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3215_1.jpg|width=100%]] || [[파일:ShieldWing-LC5D-EN-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4>'''실드 윙'''|| || 일어판 명칭 ||<-4>'''シールド・ウィング'''|| || 영어판 명칭 ||<-4>'''Shield Wing'''||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바람|바람]] || [[비행야수족]] || 0 || 900 || ||<-5>이 카드는 1턴에 2번까지,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1턴에 2번까지 전투 파괴 내성을 갖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비크로이드|자이로이드]]와 [[레조네이터(유희왕)|다크 레조네이터]]를 보는 듯한 효과이지만 더 발전되어 있다. 능력치가 심히 나쁘지만, 그 나쁜 능력치를 대신해서 1턴에 2번만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그냥 있기만 해도 이 카드를 전투로 파괴하려면 이 카드 하나를 3회나 공격해야 한다는 것. 여기에 [[고철의 허수아비]]가 있다면 필요한 공격횟수가 1회씩 더 늘어나므로 더더욱 강고한 벽으로 만드는게 가능하며, 이렇게까지 될 일은 잘 없겠지만 고철의 허수아비 3장이 깔려 있다면 2회 공격 능력을 지닌 몬스터가 없는 한 전투 파괴가 불가능해진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의 스피드 듀얼에선 몬스터 카드 존이 '''3장밖에 없기 때문에''' 이 카드와 고철의 허수아비가 뜨면 그야말로 절망적. 효과 탓에 별 의미는 없지만 수비력이 완전히 전투 파괴가 불가능한 [[마슈마론]]이나 [[영혼을 깎는 사령]]보다 더 높기 때문에 수비 표시로 박아주면 그럭저럭 안정적인 벽으로 활용해 줄 수 있다. '''전투 파괴가 일단 가능하다'''라는 점에선 마슈마론이나 영혼을 깎는 사령에 비해 성능이 낮아 보일지도 모르지만 이를 오히려 심리적으로 역이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몬스터가 3장 이상 모인 지금 전투로 파괴하지 않으면 기회가 없다'라는 압박감을 통해 상대의 공격 선언을 유도해낼 가능성이 있다는 것. 필드에 마슈마론이나 영혼을 깎는 사령이 혼자 수비 표시로 버티고 있으면 상대가 [[관통(유희왕)|관통]] 몬스터라도 없는 이상 그냥 속편하게 포기해서 공격 선언을 할 리가 없지만, 이 카드는 아니다. 이에 따라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은 물론이요 비교적 조건이 까다로운 하위 호환 [[방어막(유희왕)#s-3|섬광의 베리어 -샤이닝 포스-]]의 발동 트리거를 채울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려고 공격 선언을 하는 경우라면 보통 필드엔 공격 표시 몬스터가 3장 이상이기 마련이다. 또 종족이 비행야수족이라 [[갓버드 어택]]도 사용가능하다는 것이 장점. 원작대로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생시킬 수 있어서,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를 쉽게 부를 수 있다. 하지만 [[드래그니티]]에 넣을 카드는 이것 말고도 많으니 정 넣을 카드가 없을 때나 넣어주자. 전투 파괴 내성을 가진 몬스터 전반이 그렇듯 능력치가 낮으니 [[관통(유희왕)|관통]]이나 표시 형식 변경 효과에는 쥐약이다. 이럴 때는 [[갓버드 어택]]이나 [[령술#풍령술-「아」|풍령술-「아」]] 등의 수단으로 치워주자. 2009년 12월 15일에 듀얼 부스터의 동봉 카드로 드디어 국내 상륙. 하지만 여전히 가격이 좀 나간다. [[듀얼리스트 팩]] - 유세이 3에서 복각되어 이제야 구하기 쉬워졌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에서 [[잭 아틀라스]]와의 2차전인 [[포츈 컵]] 결승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선공 첫 턴에 수비 표시로 소환되었다가 잭의 [[트윈 브레이커]]의 연속 공격으로 두 번의 관통 데미지를 받게 되었다. 이후 [[정크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에서는 [[루드거]]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 수비 표시로 소환되었으나, [[대저의 아라크네]]의 효과로 장착 카드가 되면서 [[로드 워리어]]의 공격으로부터 아라크네 대신 파괴되었다. 73화의 [[잭 아틀라스]]와의 3차전 듀얼에서는 트윈 브레이커에 [[스워드 마스터]]까지 다굴빵을 때려서 또 쳐맞고, 전투로 파괴되었다.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유니콘]]의 안드레와의 듀얼 중 실드 코트의 효과로 수비력을 강화했으나 결국 전투 파괴를 막지는 못했다. 이후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로 소생되어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5D's/아크 크레이들 편|아크 크레이들 편]]에서는 [[브루노(유희왕)|안티노미]]와의 듀얼 중 [[슈팅 스타 드래곤]]의 효과로 넘겨진 4장째 카드로 확인된다. 듀얼리스트 박스 동봉 DVD에서는 [[잭 아틀라스]]와의 듀얼 중 사용. 수비 표시로 소환되었으나,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이후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