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세포 신호]][[분류:세포생물학]][[분류:생화학]] [include(틀:분자생물학&생화학)]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호전달.jpg|width=100%]]}}} || || '''사람의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1 [[信]][[號]][[傳]][[達]] / signal transduction}}} 신호 전달은 [[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리간드]]의 결합으로 인해 [[세포질]] 내부에 들어 있는 보조 분자, [[전사인자]], [[효소]] 등에게 신호가 전달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세포 수준의 반응이 일어나는 일련의 경로를 가리킨다. 신호 전달이 일어나면 세포에 분화, 활성 변화, 다른 곳으로의 이동, [[사이토카인]]과 같은 물질 분비 등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 신호전달의 예시 == 단독 문서가 있는 신호전달 경로들을 우선 서술. [[:분류:세포 신호]]도 참고하면 좋다. * [[림프구 신호전달]] - [[B 세포 수용체]](BCR), [[T 세포 수용체]](TCR), [[NK 세포]] 등의 [[림프구]] 수용체들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 경로. * [[세포예정사]] - [[괴사]]와 같이 병적인 경우가 아니라, 신호 전달 경로에 의해 통제되어 발생하는 세포의 죽음. * [[세포자멸사]](apoptosis) - [[캐스페이즈]](caspase)나 [[p53]] 등이 연관되어 엄격히 조절되는 신호전달 경로이다. * [[윈트 신호전달 경로]](Wnt signaling pathway) - 인간뿐 아니라 대다수 동물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신호전달 경로로, [[베타-카테닌]](beta-catenin) 등의 분자가 연관되어 동물의 초기 [[발생학|발생]]에 관여한다. * [[헤지호그 신호전달경로]](Hedgehog signaling pathway) - 발생 과정에서 세포의 분열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 * [[히포 신호전달경로]](Hippo signaling pathway) - [[세포분열]]을 조절하여 동물의 조직과 기관의 크기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