ||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패 ||<:> [[조일장]] Z || ||<:> [[용오름(스타크래프트)|신 용오름]] ||<:> 패 ||<:> [[김윤환(1989)|김윤환]] Z || ||<:> '''[[웅진 스타즈]]''' ||<:> '''{{{#red 4}}}''' ||<:> '''결과''' ||<:> '''{{{#blue 1}}}''' ||<:> STX SouL || ||<-5><:> 플레이오프(2010.3.27) || ||<|3><:> 이재호 T ||<|2><:> '''{{{#red 2킬}}}''' ||<:> 네오 문글레이브 ||<:> 패 ||<:> 김민철 Z || ||<:> 신 용오름 ||<:> 패 ||<:> [[한상봉]] Z || ||<:> 패 ||<:> [[매치포인트(스타크래프트)|매치포인트]] ||<|3><:> '''{{{#blue 3킬}}}''' ||<|4><:> [[윤용태]] P || ||<:> [[고석현]] Z ||<:> 패 ||<:> 투혼 || ||<:>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 P ||<:> 패 ||<:> 로드러너 || ||<|2><:> [[염보성]] T ||<|2><:> '''{{{#red 2킬}}}''' ||<:> 심판의 날 ||<:> 패 || ||<:> 네오 문글레이브 ||<:> 패 ||<:> [[김명운]] Z || ||<:> '''MBC GAME HERO''' ||<:> '''{{{#red 4}}}''' ||<:> '''결과''' ||<:> '''{{{#blue 3}}}''' ||<:> 웅진 스타즈 || ||<-5><:> 결승전(2010.4.3) || ||<:> [[고강민]] Z ||<:> 패 ||<:> 심판의 날 ||<:> '''{{{#blue 승}}}''' ||<|2><:>이재호 T || ||<|2><:> [[우정호]] P ||<:> '''{{{#red 승}}}''' ||<:> 매치포인트 ||<:> 패 || ||<:> 패 ||<:> 신 용오름 ||<|2><:> '''{{{#blue 2킬}}}''' ||<|3><:> 염보성 T || ||<:>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T ||<:> 패 ||<:> 투혼 || ||<|3><:> [[이영호]] T ||<|3><:> '''{{{#red 3킬}}}''' ||<:> 네오 문글레이브 ||<:> 패 || ||<:> 로드러너 ||<:> 패 ||<:>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P || ||<:> 심판의 날 ||<:> 패 ||<:> 김재훈 P || ||<:> '''kt 롤스터''' || '''{{{#red 4}}}''' ||<:> '''결과''' ||<:> '''{{{#blue 3}}}''' ||<:> MBC GAME HERO || KT가 본격적으로 전성기에 오르게 된 대회이자 준우승의 아픔을 극복한 대회. 이 대회에서 [[이영호]]는 엄청난 활약으로[* 특히 풀리그 T1과의 경기에서는 이영호가 앞의 경기들에서 3킬을 기록한 [[박재혁(1987)|박재혁]]을 시작으로 [[김택용]],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도재욱]]을 차례대로 역올킬에 성공하는 '''도택혁명 역올킬 사건'''이 시즌에 벌어졌다. 특히 가장 압권은 경기에 나오기 전 '''"[[https://www.youtube.com/watch?v=CIEtfohq3_o&ab_channel=JunePark|팀이 3:0으로 지고 있는데 웃고 있어요]]!"'''라는 멘트가 나올 때 팀의 위기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웃고 있었고, 거기에 실제 경기에 나오자마자 '''역올킬에 성공하면서''' 사실상 [[켠김에 꼼까지]]의 시초로 불리게 된다.] 풀리그 1위 뿐만 아니라 결승에서도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며 팀에게 첫 팀 단위 대회 우승을 안겨주었다.[* 이영호의 마무리도 마무리지만, 특히 차봉이었던 우정호의 1승 또한 빛났다. 당시 이재호의 위너스 리그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 전적은 10승 3패였다. 이영호의 상승세가 있었다지만, 만약 이재호를 끊지 못했다면 어떤 변수가 나왔을지 모르는 일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PQAjLjjWhXI|위너스 리그 결승전 이영호 입장씬]]. 이후 이영호는 프로리그에서도 패넌트레이스 1위와 결승전에서도 팀의 첫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우승을 안겨주는 활약을 보여준다. 한편 HERO는 [[팀리그]] 시절 영 포스트시즌과 인연이 없었던 것과는 반대로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어느 정도 팀리그와의 악연을 끊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규시즌 삼성과 화승전에서 나온 [[송병구]]와 [[이제동]]의 [[https://www.youtube.com/watch?v=Ijf6RysNq9I|대장전]]도 역대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중에서 가장 처절한 명경기이자 이 시즌 위너스 리그를 대표하는 명경기로 평가받는다. [[분류:위너스 리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위너스 리그, version=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