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낙원]]을 잃어버림 ==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일을 가리키는 말이다. 반댓말은 복낙원으로, 구원받아 [[천국]]에 들어가는 일을 가리킨다. == [[존 밀턴]]이 지은 서사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낙원)] ==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낙원(게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낙원(2021년 게임))] == 만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낙원(만화))] == 일본 소설 == 의사 출신 소설가인 와타나베 준이치[* 2014년 4월 30일 향년 80세의 나이로 사망]의 1996년 소설. 50대 회사원과 30대 [[주부]]의 [[불륜]]을 다룬 소설이다. [[일본]]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고. 1997년 [[한국]]에서도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영화로도 제작되었는데, 주연 배우는 일본의 국민배우 [[야쿠쇼 코지]]와 [[쿠로키 히토미]]이다. [[불륜]]과 [[자살]]을 미화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개봉하지 못하다가 2011년이 되어야 겨우 개봉했다. 그러나 소설에 비해서 영화의 수위는 낮은 편이다. 1999년 한국에서도 영화로 제작했다. [[심혜진]]과 [[이영하(배우)|이영하]]가 각각 주인공을 맡았지만 괴작이 되었다. 1997년에 영화가 개봉한 뒤,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총 12화. 주연은 후루야 카즈유키와 카와시마 나오미이며, [[칸노 미호]]가 조연(남자 주인공의 딸)으로 출연했다. [[ZARD]]가 본편 오프닝 永遠(영원)[* 원래 [[캐논(기업)|캐논]]의 한 카메라 제품의 광고음악이었으나, 광고주의 양해를 얻은 뒤 가사를 바꿔 드라마 주제가로 타이업했다.]과 특별편 주제가 을 불렀다. 전자는 편곡이[* 드라마 버전은 1절뿐인데 드럼 연주가 중간의 "このまま消えてしまいましょう" 부터 들어가고, 음반에 수록된 버전들은 2절부터 들어간다.], 후자는 가사[* 드라마판은 여성 시점, 음반은 남성 시점이다.]가 음반에 수록된 버전과 다르다. 영화 [[감각의 제국]]의 배경이 되는 [[아베 사다 사건|실제 사건]]이 이 소설의 한 모티브가 된다. 자주 언급되며, 주인공은 그러한 결말을 동경.. 결국은 동반 자살로 끝난다. == 리듬 게임 [[beatmania IIDX]]의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ARADISE LOST)]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erditus†paradisus)] == 대중매체 == === [[유희왕]]의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락원(유희왕))] === 게임 [[Lobotomy Corporation]]에 등장하는 장비 === 인게임에서 등장하는 ALEPH 등급의 E.G.O. 이며, 황혼, 골드러쉬 등과 함께 사기적인 성능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것은 [[Lobotomy Corporation/환상체/ALEPH 등급#s-2.3|해당 장비를 주는 환상체]][*스포일러주의 존재가 스포일러가 될 요소이니 주의할 것.]의 문서로.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