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경남도의 시군)] {{{+1 新興郡 / Sinhŭng County }}} ||<-2> {{{+2 신흥군}}} [br] 新興郡 / Sinhŭ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2,177.78㎢[*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607|《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신흥군(新興郡) 문서]]에 있는 각 면 면적을 합한 값.] || || 광역시도 || [[함경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8면 || || 인구 || 104,002명(2008년) || || 시간대 || UTC+9 || ||<:><-2>[include(틀:지도, 장소=신흥군, 높이=224px, 너비=100%)] || [clearfix] [목차] == 개요 == ||[youtube(WgCboUTuAw8)]|| || '''2011년 9월의 신흥군''' || [[함경남도]] 중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덕성군]]과 [[홍원군]], 서쪽은 [[장진군]]과 [[영광군(함경남도)|영광군]], 남쪽은 [[함흥시]], 북쪽은 [[부전군]]과 [[량강도]] [[김형권군]](구 [[풍산군]])에 접해 있다. == 역사 == [[옥저]]의 일부였고 [[고구려]]에 복속, [[진흥왕]] 때 [[신라]]가 차지했고 이후 [[발해]]의 영역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여진족]]의 영역이었다 [[공민왕]] 시기에 고려의 영토로 편입됐다. [[조선]]시대의 경우 이 일대에 독립된 행정구역은 없고 함흥과 홍원, 장진의 일부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1914년 [[일본 제국|일제]]가 [[부군면 통폐합]]을 하면서 함흥군 6개 면, [[홍원군]] 2개 면, [[장진군]] 동상면을 분리 통합하여 신흥군을 신설하였다. 신흥군이라는 이름은 '''새로운(新)''' 함'''흥(興)'''이라는 뜻이다(…). 동일한 작명 방식에 의해 명명된 곳은, [[전라남도]]의 [[신안군]]('''새로운 [[무안군|무안]]''')이 있다. 3개 군에서 영역을 받았다는 점에서 얼핏 보면 만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 홍원군이었던 지역은 홍원의 다른 지역과는 산줄기로 가로막혀있기 때문에 신흥군으로 넣는 게 더 자연스럽다. [[부전령]] 이북을 편입한 건 만행에 가깝긴 하지만. 일제가 신흥군을 신설한 이유는 너무 넓은 [[함흥]]의 행정구역을 조정하고 부전고원의 풍부한 수자원과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편한 것이었다. 실제로 이러한 목적으로 1926년 [[부전강]]이 흐르는 동상면 한대리에 부전강댐을 건설하기 시작해 1929년 부전강전기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31년 부전강[[수력발전소]]가 완공되어 연간 20만 kW의 전력을 신흥군 남쪽 함흥과 흥남 일대에 조성한 공업지대로 송전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인공호수 [[부전호]]와 군내에 부설된 [[신흥선]]을 활용한 부전고원 일대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크게 늘어 1918년 3만 8,654명에서 1936년 9만 4,154명까지 늘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신설된 [[부전군]]에 신흥군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을 넘겨줬고, 1954년에 10개 리를 영광군(당시 오로군)에 넘겨줘 면적이 축소되었다. 그러나 1954년 11월 부전군의 [[부전령]] 이남 16개 리를 돌려받아 현재와 같이 부전령을 경계로 두게 되었다. == 교통 == 철도는 [[신흥선]]이 지나간다. [[신흥역(신흥선)|신흥역]], [[동흥역]], [[당하역]][* 구 경흥역], [[송하역]], [[송흥역]]이 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함경남도 신흥군기.png|width=50%]] |[[파일:신흥군.jpg]] [[광복]] 당시 8개 면을 관할했다. === 구 함흥부 지역 === * '''신흥면'''(新興面) * 관할 리 : __흥경(興京)__, 동덕(東德), 동상(東上), 상(上), 서흥(西興), 신성(新成), 신정(新井), 신중(新中), 신풍(新豐), 여사(汝沙), 이전(梨田), 인흥(仁興), 중(中), 중흥(中興), 풍덕(豐德), 풍동(豐東), 풍양(豐陽), 흥덕(興德), 흥평(興坪) * 면사무소와 군청이 흥경리에 있었다. 본래 함흥부 상동고천면(上東古川面)과 하동고천면(下東古川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두 면을 통합하여 동고천면(東古川面)을 신설하였고, 1930년에 신흥면으로 개칭하였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신흥역(신흥선)|신흥역]]이 있다. * '''가평면'''(加平面) * 관할 리 : __풍상(豐上)__, 관수(觀水), 능(陵), 동흥(東興), 상(上), 장풍(長豐), 중(中), 중상(中上), 중양(中陽), 지동(芝洞), 풍서(豐西), 화장(花藏), 흥남(興南) * 1910년 함흥부 동가평면(東加平面)과 서가평면(西加平面)이 합병하여 신설하였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풍상역]]이 있다. 일부 지도에는 풍상역에서 장풍리 장풍역까지 지선철도가 나 있는 것으로 표시된 지도가 있으나 확인된 실체는 없다. * '''서고천면'''(西古川面) * 관할 리 : __창서(昌瑞)__, 기양(岐陽), 길(吉), 길봉(吉峰), 길흥(吉興), 도상(道上), '''동덕(東德)''', 삼상(三上), 신상(新上), 신하(新下), 요중(蓼中), 주양(周陽), 중흥(中興), 풍향(豐鄕) * '''영고면'''(永高面) * 관할 리 : __흥경(興慶)__, 경흥(慶興), 구상(舊上), 당복(塘福), 당하(塘荷), 동평(東坪), 동흥(東興), 복흥(福興), 부전(富田), 서흥(西興), 송하(松下), 송흥(松興), 신덕(新德), 신평(新坪), 신풍(新豐), 연동(淵洞), 연흥(淵興), 인평(仁坪), 중(中), 중흥(中興), 창평(昌坪), 흥남(興南), 흥동(興東), 흥복(興福) * 1931년 영천면(永川面)과 고산면(高山面)이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동흥역]], [[경흥역]], [[송하역]], [[송흥역]]이 있다. 바로 위 동상면 [[부전령역]]으로는 [[강삭철도]]로 이동한다. 송흥리에 부전강1~3수력발전소가 있다. * '''원평면'''(元平面) * 관할 리 : __풍서(豐西)__, 남(南), 남양(南陽), 남평(南坪), 동상(東上), 서(西), 서상(西上), 신상(新上), 신성(新成), 오상(五上), 우상(右上), 우하(右下), 중(中), 중상(中相), 풍남(豐南), 풍상(豐上), 장상(長上), 장전(長典), 장하(長下), 중양(中陽), 최상(崔上), 풍동(豐東), 흥덕(興德), 흥성(興成) * 1914년 동원평면(東元平面)과 서원평면(西元平面)이 합병하여 신설하였다. 서고천면과의 경계에 명승지로 천불산이 있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며 관내에 [[전동역(신흥선)|전동역]], [[천불산역]]이 있다. === 구 홍원군 지역 === * '''상원천면'''(上元川面) * 관할 리 : __구중(舊中)__, 구창(舊倉), 구하(舊下), 내동(內洞), 문성(文成), 복흥(福興), 신성(新成), 신풍(新豐), 원상(元上), 원풍(元豐), 중양(中陽), 중흥(中興), 풍동(豐東), 풍상(豐上), 흥동(興東), 흥봉(興鳳), 흥평(興坪) * '''하원천면'''(下元川面) * 관할 리 : __신풍(新豐)__, 당풍(塘豐), 대흥(大興), 문성(文城), 반석(盤石), 복거(福巨), 부흥(富興), 서양(西陽), 서하(西下), 송흥(松興), 축상(杻上), 축전(杻田), 흥경(興慶), 흥덕(興德) * [[금패령]]이 있다. === 구 장진군 지역 === * '''동상면'''(東上面) * 관할 리 : __원풍(元豐)__, 광대(廣大), 달아(達阿), 도안(道安), 신성(新成), 연동(囦洞), 한대(漢垈) * 원래 장진군 동상사(東上社)로 신흥군 이관 때 동상면으로 개칭되었다. [[부전령]] 이북에 있는 [[개마고원]] 지역으로 인공 호수인 [[부전호]](赴戰湖)가 있다. [[신흥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부전령역]], [[함지원역]], [[부전역(신흥선)|부전역]](구 원풍역), [[도안역(신흥선)|도안역]], [[부전호반역]]이 있다. 바로 아래 영고면 송흥역으로는 강삭철도로 이동한다. 북한 행정구역상 [[부전군]] 소재지. [[분류:함경남도]][[분류:1914년 설치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